豹 표범 표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豸, 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0획 | ||||
미배정 | 1급 | ||||||
- | |||||||
일본어 음독 | ヒョウ | ||||||
일본어 훈독 | なかツかみ | ||||||
- | |||||||
표준 중국어 | bào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豹는 '표범 표'라는 한자로, '표범'을 뜻한다. 그래서 '바독범 표'라고도 한다.2. 자형
갑골문 |
3.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표범 |
음 | 표 | |
중국어 | 표준어 | bào |
광동어 | paau3 | |
객가어 | pau | |
민북어 | ba̿u | |
민동어 | báu | |
민남어 | pàu | |
오어 | pau (T2) | |
일본어 | 음독 | ヒョウ |
훈독 | - | |
베트남어 | báo |
유니코드에는 U+8C79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BHPI(月竹心戈)로 입력한다.
본래 갑골문에서는 표범을 본뜬 상형문자로, 이곳에서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소전에서 현재와 유사한 형태로 변형되었고, 자형이 통폐합된 예서와 해서를 거쳐 변형되었다. 다만 갑골문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뜻을 나타내는 豸(벌레 치)와 소리를 나타내는 勺(구기 작)이 합쳐진 형성자라는, 설문해자에만 의존한 민간어원이 통용되었다.
이체자로는 왼쪽에 犬(개 견)을 쓰는 犳(U+72B3)가 있다.
일본어 훈독이 특이하게도 나카츠카미(なかツかみ)다. 직역하면 '가운데'(なか)+'의'(つ)+'신'(かみ)인데 옛날 일본어로 바독범이다. 왜 옛날 일본어에서 바독범을 가운데의 신이라 불렀는지 아리송할만도 한데 음양가에서 나바그라하를 편집하여 팔장신을 만들었는데 여기에 표미가 있으며 이 신의 이름이 표(豹)의 꼬리고 가운데 있는 신이라 여겨서 가운데의 신이 바독범의 이름이 되었다. #
4. 용례
4.1. 단어
4.2. 고사성어/숙어
4.3. 인명
4.4. 지명
4.5. 창작물
- 秘密捜査官の女 ファイナル 復讐の女豹、闘いの挽歌(비밀수사관의 여자 파이널 복수의 여표 투쟁의 만가)
4.6. 기타
5. 유의자
- 犳(표범 작)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䂆(창 격/혁)
- 𡖑[⿰多勺](구울 구)
- 虳(쥐 굴)
- 彴(별똥 박, 외나무다리 작)
- 𤿉[⿰皮勺](살갗터질 박)[1]
- 𠮭[⿰口勺](역정낼 박)
- 趵(차는소리 박)
- 畃(사귈 순)
- 約/𠣩[⿰束勺](맺을 약)
- 礿(봄제사 약)[2]
- 𩚈[⿰𩙿勺](줄일 약)
- 䋤(흰비단 약)
- 扚(곁매칠 작, 손금 약, 빨리칠 조, 끌어당길 적)
- 灼(불사를 작)
- 汋(샘솟을 작, 익힐 약)
- 酌(술부을/잔질할 작)
- 仢(외나무다리 작, 별똥 박)
- 𧘑[⿰衤勺](적삼 작)
- 妁(중매 작)
- 犳(표범 작)
- 圴(흙자국 작, 고를 균)
- 靮(고삐 적)
- 的/㢩(과녁 적)
- 𥐝[⿰石勺](던질/방아 적)
- 旳(밝을 적)
- 肑(배아랫살 적)
- 馰(별박이 적)
- 玓(빛날 적)
- 䵠(연지찍을 적)
- 𠤉[⿰㡭勺](끊을 절)[3]
- 㣿(근심할 조, 놀랄 작)
- 釣(낚을/낚시 조)
- 魡(낚을 조, 그물에걸리게할 적)
- 𢁕[⿰巾勺](비단띠 조)
- 訋(쥘 조)
- 䄪(고개숙인모양 초)
- 𩾡[⿰鳥勺](너새 표)
- 杓(북두자루 표)
- 䶂(짐승이름 표, 쥐이름 작)
- 𣧀[⿰歹勺](클 홍)[4]
- 䪨(박)
- 𰄛[⿰刀勺]
- 𫧂[⿰告勺]
- 𠣳[⿰卓勺]
- 𭅌[⿰其勺]
- 𱐽[⿰曹勺]
- 𠣷[⿰口勺]
- 𪪊[⿰幺勺]
- 𭘅[⿰工勺]
- 𱚣[⿰少勺]
- 𭇕[⿰句勺]
- 𥩘[⿰立勺]
- 𪾠[⿰目勺]
- 𬏀[⿰田勺]
- 𦨓[⿰舟勺]
- 𰹋[⿰車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