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0 14:43:06

성 민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4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2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ビン
일본어 훈독
-
표준 중국어
mǐ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자원4. 용례
4.1. 인명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閔은 '성 민'이라는 한자로, '가엾게 여기다'를 의미하며 한국과 중국의 성씨로 사용된다.

2. 상세

3. 자원

훈을 담당하는 (문 문)과 음을 담당하는 (글월 문)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출전 원문
설문해자弔者在門也。从門文聲。,古文閔。眉殞切〖注〗臣鉉等曰:今別作憫,非是
청대
단옥재
설문해자주
(閔) 弔者在門也。引申爲凡痛惜之辭。俗作憫。邶風。覯閔旣多。豳風。鬻子之閔斯。傳曰。閔、病也。从門。文聲。眉殞切。十三部。
강희자전《唐韻》眉隕切《集韻》《韻會》美隕切《正韻》弭盡切,音敏。《說文》弔者在門也。《徐曰》今別作憫,非。
又《玉篇》病也。《詩·衞風》覯閔旣多。《傳》病也。《禮·儒行》不閔有司。《釋文》閔,本亦作愍。
又傷念也。《詩·周南·遵彼汝墳序》婦人能閔其君子。《註》傷念也。
又勉也。《書·君奭》子惟用閔于天越民。《傳》閔,勉也。
又地名。《穀梁傳·僖二十三年》齊侯伐宋,圍閔。《釋文》閔,左氏作緡。
又姓。《韻會》孔子弟子閔損。
又閔馬父,見左傳。
又人名。《前漢·哀帝紀》立魯頃王子郚鄕侯閔爲王。
又《集韻》眉貧切,音珉。《說文》秋天也。引虞書,仁閔覆下,則稱旻天。或書作閔。通作。
又《詩·豳風》恩斯勤斯,鬻子之閔斯。《註》亦病也。

4. 용례

4.1. 인명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171,740명, 전체 45위의 성씨로 본관으로는 여흥(驢興)이 있다. 현대까지 전해지는 민씨 본관은 여흥(驪興) 하나뿐이다. 전국에 사는 민씨들은 모두 여흥 민씨이며 다 이 글자를 쓴다. 자세한 사항은 여흥 민씨 문서 참조.

5. 모양이 비슷한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