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1-19 12:00:59

나라이름 촉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7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3획
미배정
2급
-
일본어 음독
ショク
일본어 훈독
あおむし, いもむし, とうまる
-
표준 중국어
shǔ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자형4. 용례5. 유의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蜀은 '나라이름 촉'이라는 한자로, '촉(蜀)나라', '애벌레' 등을 뜻한다. 그래서 '애벌레 촉'이라고도 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나라이름
중국어 표준어 shǔ
광동어 suk6
객가어 chuk
민북어 cṳ̆[지명],cì[하나]
민동어 sṳ̆k[지명] / siŏh[하나]
민남어 sio̍k[지명], chi̍t[하나]
오어 zoq (T5)
일본어 음독 ショク
훈독 あおむし, いもむし, とうまる
베트남어 thục

유니코드에는 U+8700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WLPLI(田中心中戈)로 입력한다.

갑골문상에서 이 글자는 큰 눈()이 강조된 벌레()의 모습을 본뜬 상형자로 나타나며, 금문 이후 아래쪽에 (벌레 충)이 더해지면서 회의자가 되었다. 원래는 벌레의 일종을 나타내는 한자였으나, 가차되어 '촉'이라고 하는 나라 혹은 지명을 나타내는 한자가 되었다.

민어에서는 이 글자가 (한 일), 즉 '하나'라는 뜻으로 쓰인다. 다만 필기하기 워낙 불편한지라 한 일(一)을 써 놓는 경우도 부지기수이다. (홀로 독)과 의미가 상통하며 蜀은 3등운, 獨은 1등운이라는 차이가 있다.
一,蜀也。南楚謂之蜀。
《方言》第十二
蜀音市玉切,音小變則如束。福州謂一爲蜀,一尺一丈一百一千則云蜀尺蜀丈蜀百蜀千,音皆如束。
章炳麟《新方言·釋言》

다른 한자 부수에 붙으면 으로 간화되기도 한다(-浊, -独, -触). 단, 일본에서 濁은 浊으로 쓰지 않는다.

3. 자형

파일:44_E2E3.svg파일:44_E2E4.svg
갑골문

4. 용례

4.1. 단어

4.2. 고사성어/숙어

4.3. 인명

4.4. 지명

5. 유의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지명] 지명으로 쓰일 때[하나] 하나라는 뜻으로 쓰일 때[지명] [하나] [지명]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