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9 20:50:13

서옥/홀 규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3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6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ケイ
일본어 훈독
たま
-
표준 중국어
guī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圭는 '서옥 규', '홀 규'라는 한자로, 임금이 면복(冕服)[1]이나 원유관포(遠遊冠袍, 아래 이미지의 복장)를 입을 때 쥐는 서옥(), 즉 상서로운 옥인 (圭)를 뜻하는 글자이다.[2]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72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GG(土土)로 입력한다.

(흙 토)가 두 개 겹쳐진 형상을 하고 있다. 원래 금문에서는 土 자 대신 (선비 사)가 위아래로 놓여 있는 형상이었으며, 회의자로 추정되나 자원(字源)은 불분명하다.

폰트나 글자 크기에 따라 세로획이 하나로 합쳐져 亖+丨의 형태로 보일 수 있으나, 위에서 두 번째 가로획을 기준으로 세로획이 반으로 나뉘어 있다. 필기할 때도 土를 위아래로 포개서 두 번 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 한국
* 규남로(圭)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안삼리와 같은 면 야사리를 잇는 도로
* 규봉로(圭)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복암리와 인계리를 잇는 도로
* 영규대사로() - 계룡면 월곡리와 같은 면 화헌리를 잇는 도로
- 중국
* 광동성 장먼 시(江门市/江門市, 강문시) 신후이 구(新会区/新會區, 신회구) 서쪽에 있는 구이펑산(圭)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면류관곤복을 한 세트로 착용한 것.[2] 홀이라는 뜻은 와 동자로 쓰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