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3:38:39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물리학에서 말하는 일에 대한 내용에 대한 내용은 일(물리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물리학에서 말하는 일에 대한 내용:
일(물리학)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1. 한국어2. 한자3. 고유명사4. 인명

1. 한국어

2. 한자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국 한자음 빈도
[1~10위]
32 27 25 20 19
[11~106위]
18 17 16 15 14 13 12 11 10 9 8 7 6
[107~308위]
5 4 3 2
[309~407위]
1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교육용 한자 중 '일'로 읽는 글자는 아래 3자이다. 은 위에서도 보듯 단독으로도 자주 쓰이나 은 그렇지 않다.

그밖의 한자로는 해일(海溢)의 (넘칠 일) 정도이다.

기원적으로 一, 逸, 溢은 예전부터 초성이 동일하게 影母였으나 日은 좀 달랐다. 한국에서도 중세 한국어 시기에는 日의 음이 ᅀᅵᆯ()이었다. 이것이 일본어/중국어에는 그대로 남아 [ いつ (一, 逸) / にち・じつ (日) ], [ yi (一, 逸) / ri (日) ] 로 차이를 보인다.

3. 고유명사

4. 인명

사람 이름으로도 쓰인다.
[1] 반대의미의 한자어는 무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