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메르 관련 문서 | ||
문화 | 수메르어 | |
신화 | 메소포타미아 신화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83D8B 0%, #445C91 20%, #445C91 80%, #483D8B);"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E4C77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역사 | <colbgcolor=#FFF,#1F2023>우루크 시대 · 젬데트 나스르 시대 · 초기 왕조 시대 · 아카드 · 구티 왕조 · 우르 제3왕조 · 이신-라르사 시대 · 고바빌로니아 · 카시트 왕조 · 미탄니 · 아시리아 · 신바빌로니아 |
민족 | 수메르인 · 아카드인 · 아시리아인 · 아모리인 · 카시트인 · 칼데아인 | |
지리 | 메소포타미아 · 비옥한 초승달 · 티그리스강 · 유프라테스강 · 자그로스 산맥 | |
도시 | 니네베 · 니푸르 · 님루드 · 라가시 · 라르사 · 마리 · 바빌론 · 아수르 · 우루크 · 우르 · 움마 · 이신 · 키쉬 | |
종교 | 메소포타미아 신화 | |
문화 | 길가메시 서사시 · 에누마 엘리시 · 우르남무 법전 · 함무라비 법전 · 메소포타미아 문명/성문화 · 우르의 게임 · 메소포타미아 음악 · 메소포타미아 미술 | |
언어 | 수메르어 · 아카드어 · 아람어 | |
문자 | 쐐기 문자 · 아람 문자 | |
건축 | 지구라트 · 우르의 지구라트 · 에테멘앙키 · 바빌론의 공중정원 · 이슈타르의 문 · 행진의 거리 · 라마수 | |
인물 | 길가메시 · 사르곤 · 나람신 · 우르남무 · 슐기 · 함무라비 ·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 · 아슈르바니팔 · 네부카드네자르 2세 | |
}}}}}}}}}}}}}}} |
고립어 {{{#fff 'Language isolate'}}}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나다순 정렬 / 원어민이 약 50만 명 이상 있는 언어는 굵게 표시. / 사어는 † 표시. | |
<colbgcolor=#eee,#000> ㄴ | 니브흐어 | |
ㅁ | 마푸체어 | |
ㅂ | 바스크어 · 부루샤스키어 | |
ㅅ | 수메르어† | |
ㅇ | 아이누어 · 야간어† · 에트루리아어† · 엘람어† · 이베리아어† | |
ㅎ | 한국어 | |
관련 문서: 비교언어학 · 어족 | }}}}}}}}} |
수메르어 𒅴𒄀 | Eme-ĝi | 𒅴𒂠 | Emegir Sumerian (language) | ||
<colcolor=#000,#eee><colbgcolor=#8ef6f6,#000> 유형 | 교착어 | |
어순 | 주어-목적어-서술어 (SOV) | |
문자 | 쐐기 문자 | |
주요 사용 지역 (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 없음(사멸) 수메르, 아카드 | |
사멸 | 기원전 2000~1800년경 약 기원후 100년까지 고전 언어로 사용 | |
계통 | 고립어 | |
언어 코드 | <colcolor=#000,#eee><colbgcolor=#8ef6f6,#000> ISO 639-2 | sux |
ISO 639-3 | sux | |
글로톨로그 | sume1241 |
[clearfix]
1. 개요
수메르어는 메소포타미아 문명 초기의 수메르인들이 사용하던 언어이다. 수메르어로는 '𒅴𒄀(Eme-ĝi)' 또는 '𒅴𒂠(Eme-g̃ir)'[1]라고 불렸다.계통론적으로 볼 때 고립어에 해당하는데, 이는 수메르어와 친족 관계에 있는 언어가 하나도 알려져 있지 않다는 뜻이다. 반면 수메르어 해독에 결정적 역할을 한 아카드어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셈어파임이 알려져 있다. 수메르어 연구의 최대 장애물이 바로 수메르어의 친척 언어가 밝혀지지 않아 비교언어학적 연구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비교적 합의된 연구 성과가 존재하는 아카드어와 달리 수메르어는 여전히 여러 학자들의 학설이 대립하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학자마다 전사 방식과 문법 분석이 다르고, 이를 배우는 학생들은 고통받는다. 엘람의 언어, 더 나아가 드라비다어족과 연관짓는 가설이 있으나 주류 학계에서 합의된 이야기는 아니다.
2. 특징
학자들이 어느 정도 합의한 수메르어 및 그 표기법의 특징은 아래 몇 가지가 있다.1) 유형론적으로 교착어에 해당한다. 굴절어인 아카드어와 달리 명사 곡용 및 동사 활용에서 형태소 사이의 경계가 확실하며, 특히 동사 활용의 경우 문법 표기 여러 개가 순서대로 어간에 부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의미한정사(determinative)가 존재하여 선행하는, 또는 후행하는 단어의 독음과 의미를 한정한다. 예를 들어, 평소에는 𒀭/diĝir('신'이라는 뜻이다) 또는 an이라고 읽는 쐐기 문자를 신의 이름 앞에 적음으로써 𒀭/diĝir 뒤의 단어가 신의 이름임을 나타낸다. 이때 diĝir는 소리내어 읽지 않으며, 전사 시에는 위첨자로 d로 나타낸다. (e.g. dNanna) 의미한정사는 선행하는 경우(신의 이름을 표지하는 diĝir), 후행하는 경우(지명을 표지하는 ki) 모두 존재한다.
3) 능격-절대격(Ergative-Absolutive) 언어이다. 수메르어의 모든 문장에서 능격성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그러나 능격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때문에 능격-절대격 언어로 분류한다. 이는 대부분의 능격-절대격 언어에 해당되는 주석이다. 능격-절대격 언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대되는 개념인 주격-대격(Nominative-Accusative) 언어를 이해해야 한다. 한국어, 영어를 비롯한 언어에서는 자동사문의 의미상 주어와 타동사문의 의미상 주어가 같은 격(주격)을 취한다. 이와 같은 언어를 주격-대격 언어라 한다. 그러나 바스크어를 비롯한 언어에서는 자동사문의 의미상 주어가 타동사문의 의미상 목적어와 같은 격을 취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자동사문의 의미상 주어와 타동사문의 의미상 목적어가 취하는 격을 절대격, 타동사문의 의미상 주어가 취하는 격을 능격이라 한다. 수메르어의 경우 완료상 문장에서 능격성이 두드러진다.
3. 어휘
- 𒄞(GU4, GUD, 구): 소
- 𒀭(DIG̃IR, 딩기르): 신
- 𒇽(LÚ, 루): 남자
- 𒈗(LUGAL, 루갈): 왕
- 𒊩(MUNUS, 무누스): 여자
- 𒂄(ŠAḪ₂, 사): 돼지
- 𒀀(A, 아): 물
- 𒂼(AMA, 아마): 어머니
- 𒀊𒁀(ABBA, 아바): 아버지
- 𒀭(AN, 안): 하늘
- 𒀲(ANŠE, 안세): 당나귀
- 𒄞𒆳𒋛𒄮𒊏𒀭(AM.SI.ḪAR.RA.AN, 안세-아바): 단봉낙타
- 𒀲𒆳𒊏(ANŠE-KUR-RA, 안세쿠라): 말
- 𒇻(UDU, 우두): 양
- 𒌨𒂠(URGIR, 우르기): 개
- 𒍚(ÙZ, 우즈): 염소
- 𒉈(IZI, 이지): 불
- 𒆠(KI, 키): 땅
4. 들어보기
ILoveLanguages!가 제작한 영상.
[1] 수메르어 연구에서 g̃는[ŋ](한국어의 '받침 ㅇ') 발음이었다고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