暮 저물 모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日, 11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5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ボ | ||||||
일본어 훈독 | く-れる, く-らす | ||||||
- | |||||||
표준 중국어 | mù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暮는 '저물 모'라는 한자로, '저물다', '해 질 녘'을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66A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廿日大日(TAKA)로 입력한다.본래 莫(없을 막)이 해질녘을 뜻했었으나 이후 '없다'라는 뜻으로 가차되자 이 '해질녘'이라는 뜻을 대신할 한자를 만들기 위하여 莫 밑에 日(날 일)을 넣었는데 이것이 바로 暮라는 한자이다. '저물다' 말고도 '해질녘' 내지는 '저녁'이라는 뜻으로도 많이 쓰인다.
3. 용례
3.1. 단어
- 一暮(일모)
- 旦暮(단모) '아침과 저녁'을 한문투로 이르는 말이다.
- 朝暮(조모)
3.2. 고사성어/숙어
- 朝三暮四(조삼모사)
예) 평균 100점이나 올백이나 조삼모사잖아.
조금 더 자세한 것은 조삼모사 문서를 참조하자.
- 朝令暮改(조령모개)(=朝令夕改(조령석개))
- 朝朝暮暮(조조모모)
- 朝得暮失(조득모실)
3.3. 인명
- 니구레도 유리아(二暮堂 ユリア)
- 메구레 쥬조(目暮 十三)
- 소노히구라시 산몬(園日暮 三文)
- 카쿠레 메메(華暮 愛々)
- 코구레 유야(木暮 夕弥)
- 코구레 젠지로(木暮 禅次朗)
- 코구레 타카시(小暮 卓史)
- 쿠레이 타마오(暮井 珠緒)
- 쿠레조메 유즈키(暮染 佑月)
- 한익모(韓翼暮)
- 히구라시 카고메(日暮 かごめ)
- 히구라시 토와(日暮 とわ)
- 히이라기 쿠레토(柊 暮人)
3.4. 지명
3.5. 창작물
3.6. 일본어
일본에서는 한 해가 끝나갈 무렵 신세진 사람에게 선물을 주는 풍습이 있다. 이 풍습 혹은 이 선물 자체를 오세보(お歳暮)라 하는데, 바로 이때 暮가 쓰인다.4. 유의자
- 晩(저물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