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2:25:57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胄을 간체자로 하는 한자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胄을 간체자로 하는 한자: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자손 주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5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9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チュウ
일본어 훈독
ちすじ, よつぎ
-
표준 중국어
zhòu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胄는 '자손 주'라는 한자로, '자손', '맏아들', '투구'를 뜻한다. 그래서 '맏아들 주'라고도 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80C4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LWB(中田月)로 입력한다.

형부인 (, 육달월)과 성부인 로 구성된 형성자다. 가 성부로 쓰인 , 등이 "주"라는 독음을 갖는다.
파일:胄(설문해자).svg 파일:冑(설문해자).svg
胄(자손 주) (투구 주)

본래 胄(자손 주)와 (투구 주)는 다른 글자다. 위 설문해자의 소전체를 보면 胄는 由와 月(肉), 는 由와 (쓰개 모)로 구성되어 있다. 해서로 오면서 肉에서 변한 가 구분되지 않으면서 투구의 뜻으로도 혼용되고 있다.

3. 용례

3.1. 단어

3.2. 인명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