寬 너그러울 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宀, 12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5획 | ||||
고등학교 | |||||||
寛[1] | |||||||
일본어 음독 | カン | ||||||
일본어 훈독 | くつろ-ぐ, ひろ-い, ゆる-やか | ||||||
宽[2] | |||||||
표준 중국어 | kuā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寬은 '너그러울 관'이라는 한자로, '너그럽다', '넓다', '관대(寬大)하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너그럽다 |
음 | 관 | |
중국어 | 표준어 | kuān |
광동어 | fun1 | |
객가어 | khôn | |
민북어 | kúing | |
민동어 | kuăng | |
민남어 | khoan[文] / khoaⁿ[白] | |
오어 | khuoe (T1) | |
일본어 | 음독 | カン |
훈독 | くつろ-ぐ, くつろ-げる, ひろ-い, ゆる-やか | |
베트남어 | khoan |
유니코드에는 U+5BEC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JTBI(十廿月戈)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宀(집 면)과 소리를 나타내는 萈(뿔이가는양 환)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신자체 겸 약자는 거의 유사한 모양인데, 우하단에 점이 하나 빠진 모양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권재관(權宰寬)
- 구치관(具致寬)
- 김기관(金基寬)
- 김병관(金秉寬)
- 나가타 히로토(長田 寛人)
- 마츠모토 히로야(松本 寛也)
- 박관용(朴寬用)
- 백관수(白寬洙)
- 송대관(宋大寬)
- 부승관(夫勝寬)
- 아비루 칸타(阿蒜 寛太)
- 유관순(柳寬順)
- 유희관(柳熙寬)
- 이관규(李寬珪)
- 조관우(趙寬友)
- 채선관(蔡璇寬)
- 치넨 히로시(知念 寛)
- 쿠리타 료칸(栗田 良寬)
- 키쿠치 칸(菊池寛)[5]
- 허성관(許成寬)
- 히구루마 히로미(日車 寛見)
3.4. 지명
4. 유의자
- 薖(너그러울 과)
- 𦒨(너그러울 로)
- 慏(너그러울 명)
- 愃(상쾌할 선/너그러울 훤)
- 宥/𥙿(너그러울 유)
- 宱(너그러울 자)
- 綽(너그러울 작)
- 䩅(너그러울 전)
- 僘(너그러울 창)
- 坦(평탄할 탄/너그러울 탄)
5. 상대자
- 嚴(엄할 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