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4 10:41:33

빌 허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6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2획
중학교
일본어 음독
キョ, (コ)
일본어 훈독
うつ-ける, うつ-ろ, うろ, むな-しい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7. 여담

1. 개요

虛는 '빌 허'라는 한자로, '비다', '없다', '헛되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선 U+865B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YPTM(卜心廿一)으로 입력한다.

파일:虛 자형 변천과정.gif
갑골문은 존재하지 않고 금문부터 만들어진 한자이다. 뜻을 나타내는 (언덕 구) 와 소리를 나타내는 (호피 무늬 호)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본래는 '큰 언덕'[1]을 의미했으나 이후 뜻이 확장되어 건강이 비어 '약하다', '앓다', 진실이 없는 '거짓'[2], 아무도 살지 않는 '폐허'[3], '비어 있다', '차지 않다', (빌 공)처럼 '하늘', 배가 비어 있는 '배고픔'의 의미[4]로도 쓰인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여담


[1] 설문해자에서는 큰 언덕(大丘也)이라 함.[2] 허구, 허망, 허상, 허수, 허언증 등이 여기에 속한다.[3] 폐허는 虛를 쓰지 않고 (터 허)를 쓴다.[4] '허기'라는 단어의 뜻이 배고픔이라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