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2 09:12:28

미탄니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4466e 0%, #445C91 20%, #445C91 80%, #34466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E4C77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역사 <colbgcolor=#FFF,#1F2023>우루크 시대 · 젬데트 나스르 시대 · 초기 왕조 시대 · 아카드 · 구티 왕조 · 우르 제3왕조 · 이신-라르사 시대 · 고바빌로니아 · 카시트 왕조 · 미탄니 · 아시리아 · 신바빌로니아
민족 수메르인 · 아카드인 · 아시리아인 · 아모리인 · 카시트인 · 칼데아인
지리 메소포타미아 · 비옥한 초승달 · 티그리스강 · 유프라테스강 · 자그로스산맥
도시 니네베 · 니푸르 · 님루드 · 라가시 · 라르사 · 마리 · 바빌론 · 아수르 · 우루크 · 우르 · 움마 · 이신 · 에리두 · 키시
종교 메소포타미아 신화
문화 길가메시 서사시 · 에누마 엘리시 · 우르남무 법전 · 함무라비 법전 · 우르의 게임 · 메소포타미아 음악 · 메소포타미아 미술 · 메소포타미아 문명/성문화
언어 수메르어 · 아카드어 · 아람어
문자 쐐기 문자 · 아람 문자
건축 지구라트 · 우르의 지구라트 · 우르의 왕릉 · 에테멘앙키 · 바빌론의 공중정원 · 이슈타르의 문 · 행진의 거리 · 라마수
인물 길가메시 · 루갈자게시 · 사르곤 · 나람신 · 우르남무 · 슐기 · 함무라비 ·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 · 아슈르바니팔 · 나보폴라사르 · 네부카드네자르 2세 · 나보니두스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북서부 북부 남부
신석기 후기
우루크 시대
젬데트 나스르 시대
초기 왕조 시대
아카드
구티 왕조
우르 제3왕조
아모리계 도시국가
고아시리아
이신-라르사 시대
히타이트 고왕국
고바빌로니아
고바빌로니아
미탄니
[[카시트 왕조|중바빌로니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히타이트 중왕국
중아시리아
중아시리아
바다 민족
아람인
페니키아 신히타이트 아람-다마스쿠스 아람인 중바빌로니아 칼데아
신아시리아
신아시리아
신바빌로니아
}}}}}}}}} ||
미탄니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Dingir.png파일:투명.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수메르 도시 국가 패권경쟁 아카드 제국 제국 해체 / 구티 족 수메르 르네상스
N 신석기 청동기 니네베 / 아르벨 / 앗수르 아카드 제국 네와르 / 우르케쉬 / 안다리크 수메르 제국
H 하란 에블라 하란 / 아붐 / 안다리크 하란 / 투툴 / 사가르툼
E 에블라 마리 아카드 제국 에블라 / 우그리트
M 마리 아카드 마리 우르 남무 제국
L 수메르 문명 우바이드 기 - 에리두 우루크 기 - 왕조 출현 라피쿰 키시 아카드 - 사르곤 아카드
A 우루크 우르 A A 구티 왕조 구티 우르 제3왕조
K 라가쉬 움마 우루크 우루크 구티 족
U 우르 우루크
G 라가쉬
L 라가쉬 라가쉬
H 금석병용기 수사 / 엘람 제1왕조 고대 엘람(아완 / 슈스타르 왕조)
제국 해체와 아모리 인 대 혼란기 고대 바빌로니아 제국(아모리 인)
Y 수메르 얌하드(알레포)
H
N 고대 아시리아 왕국 에쉬누나 <colbgcolor=#003153> <colbgcolor=#003153> 시리아 바빌로니아 제국 - 함무라비 대왕 아시리아
E 에쉬누나 <colbgcolor=#20b2aa> 데르 에칼라툼 둘 - 카틀리무
M 제국 M 마리 시리아 마리 바빌로니아 제국 M 카시트/테르카
A 엘람 <colbgcolor=#8b0000> 바빌로니아 바빌로니아 바빌로니아 바빌로니아 히타이트의 침입
S 이신
왕조
니푸르 / 시파르 바빌론 바빌로니아
B 바빌론 바빌론 바빌로니아
I 이신
왕조
카잘루 I 시랜드
K I 라르사 우루크 라르사 U 시랜드
U 라르사 라르사 엘람 제국 L 시랜드
G 라르사 시랜드
L 라가쉬
H <colbgcolor=#00bfff> 고대 엘람 (시마쉬 왕조) 고대 엘람 (에파르티 왕조)
카시트 인 / 미탄니 히타이트 중기 아시리아 제국
Y 히타이트 제국 E 미탄니 미탄니 제국 이집트 히타이트 제국 히타이트 히타이트 바다 민족 이신 <colbgcolor=#003153> 아시리아 제국
H 미탄니 미탄니 히타이트 <colbgcolor=#003153> 아시리아 제국 <colbgcolor=#003153> 아시리아 제국 아시리아 <colbgcolor=#003153> 아시리아 제국 아시리아
E 아시리아 아시리아 M
N 고 아시리아 왕국 시리아
M 카시트 왕조
바빌로니아
카시트 왕조
A
S 카시트 왕조
B 카시트 왕조 카시트 왕조 엘람 제국 이신
왕조
I 이신
K 시랜드 왕조
U
L
H 엘람 (암흑기) 중세 엘람(안자니트 왕조)
중기 아시리아 제국 암흑기 신 아시리아 제국(~ BC 607)
Y 아시리아 제국 아시리아 제국 아시리아 제국 운키 / 비트 아구시 아시리아 제국 아시리아 Y 아시리아 제국 아시리아 제국 아시리아 제국 아시리아 아시리아 제국 - 아슈르바니팔
H 카르케미쉬 우라르투
D 나이리 아시리아 아시
리아
R 비트 바히니
E 아시리아 나시비나 /
비트 아디니
N
A 아시리아
S 아나토 아나토
M 라카 / 힌다누 / 수부 아나토
B 이신
왕조
이신
왕조
카시트 왕조 바빌로니아
엘람 / 토착 왕조
제국 바빌로니아 - 칼데아 왕조 칼데아 B
I 제국 제국
K
U 바빌로니아
L
H 엘람 (중간기) 신 엘람 (안자니트 왕조)
오리엔트 제국 헬레니즘 로마 제국 vs 이란 제국 이슬람 제국 중세
신아시리아 제국 신바빌로니아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제국 헬레니즘 - 마케도니아 제국 셀레우코스 왕조 아르메니아 로마 제국 - 동로마 제국 사산 왕조 - 이란 제국 동로마 제국 정통 칼리프 - 라쉬둔 왕조 우마이야 칼리프 제국 압바시야 칼리프 제국 <colbgcolor=#008000> 함단 왕조 셀주크 제국
파르티아 제국 사산 왕조
페르시아
이란 제국
사산 왕조 부와이흐 왕조
| N: 북부 니네베 | B: 중부 바빌론 | I: 중남부 이신 |
| U: 남부 수메르(우르·우루크·라가쉬 등)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고대
헬레니즘 / 시리아 전쟁
기독교화 / vs이란
이슬람 제국
이집트 vs 이라크
대십자군 전선
대몽골 전선
근대
오스만 튀르크 제국
[[알리 베이 알 카비르|
알 카비르
]] 제7차 러시아 튀르크 전쟁
오스만 제국
[[이집트 속주|
알리 왕조
]]
현대
내전
}}}}}}}}} ||

