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3 12:00:08

손규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72a3cc> 파일: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엠블럼.svg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2024-25 시즌 선수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23e63,#ddd
<colbgcolor=#72a3cc><colcolor=#fff> 감독 공석
코치
수석 코치
손규완 ·
코치
손창환 ·
전력분석 코치
김강선
스태프
수석 트레이너
윤유량 ·
트레이너
조승현 · 안정현 · 머레이 ·
전력 분석
임기웅
매니저
박건호 ·
통역/국제업무
김정래 ·
국제 스카우터
카바노 ·
실장
박석조
가드 0 민기남 · 2 조은후 · 3 박종하 · 4 이재도 · 5 홍경기 · 6 이정현 · 8 김도은 · 12 백지웅 · 55 김진유
포워드 1 유진 · 7 함준후 · 9 정희재 [[주장|
C
]] · 13 임동섭 · 14 이근준 · 24 김영훈 · 31 서동원 · 43 정성조 · 77 최승욱
센터 11 파일:부상 아이콘.svg 김민욱 · 15 윌리엄스 · 30 번즈 · 51 박진철
군 입대
2023년 입대
조석호 · 조승원 · 문시윤 ·
2024년 입대
조재우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 안정욱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타 한국프로농구 구단 명단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선수단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손규완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손규완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KBL 챔피언 결정전 우승 반지
2000
(선수)
2008
(선수)
2017
(코치)
2021
(코치)

}}} ||
손규완의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a002c>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서울 SK 나이츠
역대 주장
(청주 시절 포함)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ddd
<rowcolor=#ffffff> 1997~1998 1998~2002 2004~2006 2006~2009 2009~2012
손규완 -> 김광은 서장훈 전희철 문경은 주희정
<rowcolor=#ffffff> 2012~2014 2014~2015 2015~2016 2016~2021 2021~2023
<rowcolor=#fff> 이현준 박상오 오용준 김선형 최부경
<rowcolor=#ffffff> 2023~2024 2024~ 파일:서울 SK 나이츠 워드마크.svg
허일영 최부경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유색배경).svg수원 kt 소닉붐
역대 주장
(나산-골드뱅크-코리아텐더-부산 KTF-부산 kt 시절 포함)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72C,#d3dade
1997~1998 <rowcolor=#fff>
1998~2004
2004~2005 2005~2007
2007~2010
이민형 김용식 손규완 김희선 신기성
2010~2012 2012~2015 2015~2017 2017~2019 2019
조동현 송영진 조성민 김영환 김우람
2019~2020 2020~2021 2021~ 2023 2023~2024 2024~
김영환 김현민 김영환 문성곤 허훈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703c><tablebgcolor=#00703c> 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흰색).svg원주 DB 프로미
주장
(동부 시절 포함)
}}} ||
{{{#!wiki style="margin: 0 -10px"
{{{#000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72C,#d3dade
<rowcolor=#fff> 2005~2006 2006~2007 2007~2009 2009~2012
양경민 자밀 왓킨스 손규완 황진원
<rowcolor=#fff> 2012~2013 2013~2017 2017~2019 2019~2021
박지현 김주성 김태홍 김태술
<rowcolor=#fff> 2021~2022 2022~2023 2023~ 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녹색).svg
김종규 박찬희 강상재
}}}}}}}}}}}}}}} ||

}}} ||
<colbgcolor=#72a3cc><colcolor=#ffffff>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수석 코치
GOYANG SONO SKYGUNNERS
파일:손규완 소노 24-25.png
손규완
孫圭完|Son Gyu Wan
출생 1974년 12월 12일 ([age(1974-12-12)]세)
전라북도 전주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신체 신장 186cm
직업 농구 선수 (슈팅 가드, 스몰 포워드 / 은퇴)
농구 코치
학력 전주초등학교 (졸업)
전주남중학교 (졸업)
전주고등학교 (졸업)
경희대학교 (학사)
프로 입단 1996년 진로 농구단 연고 지명
현역 시절 등번호 10, 1[1]
병역 상무 농구단 (2000~2002)
소속 <colbgcolor=#72a3cc><colcolor=#ffffff> 선수 진로 농구단 (1996~1997)
청주/서울 SK 나이츠 (1997~2003)
부산 KTF 매직윙스 (2003~2005)
원주 동부 프로미 (2005~2009)
코치 부산 kt 소닉붐 (2009~2015)
안양 KGC인삼공사 (2015~2022)
고양 캐롯-데이원 점퍼스 (2022~2023)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2023~ / 수석코치)
1. 개요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선수 시절2.2. 프로 시절
3. 시즌별 성적4. 지도자 생활5. 기타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전주고-경희대 출신의 순혈 3점 슈터로 짧은 팔에 시원찮은 운동 능력까지 불리한 신체 조건을 가지고도 커리어 10시즌 내내 게임당 1.58개의 3점을 꽂으며(통산 성공률 39.6%) 어느 구단에서도 키맨 역할을 톡톡히 했던 선수였다.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선수 시절

