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명·지명 한자 약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륙 | |||||||
亞 | 歐 | 阿 · 非 | ||||||
아시아 | 유럽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가 | ||||
南 · 韓 | 北 · 朝 | 華 · 臺 · 台 | 中 · 漢 唐 | 日 和 | ||||
대한민국 | 북한 | 대만 중화민국 | 중국 | 일본 | ||||
蒙 | 美 · 米 | 英 | 加 | 濠 · 澳 | ||||
몽골 | 미국 | 영국 | 캐나다 | 호주 | ||||
佛 · 法 | 獨 · 德 | 墺 · 奥 | 伊 | 蘭 | ||||
프랑스 | 독일 | 오스트리아 | 이탈리아 | 네덜란드 | ||||
西 | 葡 | 露 · 俄 | 印 | 印尼 | ||||
스페인 | 포르투갈 | 러시아 | 인도 | 인도네시아 | ||||
末 · 馬 · 馬聯 | 泰 | 比 | 越 | 埃 | ||||
말레이시아 | 태국 | 필리핀 | 베트남 | 이집트 | ||||
波 | 厓 · 愛 | 丁 | 瑞 | 那 · 諾 | ||||
폴란드 | 아일랜드 | 덴마크 | 스웨덴 | 노르웨이 | ||||
希 | 芬 | 南阿共 | 白 | 匈 · 洪 | ||||
그리스 | 핀란드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벨기에 | 헝가리 | ||||
瑞西 | 土 | 墨 | 阿根廷 | 巴西 | ||||
스위스 | 튀르키예 | 멕시코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
과거의 국가 | ||||||||
伽 | 高 · 麗 | 濟 | 羅 | 朝 | ||||
가야 [A] | 고구려 · 고려 [A] | 백제 [A] | 신라[A] | 조선[A] | ||||
大秦 | 蘇 | 普 | 倭 | 琉 | ||||
로마 제국 | 소련[B] | 프로이센[C] | 왜국 [D] | 류큐 왕국/열도 [D] | ||||
지역 및 도시 | ||||||||
亞太 | 滿 | 加州 | 羅城 | 桑港 | ||||
아시아-태평양 | 만주 지역 | 캘리포니아주 | 로스앤젤레스 | 샌프란시스코 | ||||
華盛頓 | 莫斯科 | 伯林 | 羅馬 | 倫敦 | ||||
워싱턴 D.C. | 모스크바 | 베를린 | 로마 | 런던 |
}}}}}}}}} ||
丁 고무래, 장정, 넷째 천간 정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一, 1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2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チョウ, テイ, トウ | ||||||
일본어 훈독 | あ-たる, ひのと | ||||||
- | |||||||
표준 중국어 | dī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丁의 획순 |
[clearfix]
1. 개요
丁은 '고무래/장정 정'이라는 한자로, '장정'을 뜻한다. (민중서림의 한자대사전(전면개정·증보판)에서는 '고무래정'으로 훈함은 잘못 이라고 표기되어 있으며, 국립국어원 홈페이지 게시글에는 고무래정이라고 칭한 글은 없다라고 적혀 있다[1])2. 상세
읽기 4급, 쓰기 3급에 2획인 간단한 한자. 부수는 한 일이다. 고무래[2]를 나타내는 한자라고 알려져있으나 이는 잘못된 것이다. 못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이후 못의 뜻으로는 앞에 金을 붙인 釘이 떨어져 나갔다.보통은 넷째 천간을 나타내는 한자로 많이 쓰인다. 그 외에는 16살이 넘은 성년 남성을 뜻하기도 한다. 장정(壯丁)에 그 뜻이 바로 나타난다. 여기서 파생되어 인구(人口) 등의 뜻으로도 쓰이는데 이때는 대개 요역이나 병역을 부담하는 사회의 핵심이라는 뜻이라 여자나 어린아이는 포함되지 않는다. 성씨로도 쓰는데[3] 복(卜)씨와 함께 가장 획수가 적다.
유니코드는 U+4E01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一弓(MN)으로 입력한다. 유니코드 통합 한자에서 2번째다.
갑골문에서 작은 네모 모양이었는데, 금문에서는 아예 점이 되었다. 그 후 지금과 같은 丁이 되었다.
일제강점기 당시 성적 체계에서 가장 낮은 점수이다.
간지 (干支) | ||||||||||||||||||||||
십간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십이지 | ||||||||||||||||||||||
- 丁은 10천간의 4번째이면서, 물상으로는 작은불, 촛불, 등불, 등대, 별, 달에 해당하고, 지지에서 午화와 같은 물상이다.
- 색상은 빨간색, 분홍색이다.
닮은꼴 문자로 그리스 문자인 τ(타우), 알파벳 J, T가 있다.
2.1. 납음 오행
丁이 들어 있는 오행- 정축(丁丑) 澗下水, 간하수
- 정묘(丁卯) 爐中火, 노중화
- 정사(丁巳) 沙中土, 사중토
- 정미(丁未) 天河水, 천하수
- 정유(丁酉) 山下火, 산하화
- 정해(丁亥) 屋上土, 벽상토
3. 용례
3.1. 단어
- 정축(丁丑)
- 정묘(丁卯)
- 정사(丁巳)
- 정미(丁未)
- 정유(丁酉)
- 정해(丁亥)
- 감정(監丁)
- 고정(雇丁)
- 교정(轎丁)
- 군정(軍丁)
- 낙정(落丁)
- 남정(男丁)
- 농정(農丁)
- 누정(漏丁)
- 독정(禿丁)
- 마정(馬丁)
- 병정(兵丁)
- 빙정(氷丁)
- 사정(使丁)
- 삼정(三丁)
- 상정(上丁)
- 성정(成丁)
- 양정(良丁)
- 여정(輿丁/餘丁)
- 역정(役丁/驛丁)
- 오정(梧丁)
- 옥정(沃丁/獄丁)
- 이정(里丁)
- 장정(壯丁/莊丁)
- 정남(丁男)
- 정년(丁年)
- 정녕(丁寧)
- 정묘(丁卯)
- 정묘호란(丁卯胡亂)
- 정미(丁未)
- 정미 7조약(丁未七條約)
- 정방(丁方)
- 정사(丁巳)
- 정시(丁時)
- 정월(丁月)
- 정역(丁役)
- 정유(丁酉)
- 정유재란(丁酉再亂)
- 정일(丁日)
- 정장(丁匠/丁壯)
- 정정(丁丁/正丁)
- 정제(丁祭)
- 정축(丁丑)
- 정해(丁亥)
- 정향(丁香)
- 족정(足丁)
- 중정(中丁)
- 지정(地丁)
- 징정(懲丁)
- 차정(次丁)
- 하정(下丁)
- 한정(閑丁)
- 정녀(丁女)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
15년 통계청 통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243,803명, 전체 34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나주(羅州), 압해(押海), 영광(靈光)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압해 정씨 문서 참조.
성이 정씨인 사람의 약 10%.
3.4. 창작물
3.5. 기타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5.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6. 여담
- 만적의 난을 공모한 노비들이, 양민을 의미하는 丁 자를 노란 종이에 적어 몸에 붙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1] https://www.korean.go.kr/nkview/onletter/20060501/03.html[2] 곡식을 그러 모으고 펴거나, 밭의 흙을 고르거나 아궁이의 재를 긁어모으는 데에 쓰는 '丁' 자 모양의 기구를 말한다.[3] 다만 정씨 중에서 丁을 쓰는 경우는 비교적 적은 편이다. 대부분 2급의 鄭(나라 정) 자를 쓰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