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04:13:10

국명·지명 한자 약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대륙
·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5><bgcolor=#ddd,#383b40> 국가 ||
· · · · ·

대한민국 북한 대만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일본국
· ·
몽골국 미합중국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 왕국

영국
캐나다 호주 연방
· · ·
프랑스 공화국 독일 연방 공화국 오트리아 공화국 이탈리아 공화국 네덜란드 왕국
西 ·
스페인 왕국 포르투갈 공화국 러시아 연방 인도 공화국 인도네시아 공화국
· ·
말레이시아 타이 왕국 필리핀 공화국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이집트 아랍 공화국
· ·
폴란드 공화국 아일랜드 덴마크 왕국 스웨덴 왕국 노르웨이 왕국
·
그리스 공화국 핀란드 공화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벨기에 왕국 헝가리
西 西
스위스 연방 튀르키예 공화국 멕시코 합중국 아르헨티나 공화국 브라질 연방 공화국
과거의 국가
·
가야 고구려 · 고려 백제 신라 대조선국
로마 제국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프로이센 왜국
[現]
류큐 왕국/열도
[現]
지역 및 도시
滿
아시아-태평양 만주 지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시티 샌프란시스코 시티
워싱턴 D.C. 모스크바 베를린 로마 그레이터 런던

[現] 일본[現]
}}}}}} ||
난초 란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17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21획
고등학교
[1]
일본어 음독
ラン
일본어 훈독
あららぎ, ふじばかま
표준 중국어
lá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
2.1. 언어·지역별 자형 차이
3. 이체자4. 용례
4.1. 낱말, 고사성어4.2. 인명, 지명, 캐릭터명, 작품명 등4.3. 기타

[clearfix]

1. 개요

蘭은 '난초 란'이라는 한자로, '난초'를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는 U+862D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廿日弓田(TANW)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풀 초)와 음을 나타내는 (가로막을 란)으로 이루어진 형성자이다.
일본에서는 여성의 이름에 꽤 자주 쓰인다. 한국에서도 여성의 이름에 어느 정도 쓰인다. 장미란이 대표적인 예시.

네덜란드가차로 '화란'이라 적기 때문에 네덜란드를 뜻하는 글자이기도 하다. 일본 개화기에 네덜란드에서 수입해 온 서구 학문을 '난학(蘭學)'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이외에도 폴란드(波蘭)나 핀란드(芬蘭) 등 land를 음차할 때 蘭이 쓰인다.

2.1. 언어·지역별 자형 차이

파일:attachment/u862D.png
(G: 중국, T: 대만, J: 일본어, K: 한국어, V: 베트남어(쯔놈))

보다시피 일본어에서는 '門' 안쪽에 '柬'이 아니라 '東'을 채운다. 즉 일본어에서는 艸부 16획, 총 19획이다. 이유는 예전에 일본에서 인명용 한자를 정할 때 상용 한자가 아닌 한자 대개를 신자체와 똑같은 방식으로 간략히 바꾸었기 때문이다. (현재는 상용 한자가 아닌 것은 간략화되지 않는다.) 柬을 東으로 바꾼 것은 상용 한자의 鍊 → 錬, 練(糸+柬 → 糸+東), 欄(木+門+柬 → 木+門+東) 등에 맞춘 것이다.

3. 이체자

兰(유니코드 5170, 八부 3획, TMM(廿一一))
𬞕(유니코드 2c795, 艸부 12획)

兰은 蘭의 간체자로, 중국에서 사용한다.

문주란의 앨범에서 文珠蘭의 蘭을 艹와 门과 东의 형태로 쓴 약자도 발견된다. 예시1 예시2 예시3 蘭에서 門만 门으로 간화한 이체자가 유니코드에 추가되었다. 이치란의 상표에서 쓰이는 형태이다.

4. 용례

4.1. 낱말, 고사성어

4.2. 인명, 지명, 캐릭터명, 작품명 등

4.3. 기타


[1] (문 문) 안쪽이 (가릴 간)이 아닌 (동녘 동)이다.[2] 중국의 바둑기사 마샤오춘춘란배(春兰杯)를 비꼬아 부른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