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8 22:02:50

탄식할 탄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11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5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タン
일본어 훈독
たた-える, なげ-く
표준 중국어
tà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모양이 비슷한 한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歎은 '탄식할 탄'이라는 한자로, '탄식(歎息)하다', '한탄(恨歎)하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서는 U+6B4E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廿人弓人(TONO)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하품 흠)과 소리를 나타내는 𦰩 자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 글자는 흔히 (한숨쉴 탄)과 혼동되고는 하나 원래 둘은 같은 글자가 아니다. 강희자전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玉篇】他旦切【唐韻】【集韻】【韻會】他案切,𠀤音炭。【說文】吟也。【禮·檀弓】戚斯歎。【疏】歎,吟息也。憤恚轉深,故因發吟息也。【禮·曲禮】當食不歎,臨樂不歎。
又稱美曰歎。【禮·郊特牲】卒爵而樂闋,孔子屢歎之。【註】歎,美也。
又讚和曰歎。謂歌尾曳聲以助也。【禮·樂記】壹倡而三歎。通作嘆。
又【集韻】【韻會】他干切【正韻】他丹切,𠀤音攤。義同。【詩·大雅】旣順廼宣,而無永歎。【釋文】歎,他安反。
又【楚辭·九思】日瞥瞥兮西沒,道遐廻兮阻歎。志稸積兮未通,悵惝罔兮自憐。【曹大家·東征賦】涉封丘而踐路兮,慕京師而竊歎。小人性之懷土兮,自書傳而有焉。俱从平聲讀。古寒、先、刪三韻通。【說文】本作⿰𡏳欠。籀文作𣥁。


〔古文〕𡂥【唐韻】【集韻】他案切【正韻】他晏切,𠀤音炭。【說文】吞歎也。一曰太息也。與歎同。
又【廣韻】【集韻】他干切【正韻】他丹切,音灘。義同。【詩·王風】嘅其嘆矣,遇人之艱難矣。【釋文】嘆,本亦作歎,吐丹反,協韻也。
又【大雅】而無永嘆。【釋文】歎,他安反,字或作嘆。
又叶他絹切,音𤩴。【曹植賦】入空室而獨倚,對牀幃而切歎。歎叶上見。
又叶他涓切,音天。【曹大家·東征賦】陟封丘而踐路兮,慕京師而竊嘆。小人性之懷土兮,自書傳而有焉。

한문에서 歎 자는 주로 긍정적인 뉘앙스를 가져 '감탄하다', '탄복하다' 등의 뜻으로 쓰였고 嘆 자는 주로 부정적인 뉘앙스를 가져 '비탄하다', '탄식하다' 등의 뜻으로 쓰였다. 그러나 항상 이런 것은 아니어서 두 글자가 서로 통하기도 하였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두 글자가 거의 이체자로 취급된다. 한국의 경우, 어문회에서는 歎 자를 4급에, 嘆 자를 준특급에 배정하여 嘆 자를 사실상 歎 자의 이체자로 간주하며, 한문 교육용 배당한자에는 歎 자만 배정되어 있다. 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탄'이 들어간 한자어의 한자 표기로 嘆과 歎 모두 제시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중국 간체자에서는 두 글자가 모두 叹으로 간화되었으며, 일본에서는 嘆 자만 상용한자에 배정되어 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지명

3.4. 창작물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