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4 01:02:07

팽나무

팽나무
East Asian hackberry
파일:450px-Celtis_sinensis.jpg
학명 Celtis sinensis
분류
<colbgcolor=#d7ffce,#0f4a02> 식물계(Plantae)
분류군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속씨식물군(Angiosperms)
쌍떡잎식물군 (Eudicots)
장미군(Rosids)
장미목(Rosales)
삼과(Cannabaceae)
팽나무속(Celtis)
팽나무(C. sinensis)
1. 개요2. 천연기념물 지정3. 잘 알려진 개체4. 기타

1. 개요

장미목 삼과[1]의 나무. 속명 셀티스(Celtis)는 고대 그리스어로 ‘열매가 맛있는 나무’란 뜻으로, 열매가 달콤해서 새들이 무척 좋아한다.

이름에 대해서는 '이삭이 패다', '꽃이 피다' 라는 데서 왔다는 어원설도 있고 #, 여름에 팽나무 열매를 대나무 꼬챙이에 꽂아 휘두르면, 열매가 마치 총알처럼 날아가는데,[2] 이때 날아가는 소리가 '팽~'하고 나서 팽나무라고 불리게 되었다는 어원설도 있다. #

목재는 가볍고 단단하며 잘 갈라지지 않아서 가구나 목조 가옥을 만들 때 사용한다. 잔가지와 나무껍질은 한의학에서 박유지(朴楡枝) 또는 박수피(朴樹皮)로 부르는 약재로 사용한다.

꽃말은 고귀함이다.

2. 천연기념물 지정

구분 (구)지정번호 명칭 지정일 주소
개체 34호 옥룡면의팽나무[3] 1962년 12월 3일 전라남도 광양시 왕룡면 산남리 279
46호 대문리의팽나무[4] 1962년 12월 3일 전라남도 완도군 군외면 대문리 404번지
308호 고성하이면의팽나무[5] 1982년 11월 4일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하이로 72-4, 5필 (덕호리)
309호 부산 구포동 팽나무[6] 1982년 11월 4일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 1206-31
310호 무안현경면의팽나무[7] 1982년 11월 4일 전라남도 무안군 현경면 가입리 214-1번지
400호 예천 금남리 황목근(팽나무)[8] 1998년 12월 23일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금남리 696번지
494호 고창 수동리 팽나무 2008년 5월 1일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수동리 446번지
- 창원 북부리 팽나무 2022년 10월 7일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 북부리 102-1번지
- 군산 하제마을 팽나무 2024년 10월 31일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옥서면 선연리 산 205
82호 무안 청천리 팽나무와 개서어나무 숲 1962년 12월 7일 전라남도 무안군 청계면 청천리
108호 함평 향교리 느티나무·팽나무·개서어나무 숲 1962년 12월 7일 전라남도 함평군 대동면 향교리 산948-2번지
161호 제주 성읍리 느티나무 및 팽나무 군 1964년 1월 31일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309호 부산 구포동 당숲[9] 1982년 11월 4일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 1206-31
366호 담양 관방제림[10] 1991년 11월 27일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남산리 일원
480호 보성 전일리 팽나무 숲 2007년 8월 9일 전라남도 보성군 화전면 전일리 385번지

3. 잘 알려진 개체

4. 기타


[1] 느릅나무과(Ulmaceae)로 분류하기도 한다.[2] 이것을 팽총이라고 한다.[3] 가치 상실로 1962.12.03 지정해제[4] 가치상실로 1965.10.12 지정해제[5] 가치상실로 1983.08.19 지정해제[6] 팽나무의 수세가 약화되며 2008년에 주변 당숲까지 확대지정. 2017년에 완전히 고사했다.[7] 수형 훼손과 목질부 부패로 가치를 상실, 2001.09.10 지정해제[8] 같은 예천군에 있는 석송령처럼 자기 재산을 갖고 있는 나무이다[9] 중심이 되는 팽나무의 수세가 약화되며 2008년에 주변 당숲까지 확대지정[10]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구역 안 185주 중 18주가 팽나무다.[11] 다만 천연기념물은 유지했는데, 지정 당시에는 '팽나무'가 중심이었지만, 이후에는 주변 당숲으로 확대 지정했다.[12]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의 중원로터리에 나이가 1200살 전후인 것으로 추정되는 팽나무가 있었으나, 1950년대 중반에 수명을 다하고 고사했다. 당시 크기는 수관직경 약 30m, 높이 15m에 달했으며 한국 기록사상 최고령의 팽나무였다. #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