充 채울 충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儿,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6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ジュウ | ||||||
일본어 훈독 | あ-てる, み-たす, み-ちる, み-つ | ||||||
- | |||||||
표준 중국어 | chō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充은 '채울 충'이라는 한자로, '채우다', '가득 차다', '충분(充分)하다' 등을 뜻한다.배 나온 사람의 모습을 묘사한 상형자이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채우다 |
음 | 충 | |
중국어 | 표준어 | chōng |
광동어 | cung1 | |
객가어 | chhûng | |
민동어 | chṳ̆ng | |
민남어 | chhiong | |
오어 | tshon (T1) | |
일본어 | 음독 | ジュウ |
훈독 | あ-てる, あ-て, み-たす, み-ちる, み-つ | |
베트남어 | sung |
유니코드에는 U+514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YIHU(卜戈竹山)로 입력한다.
3. 이 글자는 사실 속자이다?
사실 充의 본자는 위의 亠와 밑의 厶가 일체화된 글자였다.[1] 허나 두 글자가 분리된 형태가 사실상 정자가 되면서 본자는 묻혔다. 원자는 아들 자를 뒤집어놓은 형태. 대만에서는 ㄊ의 원형을 보존하면서 5획으로 취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