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10:31:02

에서 넘어옴
깃들일 서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8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2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セイ
일본어 훈독
すみか, す-む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棲는 '깃들일 서'라는 한자로, '깃들이다', '서식(棲息)하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깃들이다
중국어 표준어
광동어 cai1
객가어 chi, chhî
민북어 chí
민동어 chă̤
민남어 chhe
오어 qi (T1)
일본어 음독 セイ
훈독 す, すみか, す-む
베트남어 thê

유니코드에는 U+68F2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木十中女(DJLV)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나무 목)과 소리를 나타내는 (아내 처)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일본어에서는 상용한자에 없는 한자이므로, (날 생)으로 대체하여 사용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棲가 들어가는 지명 (국내)
경기 <colbgcolor=#fff,#191919> 파주시 파주읍 봉서리()
충남 천안시 동남구 안서동()
홍성군 금마면 봉서리()
전북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 서서학동(西)
완주군 이서면 용서리()
장수군 산서면 봉서리()
전남 곡성군 입면 서봉리(棲)
담양군 금성면 봉서리()
경북 경주시 서면 서오리(棲)
문경시 호계면 봉서리()
棲가 들어가는 지명 (일본)
홋카이도 카미카와군 타카스초()
칸토 이바라키현 카미스시()
큐슈 사가현 토스시()
棲가 들어가는 지명 (중국)
화둥 산둥성 치샤시(栖)
장쑤성 난징시 치샤구(栖)

3.5. 역명

역명에 棲가 들어가는 철도역 (일본)
파일:JRK-SKS.svg 큐슈 신칸센 신토스역()
파일:JRK-JB.svg 가고시마 본선 토스역(鳥)
파일:JRK-JH.svg 나가사키 본선 신토스역()
토스역(鳥)
파일:JRW-E.svg 산인 본선 아세리역()
파일:JRW-K.svg 키신선 니시쿠리스역(西)
파일:Randen-A.svg 란덴 아라시야마 본선 아리스가와역()
역명에 棲가 들어가는 철도역 (중화권)
파일:사오싱 지하철 1호선 아이콘.svg 사오싱 지하철 1호선 치후역(栖)
파일:China_Railways.svg 베이징 교외철도 화이러우-미윈선 옌치후역()
파일:China_Railways.svg 징광철도 치펑두역(栖)

3.6. 창작물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