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1 13:47:52

이지러질 결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4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0획
고등학교
일본어 음독
ケツ
일본어 훈독
か-ける, か-く
-
표준 중국어
quē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缺은 '이지러질 결'이라는 한자로, '이지러지다', '모자라다', '빠지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이지러지다
중국어 표준어 quē
광동어 kyut3
객가어 khiet[1] / khiat[2]
민북어 kiĕ, kṳĕ
민동어 kiák, kiék, kuók
민남어 khuat[文] / khih[白], kheh[白], khueh[白]
오어 qyq (T4)
일본어 음독 ケツ
훈독 か-ける, か-く
베트남어 khuyết
유니코드에는 U+7F3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人山木大(OUDK)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장군 부)와 소리를 나타내는 (쾌괘 쾌)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는 '도자기가 깨지다'라는 뜻이지만, 여기서 파생되어 '모자라다', '불완전하다', '없다' 등 다른 의미도 생겼다.

일본에서는 (하품 흠)으로 대체해서 쓴다. 단, 欠缺(けんけつ, 흠결) 같은 예외가 있기는 하다. 이 단어에는 이미 欠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缺을 欠으로 대체해 버리면 欠欠(...)이 되기 때문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북쪽 쓰셴 방언[2] 남쪽 쓰셴 방언[文] 문독, '질적으로 모자라다'라는 뜻을 나타낼 때[白] 백독, 항아리 따위가 깨짐을 뜻할 때[白] 백독, '양적으로 모자라다'라는 뜻을 나타낼 때, 타이베이 등[白] 백독, '양적으로 모자라다'라는 뜻을 나타낼 때, 가오슝 등[7] (흙덩이 괴)의 간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