敦 도타울 돈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攴, 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2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トン | ||||||
일본어 훈독 | あつ-い | ||||||
- | |||||||
표준 중국어 | dūn, duì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敦은 '도타울 돈'이라는 한자로, '도탑다'를 뜻한다.이 한자는 매우 특이한 것이, 서로 다른 훈음이 6개이다. 도타울 돈, 다스릴 퇴, 제기[1] 대, 모일 단, 아로새길 조, 덮을 도이다. 훈도 모두 다르고, 음마저 제각각이다.
일본어 발음은 トン, あつい 정도이지만, 인명에는 あつ, あつし, おさむ, たい, つとむ, つる, のぶ등 쓰인다. 대표적인 중국어 발음은 dūn, duì 정도이지만, 사실 dūn, duī, tuán, diāo, dùn, dào, zhǔn, tūn, duì, tún 등으로 읽을 수 있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6566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卜木人大(YDOK)로 입력한다.음을 나타내는 𦎧(익힐 순)과, '일하다'의 뜻을 지닌 攴(칠 복)이 합쳐져 만들어진 형성자이다. 갑골문과 금문까지는 𦎧을 같이 쓰다가 금문에서부터 분화된다. 이후 자형이 간략해지면서 𦎧의 아랫부분 羊이 탈락하고 亯(이 자체가 누릴 향享과 같은 글자다)이 享으로 바뀌고 칠 복이 둥글월문으로 바꾸고 현재의 자형이 됐다.
이체자로는 㪟(U+3A9F)이 있다.
3. 용례
3.1. 단어
- 敦篤(돈독) - 재밌게도 두 한자 모두 3급 한자로 서로 붙어 있다.
- 敦厚(돈후)
- 倫敦(윤돈) - 런던의 음역어이다. 러시아를 '노서아'라고 부르는 것과 마찬가지다.
- 敦義門(돈의문)
- 敦化門(돈화문)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강돈욱(康敦煜)
- 고광돈(高光敦)
- 구루돈(寇婁敦)
- 구판돈(具判敦)
- 권돈인(權敦仁)
- 김돈중(金敦中)
- 김명돈(金明敦)
- 김상돈(金相敦)
- 나카지마 아츠시(中島敦)
- 나카타 아츠히코(中田敦彦)
- 등돈(鄧敦)
- 마시코 아츠키(増子敦貴)
- 마에다 아츠코(前田敦子)
- 심재돈(沈載敦)
- 야나기사와 아쓰시(柳澤敦)
- 오거돈(吳巨敦)
- 오돈(吳敦)
- 우기돈(禹基敦)
- 유상돈(劉尙敦)
- 이돈승(李敦承)
- 이돈형(李敦珩)
- 이돈희(李敦熙)
- 이카리야 아츠시(碇谷敦)
- 인교돈(印敎敦)
- 장성돈(張星敦)
- 정행돈(鄭行敦)
- 정형돈(鄭亨敦)
- 주돈이(周敦頤)
- 최돈례(崔敦禮)
- 츠루가 메이사이(敦賀迷彩)
- 타네자키 아츠미(種﨑敦美)
- 하대돈(河大敦)
- 후루타 아츠야(古田敦也)
- 후지와라노 아쓰타다(藤原敦忠)
3.4. 지명
4. 유의자
- 도탑다
- 덮다
- 새기다
5. 상대자
- 薄(엷을 박)
[1] 祭器, 즉 '제사에 쓰는 그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