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 | |||||||||||||
가 | 나 | 다 | 라 | 마 | 바 | 사 | |||||||
아 | 자 | 차 | 카 | 타 | 파 | 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0%;" {{{#!folding [ 야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 갸 | 냐 | 댜 | 랴 | 먀 | 뱌 | 샤 | ||||||
야 | 쟈 | 챠 | 캬 | 탸 | 퍄 | 햐 |
- [ 어 ]
- [ 여 ]
- [ 오 ]
- [ 요 ]
- [ 우 ]
- [ 유 ]
- [ 으 ]
- [ 이 ]
현대 한글의 모든 글자 · 틀:한글자모 · 틀:유니코드 한글자모 |
차 | |||||||
유니코드 | U+CC28 | ||||||
완성형 수록 여부 | O | ||||||
구성 | ㅊ+ㅏ | ||||||
두벌식 (QWERTY) | ck | ||||||
세벌식 최종 (QWERTY) | of | ||||||
현행 로마자 표기법 | cha |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ch'a |
1. 1자 한자어
1.1. 차(車), 운송 수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동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동차#|]][[자동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고전 중국 문언문이나 중국어에서 車는 수레를 비롯해 바퀴가 달린 모든 운송 수단을 말한다.
한국어에서는 자동차의 준말로 부를 때가 더 많다. 한국에서 도로교통법에서는 자동차뿐만 아니라 건설기계, 원동기장치자전거, 자전거 및 사람 또는 가축의 힘이나 그 밖의 동력으로 도로에서 운전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수레, 마차, 달구지등도 포함된다. 이러한 차들은 인도를 주행해서는 안되고 자전거와 개인형이동수단에 한해 자전거도로를 이용할 수 있다.
1.2. 차(車), 장기의 기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차(장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차(장기)#|]][[차(장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3. 차(茶), 음료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차#|]][[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4. 차(次), 의존명사
크게 세 가지 용법으로 쓰인다.- 한자어 숫자 뒤에 사용하여 '번, 차례'를 의미할 때는 의존명사이므로 원칙적으로는 띄어 써야 하나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된다. 예) 제2 차 세계 대전 다만 번째를 의미하는 경우가 아니면 붙여 써야 한다. 예)일차방정식
한국에서는 아파트 단지의 묶음으로 자주 쓴다. 타워팰리스 3차 등. 거대 단지는 7차, 8차까지 가기도 한다. '-차'라는 말을 쓰지 않고 '-단지'라고 할 때도 있다. - '어떤 일을 하려던 순간'일 때 사용하는 차 또한 띄어 쓴다. 예) 나가려던 차에
- 반면 목적을 강조하기 위해 쓸 경우 붙여 쓴다. 예) 연구차, 사업차
- 하루의 술자리에서 술집을 이용한 횟수를 1차, 2차(another round), 3차 등으로 일컫는다. 한 번 자리를 옮긴 걸 2차 간다고 하는데, 새로운 곳에서 새 안주를 주문하므로 돈이 꽤 뜬다. 예) 1차에 000 술집 갔으니, 2차로 ㅇㅇㅇ에 가자.
1.5. 차(差), 차이
수학적으로는 뺄셈으로 정의된다.2. 한자
|
권 당 독 령 로 루 만 면 묘 병 송 승 심 약 어 요 음 저 절 차 체 추 태 피 향5 건 격 결 곡 광 괴 군 급 내 등 란 려 렬 록 류 맹 목 문 번 변 산 설 습 야 예 욕 용 운 작 점 좌 중 질 채 척 충 타 탁 탄 판 표 필 혼 홍 황 회 후 희4 검 국 궁 귀 규 극 노 담 답 두 락 랑 력 례 료 률 마 막 민 발 백 범 불 빈 술 실 앙 애 억 열 염 옥 은 일 임 준 직 착 참 책 철 촉 총 택 토 통 투 폭 함 헌 혜 확 효3 걸 겸 곤 균 난 남 뇌 다 돈 둔 람 략 뢰 륙 륜 림 맥 몽 묵 물 밀 벌 벽 붕 빙 삭 색 섭 손 쇄 악 암 압 액 언 옹 와 완 왕 외 월 육 윤 읍 응 익 잠 접 족 존 졸 집 징 찬 처 첨 촌 최 측 칠 탈 탐 패 평 풍 학 행 허 험 혈 협 혹 획 휘 휴 흉2 |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
교육용 한자 중 '차'로 읽는 글자는 다음 5자이다.
의외로 車가 없는데 '거' 쪽에만 실려있다. 그렇다고 '거'만 교육한다는 것은 아니다.
3. 고유명사
3.1. Char, 일본의 기타리스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har#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har#|]][[Char#|]]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 차(Char), 스타크래프트에 등장하는 행성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차(스타크래프트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차(스타크래프트 시리즈)#|]][[차(스타크래프트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다른 '차'와 헷갈리기에 '차르'라고도 많이 적었다. 스타크래프트 2에서 표기가 '차'로 정해진 후에도 같은 이유로 '차 행성'이라고 자주 부른다.
3.3. 차씨(車/次), 한국의 성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차(성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차(성씨)#|]][[차(성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4. 주걸륜의 노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扯(주걸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扯(주걸륜)#|]][[扯(주걸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