전주고 시절 팀 전력이 약해 좋은 성적을 내진 못했으나 이때부터 슈팅능력 하나만큼은 전국 최고 수준이었다. 1990년대 초반 대학 4강권 전력이던 경희대에 진학한 손규완은 탁월한 슈팅능력을 바탕으로 4년간 주전 자리를 놓치지 않았으며, 위로 최명도, 장창곤, 김광운, 후배로 윤영필, 강혁, 김성철 등 쟁쟁한 멤버들이 있었음에도 늘 팀의 주득점원이었다. 4학년이던 1996년도 시즌에는 연일 득점포를 뿜어대며 경희대의 자줏빛 돌풍을 이끌었고, 1,2차연맹전에서 연속 준우승을 차지한데 이어[2] 1996-97 농구대잔치에서도 4강에 오르며 농구부 창설 이래 최고 성적[3]을 거두게 된다.

대학 4년내내 경희대의 주포로 활약했음에도 불구, 하드웨어가 너무 빈약해 수비가 약했고 슛감에 다소 기복이 있었던 데다, 같은 시기 대학무대에 우지원(연세대), 양희승(고려대), 추승균(한양대) 등 차세대 국가대표 슈터/포워드 들이 너무 많다보니, 그 흔한 대학 선발팀에 한 번도 뽑히지 못했던 비운의 선수였다.

2.2. 프로 시절

파일:SK 나이츠 손규완.jpg
KBL 신생팀이던 청주 SK 나이츠가 공들여 스카웃한 선수로 계약금 2억원을 받고 합류했다. 하지만 청주 SK가 93학번 졸업반 중 서장훈을 제외하고 제대로 된 스카웃을 하지 못한데다[4] 서장훈의 졸업이 1년 연기되면서, 팀에 제대로 된 국내 멤버라곤 명지대 출신 동기 윤제한 뿐이었고 팀은 개막전 승리 이후 11연패를 달리는 등 창단 첫 시즌부터 최하위로 떨어졌다. 손규완은 팀의 토종에이스로서 평균 14점을 넣으며 홀로 고군분투했고 10연패를 당하던 수원 삼성과의 원정경기에선 3점슛 7개 포함 36점을 꽂는등 흑인 언더사이즈 센터 레지 타운젠드와 맹활약했으나 팀의 추락을 막지 못했다. 97-98 시즌 손규완은 상대수비의 집중 마크 속에서도 게임당 2.78개의 3점을 꽂으며 이부문 전체 4위[5]에 올랐다.

98-99 시즌 국보급 센터매직 히포가 가세하며 단숨에 우승후보가 된 청주 SK에서 손규완은 이들 원투펀치의 외곽 지원사격 역할을 맡을 것으로 기대를 모았으나, 서장훈-현주엽의 볼소유권 다툼속에[6] 손규완의 슈팅시도 마저 급감(7.0개 → 3.1개)해렸고 우승후보로 꼽혔던 청주SK는 고작 8위에 그쳤고, 이 바람에 안준호 감독이 짤리고 최인선 감독이 시즌중 부임하게 된다.

99-00 시즌, 크리스마스 빅딜[7]로 국대슈터 조상현이 합류하면서 같은 슈터롤이었던 손규완의 비중은 급속히 줄어들었고, 줄어드는 출장시간 속에 소속팀의 창단 첫 우승을 벤치에서 지켜보며 쓸쓸히 상무 입대를 선택한다.

상무에서의 2년간 현주엽, 신기성, 황성인 등 특급선수들과 함께 뛸때도 손규완의 3점슛은 상무의 주요 공격옵션이었고, 2000 농구대잔치 준우승 및 2001-02 농구대잔치에서 상무팀 사상 첫 우승을 차지할때도 결정적 한방을 꽂아넣곤 했다. 하지만 제대후 복귀한 02-03 시즌, 서장훈이 FA로 떠나면서 팀 컬러가 완전히 바뀐 서울 SK에서 시즌 초반엔 사마귀 슈터에 밀렸고, 후반엔 트레이드로 합류한 캥거루슈터에 루키 이한권에게도 밀리며 여전히 식스맨에 머물고 만다.

