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7 07:37:04

언덕 치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6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9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そな-える, そばだ-つ, たくわ-える
-
표준 중국어
shì, zhì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峙는 '언덕 치'라는 한자로, '언덕' 또는 '산이 우뚝하다'를 뜻한다. 산 고개. 산 재 뜻을 가지고 있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CD9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UGDI(山土木戈)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메 산)과 소리를 나타내는 (절 사)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한국 지명에서는 고개를 뜻하는 한자로서 (고개 령), (고개 현)과 함께 흔하게 사용된다. 峙 자가 들어가는 고개 이름은 보통 한자어로는 'OO치'라고 하고 순우리말로는 'XX재'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지명용 속음으로 '티'가 있다. 사실 이 음은 구개음화로 인해 현재 음인 '치'로 변하기 전의 본래 음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지명에서는 '티'로 읽는 경우도 많다.

3.5. 역명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두 사람 또는 세력이 서로 맞대고 있음'을 뜻하는 대치이다(예: 북한휴전선을 사이에 두고 對峙하고 있다). '대신하여 놓거나 두다'를 뜻하는 '대치(代置)'와는 다르다.[2] 일본의 국자로, 이 글자의 경우 峙의 와전이라는 학설이 힘을 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