栩 상수리나무 허/우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木, 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0획 | ||||
미배정 | 특급 | ||||||
- | |||||||
일본어 음독 | ク | ||||||
일본어 훈독 | くぬぎ | ||||||
栩[1] | |||||||
표준 중국어 | xǔ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1. 개요
栩는 '상수리나무 허/우'라는 한자이다. 우리말 훈은 '상수리나무'로 붙었으나, 본래는 참나무속의 어떤 수종을 가리키는 뜻으로, 구체적인 수종이 무엇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이 글자를 우리나라에서는 떡갈나무, 혹은 상수리나무란 훈을 붙여 사용했는데, 둘 다 참나무속이다.2. 상세
뜻을 나타내는 木(나무 목)과 소리를 나타내는 羽(깃 우)가 합쳐진 형성자이다.우리말 참나무는 도토리를 맺는 나무를 싸잡아 부르는 말로 특정한 수종 하나를 가리키지 않는다. 식물학적으로는 Quercus속(참나무속)에 속하는 나무라고 설명할 수 있는데, 여러 참나무속 나무들이 도토리를 맺기 때문에, 참나무속 나무를 가리키는 한자가 구체적으로 어떤 나무를 가리키는지를 두고 우리나라는 물론 중국에서도 혼란이 생겼다. 우리나라에서는 떡갈나무, 혹은 상수리나무라고 보았으나, 중국에서는 상수리나무나 졸참나무로 보기도 한다.
글자의 의미 변천 과정과 자원의 자세한 내용은 상수리 상(橡) 항목을 참조.
유니코드에는 U+6829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DSMM(木尸一一)으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祤(고을이름 우)
- 挧(성씨 우)
- 䋚(날개 익)[2]
- 蛡(벌레길 익)
- 𥏊[⿰矢羽](검은색 질)
- 鮙(가자미 탑)[3]
- 𨋾[⿰車羽](경쾌할 허)
- 珝(옥이름 후)
- 詡(자랑할 후)
- 𨦫(우)
- 𪜹[⿰亻羽]
- 𪥵[⿰女羽]
- 𫹓[⿰彳羽]
- 𭎛[⿰土羽]
- 𭚰[⿰弓羽]
- 𣴆[⿰氵羽]
- 𰔘[⿰抈羽]
- 𪰣[⿰日羽]
- 𪸪[⿰火羽]
- 𥒉[⿰石羽]
- 𭾲[⿰目羽]
- 𲀮[⿰衤羽]
- 𮇝[⿰米羽]
- 𬖅[⿰篭羽]
- 𮠪[⿰酉羽]
- 𲅆[⿰辛羽]
- 𮪄[⿰馬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