아나톨리아의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아나톨리아 중앙아나톨리아 동아나톨리아
선사
시대
네안데르탈인
호모 사피엔스의 이주와 확산
신석기 정착지
차탈회위크 · 괴베클리 테페 · 차이외뉘
네발리 초리 · 유무크 테페

고대
{{{#!wiki style="margin: -10px -10px -55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인도유럽어족의 이주와 정착 }}}}}} 아카드 제국
구티인
트로이 하티 미탄니 제국
미케네 문명 {{{#!wiki style="margin: -10px -10px -45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히타이트 }}}}}} 중아시리아
바다 민족의 침공과
후기 청동기 문명 붕괴
고대 그리스 프리기아 왕국 신히타이트
신아시리아
리디아 메디아
고전
고대
아케메네스조 페르시아
헬레니즘 제국
[[디아도코이|{{{#!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헬레니즘
소왕국

비티니아
안티고노스 왕조 헬레니즘 소왕국
파플라고니아 · 폰토스 · 갈라티아
카파도키아 · 아르메니아
카산드로스 리시마코스
셀레우코스 왕조 페르가몬
로마 공화국 {{{#!wiki style="margin: -10px -10px -35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폰토스 왕국 }}}}}} 아르메니아
로마 공화국
로마 제국
중세
{{{#!wiki style="margin: -35px -10px -1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동로마 제국 }}}}}}
셀주크 제국/제1차 아나톨리아 베이국
(스미르나 · 다니슈멘드 · 멩귀치 · 아르투크 · 샤아르멘 · 살투크)
동로마 제국 룸 술탄국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라틴 제국 니케아 제국 몽골 제국
[[룸 술탄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트라페준타
제국
동로마 제국 일 칸국
[[룸 술탄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7C; font-size: .8em"
룸 술탄국/제2차 아나톨리아 베이국
(오스만 · 카라만 · 아이딘 · 잔다르 · 게르미얀 · 에레트나 · 멘테셰 · 사루한 · 카라시 · 하미드 · 둘카디르 · 에슈레피 · 자니크 · 아히 형제단)
[[룸 술탄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02963; font-size: .8em"
맘루크 왕조
[[라마잔 왕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5f00; font-size: .8em"
오스만 베이국 아나톨리아 베이국 잔존세력
잔다르 왕조 · 카라만 왕조 · 둘카디르 왕조
오스만 술탄국
(앙카라 전투 · 오스만 공위기 ·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
근대 오스만 제국
그리스 왕국
(메갈리 이데아)
오스만 제국/앙카라 정부
(세브르 조약)
[[이탈리아 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9246; font-size: .8em" [[프랑스 제3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2654; font-size: .8em"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8102E; font-size: .8em"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a800; font-size: .8em" [[쿠르디스탄 자치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현대 {{{#!wiki style="margin: -30px -10px -1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튀르키예 공화국 }}}}}}
}}}}}}}}} ||