03-04 시즌에는 조성원과 쌍포를 이루며 반짝 주전으로 나왔지만, 상대적으로 딸리는 하드웨어로 인해 수비 매치업에서 문제를 노출했고 이바람에 최하위를 달리던 서울 SK는 시즌 도중에 수비강화를 위해 손규완을 부산 KTF황진원(188cm,G)과 트레이드[8]해 버린다.

파일:external/dimg.donga.com/6938495.1.jpg
부산 KTF 합류 직후 주전슈터로 활약하며 평균 11.4점(3점슛 2.6개)을 올렸으나, 이듬해 FA 계약으로 합류한 조동현에게 밀려 다시 벤치신세가 되고 마는데, 이때도 역시 원인은 수비.

파일:손규완_동부에서 첫 시즌.jpg
파일:손규완_동부에서 두번째 시즌.jpg
05-06 시즌을 앞두고 32세의 노장이 된 손규완은, FA로 합류한 신기성의 보상선수로 지명되어 원주 동부 프로미로 이적하게 된다. 신기성의 환영회식 자리에서 다음 시즌 선전을 함께 다짐한 후 이루어진 트레이드라 큰 충격을 받기도 했지만, 수비의 팀 원주 동부로의 이적은 오히려 기회로 작용했다. 김주성-자밀 왓킨스 트윈타워의 위력에, 백코트의 표명일-(외인 스윙맨)까지 꽉 짜여진 팀 디펜스 덕분에, 손규완은 오랜만에 수비부담을 덜고 경희대 시절과 같이 그저 순혈 3점슈터로서의 역할만 맡게 되었고, 주전과 벤치를 넘나들며 맹활약하며 노장 투혼을 불사른다.[9] 주전급으로 뛴 두 시즌 후, 이광재에게 주전을 내주고 식스맨으로 돌아선 07-08 시즌엔 마침내 커리어 두 번째 우승트로피까지 들어올린다. 이후 한 시즌을 더 뛰고 은퇴했다. 은퇴시즌인 08-09 시즌에는 12분이 넘는 출장시간에 경기당 1.1개의 3점을 꽂고 3점 성공률 48.15%를 기록, 시즌 3점슛률 1위에 오르며 선수생활을 마무리한다.

3. 시즌별 성적

역대 성적
시즌 소속팀 경기수 2점슛 3점슛 자유투 득점 리바운드 어시스트 스틸 블록슛
1997-98 SK 45 94/186
(50.54%)
125/316
(39.56%)
70/83
(84.34%)
633 108 40 38 9
1998-99 29 19/37
(51.35%)
39/91
(42.86%)
13/16
(81.25%)
168 54 24 8 1
1999-00 33 12/20
(60.00%)
18/54
(33.33%)
21/23
(91.30%)
99 17 10 6 0
2000-01 군복무(상무 농구단)
2001-02
2002-03 45 25/55
(45.45%)
50/138
(36.23%)
22/28
(78.57%)
222 42 20 7 4
시즌 소속팀 경기수 2점슛 3점슛 자유투 득점 리바운드 어시스트 스틸 블록슛
2003-04 KTF 53 64/147
(43.54%)
130/332
(39.16%)
60/67
(89.55%)
578 125 66 32 3
2004-05 53 18/42
(42.86%)
76/198
(38.38%)
43/47
(91.49%)
307 65 31 26 3
시즌 소속팀 경기수 2점슛 3점슛 자유투 득점 리바운드 어시스트 스틸 블록슛
2005-06 동부 52 17/44
(38.64%)
52/153
(33.99%)
25/36
(69.44%)
215 107 72 23 7
2006-07 37 60/119
(50.42%)
69/186
(37.10%)
57/63
(90.48%)
384 79 50 17 3
2007-08 50 29/54
(53.70%)
55/135
(40.74%)
47/53
(88.68%)
270 34 25 8 1
2008-09 46 24/42
(57.14%)
52/108
(48.15%)
20/23
(88.96%)
224 36 20 13 1
KBL 통산
(10시즌)
443 404/805
(50.19%)
699/1765
(39.60%)
417/476
(87.61%)
3,322 645 351 179 26

4. 지도자 생활

파일:external/news.jumpball.co.kr/news_20170225183131_DP.jpg

08-09 시즌을 끝으로 은퇴한 뒤, 전창진 감독이 부산 kt 소닉붐 감독으로 옮길 때 전창진 사단의 일원으로 부산 kt에서 코치생활을 시작했다.

