蓍 시초 시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艸, 1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4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シ | ||||||
일본어 훈독 | めどぎ, めどはぎ | ||||||
- | |||||||
표준 중국어 | shī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蓍는 '시초 시'라는 한자로, 시초(蓍草)라는 국화과 Achillea속 식물을 뜻한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의 시초는 없지만, 똑같은 Achillea속에 속한 톱풀(Achillea alpina L)이 있기 때문에 '톱풀 시'라고도 한다.2. 상세
뜻을 나타내는 艸(풀 초)와 소리를 나타내는 耆(늙을 기)가 합쳐진 형성자이다.유니코드에는 U+84CD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廿十心日(TJPA)로 입력한다.
주역으로 점을 칠 적에 사용하는 도구 산통(算筒)에는 산가지를 넣는데, 산가지를 원래는 시초로 만들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시초가 없기 때문인지 그냥 대나무를 얇게 다듬어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