인도아리아인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민족 | 인도아리아인
<colbgcolor=#eef6ef,#323433> 다르드인 카슈미르인 | 파샤이인 | 칼라쉬인 | 코족
북인도아리아 네팔인 | 쿠마온인 | 가르왈인 | 도그라인
서북인도아리아 신드인 | 펀자브인(사라이키인)
서인도아리아 구자라트인 | 라자스탄인(라지푸트 | 구자르인) | 칸데시인 | 빌인 | 집시
중인도아리아 힌두스탄인(무하지르) | 자트족 | 차티스가르인 | 분델인 | 하리아나인 | 아와드인
동인도아리아 벵골인(로힝야) | 비하르인(보지푸르인 | 마이틸인) | 오디아인 | 아삼인
남인도아리아 마라티인 | 콘칸인(고안 가톨릭) | 싱할라인 | 몰디브인
원시 인도아리아 미탄니인 † | 오손
언어 | 인도아리아어군 지역
독립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다수 거주지 파일:라카인주 주기.svg 마웅다우 지구 |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남부 | 도클람 | 카라코람 회랑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남부
사회문화
언어 인도아리아어군
사상 범아리아주의
신화 인도 신화 }}}}}}}}}

미탄니
𒆳𒌷𒈪𒋫𒀭𒉌
Mittani
<nopad> 파일:1024px-Carte_du_Mitanni.png
기원전 15세기 미탄니 제국의 최대 강역
기원전 1600년 ~ 기원전 1260년
위치 메소포타미아, 소아시아
수도 왓슈카니[1]
정치 체제 전제군주제
국가원수
주요 왕 키르타
샤투아라 2세
민족 미탄니인[2]
후르리인
아시리아인
아모리인
언어 후르리어
아카드어
아모리어
종교 후르리 종교
메소포타미아 종교
원시 인도유럽 신화
주요 사건 기원전 1600년 건국
기원전 1260년 멸망
성립 이전 얌하드
멸망 이후 중아시리아
현재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라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라크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라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시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시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튀르키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튀르키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 개요2. 국호
2.1. 전차병의 나라
3. 역사4. 미디어

1. 개요

기원전 16세기경 키르타에 의해 건국되고, 기원전 1260년경 히타이트아시리아에 의해 멸망한 국가다.

수도는 하부르 강 상류 근처에 위치했던 왓슈카니였고, 유프라테스 강-티그리스 강의 북부 유역을 다스렸다. 근처에 위치한 셈어파의 언어나 인도유럽어족과는 확연히 다른 후르리-우라르투어족의 후르리어를 사용했다는 것이 주목할 점이다. 현재 사멸한 이 어족에 속한 언어로 후르리어와 우라르투어가 있었으며, 우라르투어는 현재의 아르메니아에 위치했던 우라르투에서 사용되었다.

지배층 중에는 필리스티아처럼 인도유럽계도 상당수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미탄니인의 지배층은 인도이란계로 추측되는데, 정확히는 이란계보다는 오늘날 남아시아에 거주하는 인도아리아인에 가까웠을 것으로 보인다. # 인류학자들의 추정에 따르면, 중앙아시아의 안드로노보 문화[3]의 직계 후손이라고 한다.

2. 국호

미탄니 왕국을 세운 후르리인[4]은 자신들의 나라 이름을 마잇탄(Maittan)이라 불렀고, 여기서 밋탄(Mittan)이라는 국호가 나왔다. 그리고 여기에 니스바 어미를 붙이면 미탄니(Mittani)가 된다.

히타이트인은 이 나라를 '밋탄인의 땅'이라는 뜻의 미탄니, 혹은 '후르인의 땅'이라는 뜻의 후르릴리라고 불렀다.

