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5 23:58:05

버들 양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9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3획
고등학교
3급
-
일본어 음독
ヨウ
일본어 훈독
やなぎ
표준 중국어
yá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

楊은 '버들 양'이라는 한자로, '버들'을 뜻한다.

2. 상세

뜻을 나타내는 (나무 목)과 소리를 나타내는 (볕 양)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694A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DAMH(木日一竹)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양씨를 가진 사람들 중 일부가 해당 한자를 사용한다. 인구는 69,101명[2]이고, 본관은 청주, 중화, 남원 등이 있다.

3.4. 지명

3.5. 역명

역명에 楊이 들어가는 철도역 (국내)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녹양역(綠楊驛)
양주역(楊州驛)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양평역(楊坪驛)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양평역(楊平驛)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춘선 백양리역(楊平驛)
파일:Busan1.svg 부산 도시철도 1선 양정역(楊亭驛)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중앙선 양동역(楊東驛)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춘천속초선 (건설중) 양구역(楊口驛)
역명에 楊이 들어가는 철도역 (대만)
파일:타이완 철로관리국 로고.svg 종관선 양메이역(楊梅車站)
역명에 楊이 들어가는 철도역 (중국)
파일:상하이 지하철 3호선 로고.svg 상하이 지하철 3호선 바오양루역(宝杨路站)
장양베이루역(江杨北路站)
차오양루역(曹杨路站)
파일:상하이 지하철 4호선 로고.svg 상하이 지하철 4호선 양수푸루역(杨树浦路站)
차오양루역(曹杨路站)
파일:상하이 지하철 7호선 로고.svg 상하이 지하철 7호선 양가오난루역(杨高南路站)
파일:상하이 지하철 8호선 로고.svg 상하이 지하철 8호선 양쓰역(杨思站)
파일:상하이 지하철 9호선 로고.svg 상하이 지하철 9호선 양가오중루역(杨高中路站)
파일:상하이 지하철 11호선 로고.svg 상하이 지하철 11호선 차오양루역(曹杨路站)
파일:상하이 지하철 12호선 로고.svg 상하이 지하철 12호선 양가오베이루역(杨高北路站)
파일:상하이 지하철 14호선 로고.svg 상하이 지하철 14호선 차오양루역(曹杨路站)
파일:상하이 지하철 18호선 로고.svg 상하이 지하철 18호선 양가오중루역(杨高中路站)
일반 철도역 양춘역(杨村站)

3.6. 창작물

3.7.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수양버들[2] 2015년 인구조사 기준[3] (방탕할 탕)의 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