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9-20 12:29:45

𦎧

𦎧
⿱亯𦍋
익을 순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9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6획
미배정
미배정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
표준 중국어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글자


1. 개요

𦎧는 익을 순이라는 한자로, '익다', '익히다'를 뜻한다. 현대에는 독립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며, 음이 '순', '돈' 등인 한자의 성부로 쓰이지만, 그대로 쓰지 않고 간략화한 (누릴 향)으로 대신하기 때문에 이 글자 자체를 사용하지는 않는다.

2. 상세

유니코드로는 U+263A7에 배당되어 있다.

식기의 모양을 본뜬 亯(누릴 향, 형통할 형)과 (양 양)이 결합해, 양고기를 식기에 '익힌다'를 뜻한다. 금문까지는 (도타울 돈)과 통용했고, 나중에 (칠 복)이 결합해 분화되었다. 이체자로는 아랫부분의 양 양을 보통의 해서체로 쓴 𦎫(U+263AB)가 있으나, 강희자전에서는 소전에서 변화를 덜 준 𦍋를 쓴 𦎧를 표제자로 채택했다.

3.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글자

현대에는 그대로 구성 요소로 들어가지 않고 (누릴 향)으로 간략화해 쓰나, 본자는 이 글자를 써야 한다. 그러나 享이 들어간다고 다 이 글자가 성부인 것은 아니고, 처럼 일부는 𩫏(외성 곽)이 성부이므로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