2015-16 시즌을 앞두고 전창진 감독, 김승기 코치와 함께 안양 KGC인삼공사로 옮겼고, 전창진 감독이 불미스러운 일로 감독에서 물러나면서 김승기 감독을 보좌하는 코치로서 활동중이다. 전문슈터 출신답게 선수들의 슈팅 메커니즘 지도에 열성이라고 하는데, 아무리 해도 안되는 선수들도 있는 듯. 그런데...

16-17 시즌 챔피언 결정전 6차전에서 레고손목, 양무록으로 불리던 양희종3점 8개를 꽂으며 팀 승리의 일등공신이 되면서 그의 슈팅 지도력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20-21 시즌 안양 KGC의 플레이오프 10연승 우승에 일조했다. 이후 김승기 감독, 손창환 코치와 함께 재계약에 성공했다.

21-22 시즌 울산 현대 모비스와의 경기에서는 김승기 감독의 코로나 19 확진으로 감독대행을 맡기도 하였다. 물론 그 이전에 김승기 감독이 자리를 비우면 임시로 대행을 맡기도 한 적이 있었다.

21-22시즌 챔피언결정전 준우승의 성적을 내고 2022년 5월 안양 연고 프랜차이즈 소속이였던 손창환 코치와 함께 김승기 감독을 따라 고양 캐롯 점퍼스 코치로 옮기게 되었으나 구단의 제명으로 처음이자 마지막 코치가 되었다. 다행히 인수를 추진중인 대명소노그룹이 김승기 감독을 비롯한 코칭스텝을 승계함에 따라 차기 시즌도 코치 생활을 이어가게 됐다.

2024년 3월 13일 정관장전을 앞두고 빙부상으로 인해 자리를 잠시 비운 김승기 감독을 대신해서 팀을 이끌며 승리를 기록했다.

2024년 11월 22일 김승기 감독이 선수 폭행 논란으로 사퇴하면서 손규완 코치의 거취가 유동적이다.

5. 기타


6. 관련 문서



[1] 2003-04 시즌 부산 KTF 시절[2] 이때 우승팀은 서장훈이 미국에서 돌아온 연세대였다. 그래도 경희대의 2차례 준우승은 현주엽이 이끌던 고려대를 두번다 이기고 거둔 결과였다.[3] 전국체전 우승 제외[4] 서장훈과의 협상에만 너무 올인하다가 대학 최고 포워드 추승균은 물론 박성배(경희대, G), 이세범(중앙대,G), 김정인(단국대,G/F) 등 쏠쏠한 93학번 자원들을 눈뜨고 뺏겨버렸다. 1년전 동양제과대우증권이 고려대-연세대 외 92학번의 쓸만한 선수들을 대거 스카웃했던 것에 비해 너무도 어설픈 대처였다. 이는 팀의 전신인 진로 맥카스가 자금난에 시달린 것이 결정적이었지만.[5] 문경은(수원 삼성)-정인교(원주 나래)-아도니스 조던(광주 나산)-손규완 순서였다.[6] 이는 현주엽의 플레이 스타일이 대학 시절에 달라지면서 둘의 롤이 겹친 것이 결정적이었다. 자세한 내막은 현주엽 문서 참조.[7] 청주 SK get: 조상현 ↔ 광주 골드뱅크 get: 현주엽[8] 2:2 트레이드였다. 부산 KTF get: 손규완, 리온 트리밍햄 ↔ 서울 SK get: 황진원, 아비 스토리[9] 손규완과 비슷한 수혜자로, 같은 시기에 뛰었던 강대협이 있다. 수비부담이 없었던 원주 동부에선 2쿼터의 사나이로 불리며 주전급 식스맨으로서 맹활약했지만, 창원 LG, 인천 전자랜드 시절은 그야말로 악몽. 수비 허점이 만천하에 드러난데다 3점 성공률까지 추락.. 출장시간이 급감해버렸다.[10] 농구 등 단체 프로스포츠에서 팀을 이탈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