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2 23:57:09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캐릭터가 등장하는 작품}}}에 대한 내용은 [[곰돌이 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곰돌이 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곰돌이 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푸(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푸(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푸(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캐릭터가 등장하는 작품: }}}[[곰돌이 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곰돌이 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곰돌이 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동음이의어: }}}[[푸(동음이의어)]]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푸(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푸(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10px -10px"<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svg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 화이트.svg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
Hollywood Walk of Fame Stars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d4a1a1><colcolor=#fff,#000> 이름 위니 더 푸
WINNIE THE POOH
분야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영화 심볼.jpg 영화
입성날짜 2006년 4월 11일
위치 6834 Hollywood Blvd. }}}}}}}}}



파일:winnie the pooh.png

1. 개요2. 이름3. 특징4. 여담

1. 개요

파일:pooh-happy-birthday.gif

Pooh. 곰돌이 푸주인공.

영미판 성우는 스털링 할로웨이(1966~1977)[1], 할 스미스(1980~1987), 짐 커밍스(1988년부터)[2], 한국판 성우는 1990년 KBS-2 방영판에서 송도영/디즈니 만화동산 이후로 이윤선(TV판)[3], 홍범기(심슨 가족의 해피 플러스 데이). 일본판 성우는 야마다 야스오(극장공개판), 우시야마 시게루(포니 및 반다이판), 요시무라 요우(1990년 ~ 1991년), 야시로 슌(1992년 ~ 2003년), 카메야마 스케키요(2003년 ~ 2013년), 카누카 미츠아키(2014년 ~ 현재).

2. 이름

영문 이름은 Winnie the Pooh(위니 더 푸)로 실제로 존재했던 곰 '위니'의 이름을 따왔다. 위니는 런던 동물원에 있던 캐나다 암컷 흑곰이다. 위니가 암컷 곰이라 푸의 성별 논란이 많았는데, 어디까지나 모티브가 된 모델이 암컷이었을 뿐 푸는 수컷이 맞다. 애초에 봉제 인형이기도 하다.

곰을 사냥꾼으로부터 사들인 해리 콜번이 자신의 고향인 캐나다의 도시 위니펙에서 이름을 갖고왔다. NHL위니펙 제츠의 연고지이자 WWE 슈퍼스타 중 한 명인 크리스 제리코의 연고지기도 하다. 따라서 'Pooh(푸)'는 친구들 사이에서 불리는 별명이고 진짜 본명은 'Winnie(위니)'이다.[4] 한국판에서는 곰돌이 푸(우), 일본판에서는 쿠마노 푸우상(クマのプーさん, 곰 푸 씨)이 정식 풀 네임이다. 중화권에서는 '위니'를 음차한 維尼/维尼(웨이니)라고 불리는데 이 표기는 시진핑 정부에서 금지어다.

3. 특징

둔하지만 착하고 순수한 의 이미지를 하고 있다. 사람에 따라서는 너무 착하다고 반감을 갖는 경우도 있다. 사실 진짜 곰은 아니고 봉제인형이며 가끔 과도하게 힘을 주거나 하면 등쪽의 솔기가 터지기도 한다. 참고로 푸 본인은 아무렇지도 않게 '어, 뒤가 터졌네'하면서 여며 묶고는 도로 제 할 일을 한다. 그리고 배가 터지는 장면도 있다. 어리석고 살이 찐 순진한 곰. 언제나 낙천적이고 느긋한 성격의 곰모양 봉제인형이다. 을 제일 좋아한다. 그래서 코끼리와 족제비가 꿀을 노리고 있다고 믿는 에피소드에서는 장난감 총을 들고 밤새 보초를 서기도 했다. 그냥 좋아하는 수준이 아니라 꿀만 보면 다른 건 하나도 눈에 안 들어와 별의별 사건에 다 휘말린다. 그리고 기억력이 상당히 나쁘다. 크리스토퍼 로빈이 친애를 담아 바보 곰(Silly bear)이라고 부를 정도. 영어 철자법도 잘 모르는지 Honey(꿀)을 Hunny라고 쓴다.

매사에 너무 느긋하고 순진한 성격 탓에 친구인 토끼에게 눈치없게 빌붙거나 물건을 빌려가놓곤 잊어버린 덕에 토끼를 화나게 만들거나 본의 아니게 피글렛을 섭섭하게 만들기도 하지만, 순진하고 희생적이며 진심으로 친구를 위하는 마음 덕에 잘 해결된다. 시나 노래를 만드는 것을 좋아한다. 바보스러워 보이지만 위기 상황이 닥치면 똑똑한 말을 하기도 한다. 특유의 빨간 티셔츠와 하의실종 패션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게 애니메이션에서 그나마 상의라도 입고 있는 것이고 원작 소설의 삽화에서는 아무것도 입지 않는다. 미키마우스에게 옷을 선물받았다고 카더라. 곰인데 굳이 옷을 입을 필요가 있나? 원작에서도 겨울에는 빨간 스웨터를 입거나 머플러를 하기도 한다. 디즈니 애니에서 이 스웨터를 일년내내 입을 뿐.

일행 중에서 크리스토퍼 로빈과 가장 가까운 사이이며 그만큼 로빈을 가장 좋아하고 매우 친하다. 로빈이 학교를 갈 나이가 되어 단 둘이서 이야기를 나누는 장면은 특히나 찡하고 감동적이다. 로빈이 자신이 100살이 되어도 푸가 자길 잊지 말아줬으면 좋겠다고 하자 푸가 그때면 자신은 몇살이냐고 묻는다. 로빈의 언급에 따르면 99살. TV판에서도 이런 관계가 지속되어서 크리스토퍼 로빈이 대대로 내려져오는 가보인 흉상을 실수로 깨뜨려서 가출할 때 같이 동행하기도 하고 크리스토퍼 로빈에게 받은 풍선을 터뜨려 로빈이 너 고소하는 악몽까지 꾸지만, 정작 크리스토퍼 로빈은 이 모두 괜찮다고 했다.

4. 여담


[1] 정글북카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체셔 고양이의 성우이기도 하다. 1905년생으로 60년간 성우로 활동했으며 1992년에 사망했다.[2] 스털링 할로웨이로부터 다수의 역할을 이어받아 카아 역을 1996년부터, 체셔 고양이 역을 2004년부터 맡은 성우.[3] 이윤선으로만 알려졌으나 1990년 6월 방영판 오프닝을 보면 전부터 송도영이 맡았음을 알 수 있다. 나중에 이윤선이 디즈니 사에서 전속 계약을 맺었기 때문에 성우가 은퇴나 사망하기 전까지 푸 역은 무조건 이 성우로 캐스팅해야 한다. 송도영 성우는 이윤선 성우가 전속 계약을 하기 전에 맡은 것으로 추정.[4] 이를 반영해서 중국어권에서는 위니를 음차한 維尼(维尼)라고 표기한다.[5] 이건 사실 Winnie라는 이름이 남녀공용으로 쓰이는 탓이다. 실제 원작 동화에서도 Winnie는 여자아이 이름이 아니었냐고 지적하는 장면이 있다.[6] 곰돌이 푸는 A. A. 밀른이, 패딩턴 베어는 마이클 본드가 저자인 소설이다.[7] 패딩턴은 2014년과 2018년에 1편과 2편이 개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