硅 규소 규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石, 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1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ケイ | ||||||
일본어 훈독 | - | ||||||
- | |||||||
표준 중국어 | guī, hè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硅는 '규소 규'라는 한자로, '규소(硅素)'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규소 |
음 | 규 | |
중국어 | 표준어 | guī |
광동어 | gwai1 | |
오어 | kue (T1) | |
일본어 | 음독 | ケイ |
훈독 | - | |
베트남어 | khuê |
유니코드에는 U+784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RGG(一口土土)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石(돌 석)과 소리를 나타내는 圭(홀 규)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 이 글자는 虎伯切[1]에 '깨뜨리다'라는 뜻을 가지지만 거의 사용되지 않는 한자였다.[2] 그런데 1837년 일본에서 발간된 舎密開宗에서 이산화규소(SiO2)를 珪土라고 번역하면서 처음으로 규소와 관련 단어에 珪 자를 쓰기 시작했고, 1870년대에는 玉(구슬 옥) 변 대신 石(돌 석) 변을 쓴 硅 자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용법이 19세기, 20세기에 중국과 한국으로 전파됨에 따라 硅 자는 원래의 뜻을 잃어버리고 '규소'라는 뜻으로 정착되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4. 유의자
- 矽(규소 석)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佳(아름다울 가)
- 桂(계수나무 계)
- 銈(금규 계)
- 烓(화덕 계)
- 挂(걸 괘)
- 絓(걸릴 괘)
- 詿(그르칠 괘)
- 晆(가를 괴)
- 𪖢(콧숨소리 괴)
- 𦓯(갈고랑이 규)
- 䅅(굽정이 규, 밭갈 와)
- 䯓(머리뼈 규)
- 跬(반걸음 규, 지칠 설)
- 黊(샛노랄 규)
- 袿(여자웃옷 규)
- 胿(큰배 규)
- 珪(홀 규)
- 㤬(성낼 에)
- 蛙(개구리 와)
- 徍(걷는모양 와/왜)
- 𤞇(발바리 와)
- 洼(웅덩이 와)
- 哇(토할 와)
- 娃(예쁠 왜, 미인 와)
- 𪗹(이드러날 의)
- 觟(신통한양 해, 화살이름 화)
- 鮭(어채 해, 복어 규)
- 鞋(신 혜)
- 𦈰(질그릇 혜)
- 畦(밭이랑 휴/규)
- 𩰳(시루밑구멍 휴)
- 眭(움펑눈 휴)
- 𡋣
- 𥙞
- 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