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2 15:46:43


숫자 한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廿(이십) (삼십) (사십) ()
- -
1(이백) () () () ()
- - - -
() () () () ()
- - - - -
() () ()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 ||

십진수
Decimal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큰 수 작은 수
(/)
(100)
(/)
(101)
(//)
(102)
(//)
(103)
<colbgcolor=#d3d3d3,#000> /분()
(10-1)
<colbgcolor=#d3d3d3,#000> ()
(10-2)
<colbgcolor=#d3d3d3,#000> ()/()
(10-3)
<colbgcolor=#d3d3d3,#000> ()
(10-4)
()
(104)
십만(十萬)
(105)
백만(百萬)
(106)
천만(千萬)
(107)
()
(10-5)
()
(10-6)
()
(10-7)
()
(10-8)
()
(108)
십억(十億)
(109)
백억(百億)
(1010)
천억(千億)
(1011)
()
(10-9)
()
(10-10)
()
(10-11)
()
(10-12)
()
(1012)
()
(1016)
()
(1020)
()
(1024)
모호
(10-13)
준순
(10-14)
수유
(10-15)
순식
(10-16)
(/)
(1028)
()
(1032)
()
(1036)
()
(1040)
탄지
(10-17)
찰나
(10-18)
육덕
(10-19)
허공
(10-20)
()
(1044)
()
(1048)
항하사
(1052)
아승기
(1056)
청정
(10-21)
아라야
(10-22)
아마라
(10-23)
열반적정
(10-24)
나유타
(1060)
불가사의
(1064)
무량대수
(1068)
...
구골
(10100)
구골플렉스
([math(10^{10^{100}})])
구골플렉시안(10구골플렉스)
}}}}}}}}} ||
실을 재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6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3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サイ
일본어 훈독
の-せる, の-る, しる-す, とし
표준 중국어
zǎi, zài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6. 기타

[clearfix]

1. 개요

載는 '실을 재'라는 한자로, '싣다'를 뜻하고, 수 (1044)에 해당된 한자이기도 하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8F09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十戈十田十(JIJWJ)으로 입력한다.

(일 재)와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수레 차)와 소리를 나타내는 𢦏(才와 戈의 합자인 𢦒의 간략형)가 결합한 형성자이며, 물건을 싣는다는 뜻으로 사용한다. 또한, 십진수 중 하나로도 쓰이는데, 10의 44제곱을 뜻한다. 그리고 '해'라는 뜻도 있는데, <이아(爾雅)> 석천(釋天)편에서 '하나라에선 세(歲), 상나라에선 사(祀), 주나라에선 년(年), 당우(唐虞)[1]는 재라 했다.'라고 나오니 상당히 오래된 용례다. 일설에는 해라는 훈은 玆의 동음가차자에서 기인한다고 한다.

당현종 때는 해를 뜻하는 공식 용어를 아예 '년(年)' 대신 '재(載)'를 쓰기도 했다. 즉 천보(天寶) 3년(744년) 1월에 년(年)이라는 표현을 재(載)로 고쳐 천보 3재, 천보 4재, ...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후 아들 당숙종지덕(至德)을 거쳐 건원(乾元) 원년(758년) 2월에서야 다시 년이라는 표현이 14년 만에 복구되었다. 이러한 흔적은 사자성어 '천재일우'에 남아 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기타

HSK 4급에 출제된다. 현대중국어에서 下载는 다운로드, 加载中은 로딩중을 뜻한다. 한국과 달리 중국에서는 인명에 잘 쓰이지 않는 한자이다.
[1] 도당씨(陶唐氏) (堯)와 유우씨(有虞氏) (舜)을 아울러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