한편 고대 이집트인은 이 나라를 '강들'이라는 뜻의 나흐리나라고 불렀다. 이 '강들'이란 지명은 훗날 그리스어를 거쳐 메소포타미아(두 강들 사이)라는 지명으로 수용되었다. 그러니까 미탄니는 메소포타미아라는 이름의 시작이었던 것이다.

또한 아수르바빌론에서는 미탄니를 하니갈바트라고 불렀다. 이는 '전차병'이라는 뜻의 전문용어였다. 그러므로 하니갈바트라는 이름은 '전차병의 나라'로 볼 수 있다.

2.1. 전차병의 나라

기원전 2000년대 후반, 고대 근동 전역에 마리안누라는 아카드어가 확산되었다. 이는 '전차병'이라는 뜻으로 후르어에서 유래했다. 아수르와 바빌론에서 유래한 하니갈바트(전차병)는 타쉴리슈[5]라는 아카드어로 번역되었지만, 특이하게도 마리안누는 후르어가 직접 아카드어로 음차된 외래어였다. 이 점에서 미탄니가 전차 기술의 발전에 많은 영향을 줬음을 알 수 있다.

아카드어로 '전차'를 뜻하는 나르캅투라는 말은 사르곤 대왕의 시대에도 존재했다. 그러나 유독 '전차병'이라는 말은 미탄니가 멸망한 이후에 등장해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므로 미탄니가 전차를 발명한 것이라기보다는 전차기술의 발전을 이루었다고 이해하는 편이 옳다.

마리안누가 고대 근동에 확산되면서 이 전장에서 큰 역할을 하게 되었다. 그 이전의 전쟁에서는 쿤가[6]나 당나귀를 썼다.

3. 역사

미탄니는 히타이트 제국의 서아시아 석권 이전인 기원전 15세기에 시리아아나톨리아 반도의 동남부, 이라크 북부를 지배한 강대국이었다. 당시 팔레스타인과 시리아 진출을 노리던 투트모세 3세 휘하의 이집트 신왕국 군대와 자주 격돌했다. 이를 통해 미탄니가 카데시 전투보다 앞서서 이집트와 전쟁을 치룬 것을 알 수 있는데, 기록이 부족해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결국 이집트 제18왕조는 미탄니를 시리아의 패권국으로 인정하고, 동등한 외교상대로 교류하게 되었으며, 강력해진 히타이트를 견제하기 위해 양국은 동맹을 맺기도 했다.

이집트와 미탄니 양측이 서로에 대한 견제로 지쳐 있었을 때인 기원전 14세기경, 아나톨리아 고원의 중부에서 힘을 기른 히타이트의 왕 수필룰리우마 1세가 미탄니를 공격하여 수도인 왓슈카니를 약탈했다. 참패한 미탄니는 서부의 영토를 대부분 잃은채 동쪽으로 축소되어 히타이트의 속국[7]처럼 되었으며, 내분까지 겪었다. 한편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아시리아의 아다드-니라리 1세가 미탄니의 수도를 침공하여 약탈했으며, 결국 샬만에세르 1세가 미탄니를 완전히 꺾어버렸다. 이후 미탄니는 아시리아에 조공을 바치는 신세로 전락했으며, 기원전 1260년경에 완전히 멸망했다. 이후 그들의 영토는 수바루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아시리아 제국이 지배했다. 미탄니를 구성하던 후르리인들은 남하하여 아람인과 융화된 뒤 고대 아시리아인에 동화되었다.[8]

이라크 북부 쿠르드족 자치구의 다후크 주에 있는 저수지가 가뭄으로 마르자, 미탄니 시대의 왕성 유적이 드러났다고 한다. # 보존 상태가 좋아서 중요한 연구 자료가 될 것으로 보였으나 다시 물이 차오르는 바람에 수장되고 말았다.

4. 미디어


[1] 시리아 북부의 텔 페케리예로 추정된다.[2] 지배층은 주로 인도아리아인 계통으로 추정된다.[3] 인도아리아인 중에서 유목생활을 유지한 이들이 세운 문화다. 참고로 이들 중 정주 농경민으로 전환한 이들이 세운 문화는 박트리아-마르기아나 문화였다.[4] 또는 후르인, 《구약성경》에는 호리인으로 나온다.[5] 문자적인 의미로는 '세 번째 사람'이라는 뜻이다.[6] Kunga. 시리아 야생당나귀와 당나귀를 교잡시킨 잡종이다. 시리아 야생당나귀가 20세기에 멸종하면서 현재는 만들 수 없다.[7] 카데시 전투때 히타이트 편에서 싸운 소국들의 명단에 미탄니가 있다.[8] 현대 시리아인은 아시리아인에 그리스계와 다량의 아랍계, 그리고 일부의 튀르크계가 섞인 혈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