便 편할 편, 똥오줌 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人, 7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9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ベン, ビン | ||||||
일본어 훈독 | たよ-り, いばり, すなわ-ち, へつら-う, よすが | ||||||
- | |||||||
표준 중국어 | biàn, piá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便은 '편할 편' 또는 '똥오줌 변'이라는 한자로, '편(便)하다' 또는 '똥오줌'을 뜻한다.2. 상세
便의 획순 |
便의 자형 |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편하다, 똥오줌 | |
음 | 편, 변 | ||
중국어 | 표준어 | biàn | <colbgcolor=#fff,#1f2023>pián |
광동어 | bin6 | pin4 | |
객가어 | phien | phièn | |
민동어 | biêng | bièng[文] / bèng[白] | |
민남어 | piān | piân[文] / pân[白] | |
오어 | bi (T3) | bi (T3) | |
일본어 | 음독 | ベン, ビン | |
훈독 | たより, いばり, すなわ-ち, へつら-う, よすが | ||
베트남어 | tiện |
人(사람 인)과 更(고칠 경, 다시 갱)이 합쳐진 회의자로, 사람(人)이 불편한 곳이 있어서 편하게 고치는(更) 것을 나타낸다.
또한 便의 오른쪽에 있는 更은 상부의 '一+由' 모양이 매달아 놓은 종 모양이며, 하부는 손으로 채를 잡고 있는 모양이다. 그래서 사람이 종을 친다는 데에서 '알리다'라는 뜻도 갖게 되었다. 편지(便紙)가 그 예.
'똥오줌'이라는 뜻은 가차되었다.
유니코드는 U+4FBF에 배정되어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MLK(人一中大)로 입력한다. 주음부호로는 ㄅㄧㄢˋ 또는 ㄆㄧㄢˊ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1.1. 편하다
3.1.2. 똥오줌
3.1.3. 기타
3.2. 인명
3.3. 지명
- 경기도 안산시 동안구 동편로(東便路)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양지편로(陽地便路)
- 경기도 의왕시 양지편로(陽地便路)
- 경상남도 밀양시 하남읍 수산서편길(守山西便길)
- 광주광역시 서구 시청서편로(市廳西便路)
-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 양지편길(陽地便길)
- 전라남도 강진군 신전면 사초동편길(沙草東便길)
- 전라남도 고흥군 대서면 동편길(東便길)
- 전라남도 구례군 구례읍 동편제길(東便制길)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양지편길(陽地便길)
- 충청남도 청양군 청남면 동편길(東便길)
- 충청남도 청양군 청남면 서편길(西便길)
- 충청북도 충주시 연수동편길(連守東便길)
- 충청북도 충주시 연수서편길(連守西便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