哥 성 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口, 7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0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カ | ||||||
일본어 훈독 | うた, うた-う | ||||||
- | |||||||
표준 중국어 | gē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哥는 성 가라는 한자로, '성씨', '노래하다' 등을 뜻한다. 다만 중국에서는 '형'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성 |
음 | 가 | |
중국어 | 표준어 | gē |
광동어 | go1 | |
객가어 | kô | |
민북어 | gó̤ | |
민동어 | gŏ̤ | |
민남어 | ko | |
오어 | ku (T1) | |
일본어 | 음독 | カ |
훈독 | - | |
베트남어 | ca, kha |
유니코드에는 U+54E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RNR(一口弓口)로 입력한다.
소리를 나타내는 可(옳을 가) 자 두 개를 합친 글자이다. 원래 이 글자는 歌/謌(노래 가)의 본자로, '노래하다', '목소리'라는 뜻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선비어로 아버지나 형을 뜻하는 *aka를 중국어에서 음차한 아가(阿哥)로 받아들여, 당(唐)대 이후로는 이 글자가 兄(형 형) 자를 대체하여 '형'이라는 뜻을 나타내게 되었으며, 중국에서는 지금도 '형'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ex: 다거의 “거”)
이외에도 여러 외국어의 음차에 쓰였는데, 그 중에서는 투르크계 성씨인 가서(哥舒)도 있어 고유명사로서의 성씨로도 활용되었다.
3. 용례
3.1. 단어
- ~가(哥) : 성씨 뒤에 붙여서 어떠한 성씨를 가짐 또는 그 가문(家門)에 속해 있음을 뜻한다. 이 때문에 가(家)와 혼용하기도 하지만, 엄밀히 따지자면 哥가 옳다. 예를 들어 '김가네'가 '김씨네 가문'을 뜻하는 게 아니라면, 한자로 쓸 때에는 '金家네'가 아니라 '金哥네'로 써야 옳다. 해당 표현에서 파생된 속어가 바로 ~가놈이다.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가서한(哥舒翰)
- 동맹가첩목아(童猛哥帖木兒)
- 망가태(忙哥台): 창길의 아내
- 야율상가(耶律常哥)
- 야율유가(耶律留哥)
- 야율팔가(耶律八哥)
- 야율화가(耶律化哥)
- 야율휴가(耶律休哥)
- 전서소가(滇西小哥)
- 우왁굳(嗚哇哥)[1]
- 허가이(許哥而)
3.4. 지명
4. 유의자
[1] 중국어 현지화 명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