丈 어른 장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一, 2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3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ジョウ | ||||||
일본어 훈독 | たけ | ||||||
- | |||||||
표준 중국어 | zhà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丈의 획순 |
[clearfix]
1. 개요
丈은 '어른 장'이라는 한자로, 어른, 장자를 나타낸다. '긴 장'이라고도 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어른, 길다 |
음 | 장 | |
중국어 | 표준어 | zhàng |
광동어 | zoeng6 | |
객가어 | chhong[文] / chhông[白] | |
민동어 | tiông[文] / dâung[白] | |
민남어 | tiōng[文] / tiūⁿ, tn̄g[白] | |
오어 | zan (T3) | |
일본어 | 음독 | ジョウ |
훈독 | たけ | |
베트남어 | trượng |
유니코드에는 U+4E08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ㄓㄤ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JK(十大)로 입력한다.
十(열 십)과 又(또 우)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十은 지팡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지팡이를 손(又)으로 쥔 모습을 묘사하였다. 그래서 본래는 지팡이를 뜻했으나 나중에 어른을 뜻하게 되었고, 본래 뜻을 살려내기 위해 만들어진 글자가 杖(지팡이 장)이다.
또한 길이의 단위이기도 하다. 10척이 1장이다.
3. 용례
3.1. 단어
- 대장부(大丈夫)
- 만장(萬丈)
- 사장(査丈)
- 억장(億丈)
- 여장부(女丈夫)
- 왕장(王丈)
- 장가(丈家)
- 장모(丈母)
- 장부(丈夫)
- 장서(丈壻)
- 장인(丈人)
- 장인어른(丈人어른)
- 장조(丈祖)
- 졸장부(拙丈夫)
- 주인장(主人丈)
- 함장(函丈)[7]
3.2. 성어
3.3. 지명
- 계성장마로(桂城丈麻路)
- 남지장마로(南旨丈麻路)
- 만장굴(萬丈窟)
- 센죠역(千丈)
- 영산장마로(靈山丈麻路)
- 오장원(五丈原)
- 유어장마로(遊漁丈麻路)
- 장마고곡로(丈麻鼓谷路)
- 창녕장마로(昌寧丈麻路)
- 하치조마치(八丈町)
- 하치조지마 공항(八丈島空港)
- 하치조 지청(八丈支庁)
3.4. 인명
3.4.1. 실존 인물
- 긴가 반조(銀河万丈)
- 무로조노 타케히로(室園 丈裕)
- 야마모토 조이(山本 丈偉)
- 오오츠키 죠이치로(大槻丈一郎)
- 이누카이 아츠히로(犬飼貴丈)
- 좌자장팔(左髭丈八)
- 진의장(陳義丈)
- 츠루마루 타케오(鶴丸 丈夫)
- 타오 노리타케(田尾 典丈)
- 토모나가 죠이치(友永丈市)
- 혼인보 겐조(本因坊元丈)
- 혼인보 조사쿠(本因坊 丈策)
- 혼인보 조와(本因坊 丈和)[9]
- 후지와라 죠이치로(藤原 丈一郎)
3.4.2. 가상 인물
- 만죠메 인슈(万丈目 胤舟)
- 만죠메 쥰(万丈目 準)
- 반죠 류우가(万丈 龍我)
- 반죠 카즈이치(万丈 数壱)
- 아오카게 죠(青影 丈)
- 야부키 죠(矢吹 丈)
- 야코 조이치(夜行 丈一)
- 오니시마 죠이치(鬼島丈一)
- 오오하라 죠(大原 丈)
- 키도 죠이치로(城戸 丈一郎)
- 키도 죠타로(木戸 丈太郎)
- 키지마 조이치로(木島 丈一郎)
- 타즈나 죠(田綱 丈)
- 타케야 유키(丈槍 由紀)
- 하란 반죠(破嵐万丈)
- 하치조(八丈)
- 히라코 타케(平子 丈)
- 히비키 죠(枇々木 丈)
3.5. 창작물
3.6. 기타
- 황룡사 장륙삼존불상 불두 파편(皇龍寺 丈六三尊佛像 佛頭 破片)
- 하치조 방언(八丈方言)
- 하치조지마 화장장 백골 시신 사건(八丈島火葬場七体人骨事件)
-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南原 實相寺 百丈庵 三層石塔)
4. 반의어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女(계집 녀)
- 大(큰 대)
大는 제3획(乀)이 제1획(一)과 제2획(丿)의 교차점부터 시작한다면, 丈은 제3획이 제1획의 아래와 제2획의 왼쪽 공간부터 시작하며 제1획과 제2획의 교차점보다 아래쪽에서 제2획을 관통한다. - 文(글월 문)
文은 첫 두 획은 亠, 나머지 두 획은 乂의 형태로 쓰지만, 丈은 一 위쪽의 꼭지와 一 아래쪽의 삐침(丿)이 통째로 한 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