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5 14:30:56

재주 예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15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9획
중학교
일본어 음독
ゲイ
일본어 훈독
う-える, わざ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藝는 '재주 예'라는 한자로, '재주', '예술(藝術)' 등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재주
중국어 표준어
광동어 ngai6
객가어 ngi
민동어 giê
민남어 gē / gōe
오어 nyi (T3)
일본어 음독 ゲイ
훈독 う-える, わざ
베트남어 nghệ

유니코드에는 U+85D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廿土戈戈(TGII)로 입력한다.

파일:藝.png

갑골문상에서 藝의 본자 埶는 사람이 양손에 풀이나 나무를 든 채로 무릎을 꿇고 앉은 형태로 나타난다. 즉, 원래 이 글자는 '식물을 심고 가꾸다.'라는 뜻의 회의자였다. 금문은 갑골문을 그대로 따른 형태가 있는 한편, 왼쪽의 (나무 목) 밑에 (흙 토)가 합쳐진 형태가 나오기 시작한다. 소전에서는 금문의 木+土 꼴이 坴로 바뀌고, 오른쪽의 사람은 (손 수)를 한 획이 감싸는 모양, 즉 丮의 형태로 바뀌었다. 그러다가 예서해서를 거치면서 오른쪽의 丮 형태는 (알 환)으로 바뀌고, 埶의 위 아래로 각각 (초두머리)와 (이를 운)이 추가되었다. 위 아래로 추가된 글자는 (향풀 운)인데, 이 글자는 (김맬 운)과 통자이다. 따라서 芸 자를 추가함은 '식물을 가꾸다.'라는 의미를 보강하기 위해서인 듯하다. 이러한 역사적인 이유인지, 일본의 신자체에서는 藝의 신자체로 '芸'을 사용한다. 신자체로 간화되면서 오히려 핵심이 빠져 버렸다.

한편 '식물을 가꾸다'라는 용법은 藝의 고전적인 용법이고, 현재 이 글자는 의미가 파생되어 '재주'·'기예'·'예술' 같은 의미, 즉 광의의 'art'라는 의미로 쓰인다. 여기서 고대 중국사회에서 농작물 재배를 중요시했음을 알 수 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