纔 겨우 재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糸, 17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23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サイ, サン | ||||||
일본어 훈독 | わず-か, わず-かに | ||||||
才 | |||||||
표준 중국어 | cái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纔는 '겨우 재'라는 한자로, '겨우'를 뜻한다.2. 상세
뜻을 나타내는 糸(가는실 멱)과 소리를 나타내는 毚(약은토끼 참)이 합쳐진 형성자이다.유니코드에는 U+7E94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VFNRI(女火弓口戈)로 입력한다.
본디 이 자가 중국어에서 '겨우 ~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보다시피 굉장히 복잡하게 생겼기 때문에 간체자, 정체자 모두 才자로 대체되었다.
3. 용례
3.1. 단어
- 기재성안유생(技纔成眼有眚)
- 마재기 욕노수(馬纔騎 欲奴隨)
- 오재이수 이운기실(烏纔離樹 梨隕其實)
- 재식일시 불구복기(纔食一匙 不救腹飢)
- 재학기기 아안반혼(纔學其技 我眼反昏)
- 해재유자 오능색물(蟹纔有子 螯能齰物)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㜶(배필 반)
- 𨇩[⿰𧾷毚](가는모양 참)
- 𢖞[⿰彳毚](가지런하지않을 참)
- 巉(가파를 참)
- 𧕃[⿰虫毚](게이름 참)
- 㸥(널빤지 참)
- 䂁(노려볼 참)
- 䧯(땅이름 참)
- 𡓦[⿰土毚](무덤 참)
- 瀺(물소리 참)
- 嚵(부리/맛볼 참, 마실 삼)
- 𧥓[⿰角毚](뿔모양 참)
- 欃(살별이름 참)
- 𤜇[⿰牛毚](쇠뿔모양 참)
- 儳(어긋날 참)
- 䪌(언치 참, 깃발 섬)
- 𪚃[⿰齒毚](이높을 참)
- 𪓄[⿰黑毚](지울 참)
- 㺥(짖는소리/토끼 참)
- 攙(찌를 참)
- 讒(참소할 참)
- 鑱(침 참)
- 𪗂[⿰鼻毚](코가높은모양 참)
- 艬(큰배 참)
- 饞(탐할 참)
- 𦧻[⿰舌毚](혀빼문모양 첨)[1]
- 𤒰[⿰火毚]
- 𰧫[⿰石毚]
- 𨳂[⿰镸毚]
- 𩽝[⿰魚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