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1 12:38:03

지킬 잡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3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5획
미배정
미배정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
표준 중국어
kǎ, qiǎ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유의자4. 모양이 비슷한 한자5. 여담

1. 개요

卡은 '지킬 잡'이라는 한자로, '지키다', '관문', '초소' 등을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361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YMY(卜一卜)로 입력한다.

(위 상)과 (아래 하)가 겹쳐진 회의자로, '관문', '초소', '끼이다'라는 뜻을 나타낸다. '잡'이라는 뜻은 <<字彙補>>에서 소개하는 음이다.

중화권에서 'ka'의 음역자로 쓰이는데, 가장 대표적으로 '카드'를 중국어로 卡라고 한다. 그 이외에 car(자동차), 칼로리, 카스테라 등에도 이 한자를 쓴다. 심지어 카라오케를 음차할 때도 卡啦OK로 표기한다. 카타르의 음차 가탑이(卡)에도 쓰인다.[1]

KBS 스펀지 63회에서 '上과 下를 합치면 卡(카드 카) 자이다'로 소개된 바 있다. 해당 방송에서 카드는 위에서 아래로 긁으니까 上下라고 설명하였다.

3. 유의자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5. 여담

상반되는 뜻의 두 한자가 합쳐진 한자는 卡 말고도 (뾰족할 첨), (위 크고 아래 작을 염)이 있다. 이 두 한자는 (큰 대)와 (작을 소)가 합쳐진 한자이다.

[1] 모로코의 도시 카사블랑카薩布蘭(가사보란가, 중국 한자음으로는 카사뿌랑카)로 쓴다. 卡자가 시작과 끝에 나오는, 이른바 '카' 발음이 나오는 외래어 단어는 무조건 卡로 쓰는 것을 알 수 있다.[2] (희롱할 롱)의 이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