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23:13:36

붙을 착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7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2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チャク, (ジャク)
일본어 훈독
き-る, き-せる, つ-く, つ-ける
[1]
표준 중국어
zhāo, zháo, zhe, zhuó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着은 '붙을 착'이라는 한자로, '붙다', '입다', '다다르다'를 뜻한다.

'나타날 저'()라는 훈음도 있지만 잘 쓰이지 않는데, 실제로 원래 着과 著는 같은 글자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붙다
중국어 표준어 zhuó[2], zháo[3], zhāo[4], zhe[5]
광동어 zoek3, zoek6
객가어 chok, chho̍k
민동어 ciŏk / diŏh
민남어 tio̍h / to̍h / tio̍k
오어 tsaq (T4), zaq (T5)
일본어 음독 チャク, (ジャク)
훈독 き-る, き-せる, つ-く, つ-ける
베트남어 trước

아주 널리 쓰이는 자인데도 자원이 꽤 특이한데, 일단 이 글자는 원래 (나타날 저)와 같은 글자로, 竹(대 죽)과 者(사람 자)가 합한 것이다. 나중에 竹이 艹(풀 초, 초두머리)로 바뀐 것. 얼핏 보면 명백하게 달라 보이는 着과 著가 왜 같은 글자인지를 알려면 먼저 着에 있는 (양 양)이란 글자에 대한 사전지식이 필요하다. 羊의 이체자로 𦍋[6]가 있는데 얼핏 보면 艹(초두머리)에다 십자가 모양을 합한 모습이다. 이 𦍋→羊이란 변화 원리를 著에 있는 艹+土(흙 토) 모양에도 적용해서 艹+土를 羊으로 바꾸고, 밑의 日(날 일) 위에 점 찍은 것을 目(눈 목)으로 바꾼 것. 이 변형은 이미 예서에서부터 나타난다.

그래서 원래는 著의 동자인데, 우리나라에서는 관습적으로 '붙을 착'이란 음훈으로는 着을, '나타날 저'란 음훈으로는 著를 써서 서로 다른 글자처럼 쓴다. 중국 본토[7]와 홍콩·마카오, 일본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着 자와 著 자를 구별한다. 한편 대만에서는 두 글자를 같은 글자로 인식하며, 著 자만을 표준자형으로 여기고 있다.

어긋날 차()와는 目과 工만 다른 비슷한 모양이고 음도 비슷하지만, 자원은 전혀 다르다.

3. 용례

3.1. 단어

3.2. 지명

3.3. 창작물

3.4. 기타

3.5. 일본어

3.5.1. 음독

チャク, ジャク.

보통은 チャク로 읽으며, ジャク로 읽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일본어상용한자표에도 ジャク는 특이한 독음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羊의 세로획과 왼쪽 아래 삐침이 이어져 있다.[2] 문독, '옷을 입다', '부착하다' 등 일반적인 의미.[3] 백독, '닿다', '불이 붙다', '영향을 받다', 결과보어 등[4] 백독, '바둑의 수', '계책' 등[5] 조사로서 지속 따위를 나타낼 때[6] 전서를 최소한 변형한 해서 자형[7] 중국 본토는 간체자를 쓰지만, 간체자의 원래자형(번체자)까지 같이 등재되어 있는 통용규범한자표(通用规范汉字表)를 보면 着 자와 著 자를 별개의 글자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8] 출발(出發)과 도착(到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