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2 12:43:01

표범 표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3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0획
미배정
1급
-
일본어 음독
ヒョウ
일본어 훈독
なかツかみ
-
표준 중국어
bào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자형3. 상세4. 용례5. 유의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clearfix]

1. 개요

豹는 '표범 표'라는 한자로, '표범'을 뜻한다. 그래서 '바독범 표'라고도 한다.

2. 자형

파일:42_E5AC.png파일:42_E5AE.png파일:42_E5B1.png파일:42_E5B2.png
갑골문

3.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표범
중국어 표준어 bào
광동어 paau3
객가어 pau
민북어 ba̿u
민동어 báu
민남어 pàu
오어 pau (T2)
일본어 음독 ヒョウ
훈독 -
베트남어 báo

유니코드에는 U+8C79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BHPI(月竹心戈)로 입력한다.

본래 갑골문에서는 표범을 본뜬 상형문자로, 이곳에서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소전에서 현재와 유사한 형태로 변형되었고, 자형이 통폐합된 예서와 해서를 거쳐 변형되었다. 다만 갑골문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뜻을 나타내는 (벌레 치)와 소리를 나타내는 (구기 작)이 합쳐진 형성자라는, 설문해자에만 의존한 민간어원이 통용되었다.

이체자로는 왼쪽에 (개 견)을 쓰는 犳(U+72B3)가 있다.

일본어 훈독이 특이하게도 나카츠카미(なかツかみ)다. 직역하면 '가운데'(なか)+'의'()+'신'(かみ)인데 옛날 일본어로 바독범이다. 왜 옛날 일본어에서 바독범을 가운데의 신이라 불렀는지 아리송할만도 한데 음양가에서 나바그라하를 편집하여 팔장신을 만들었는데 여기에 표미가 있으며 이 신의 이름이 표(豹)의 꼬리고 가운데 있는 신이라 여겨서 가운데의 신이 바독범의 이름이 되었다. #

4. 용례

4.1. 단어

4.2. 고사성어/숙어

4.3. 인명

4.4. 지명

4.5. 창작물

4.6. 기타

5. 유의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𤿈(살갗터질 박)의 동자[2] (봄제사 약)의 동자[3] (끊을 절)의 고자[4] (클 홍)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