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1 21:33:14

토끼 토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6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8획
미배정[1]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うさぎ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兔는 '토끼 토'라는 한자로, 동물의 일종 '토끼'를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154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NUI(弓山戈)로 입력한다.

토끼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아래의 점은 토끼의 짧은 꼬리, 윗부분은 토끼의 큰 귀다. 정자는 兔이지만 완성형 코드에는 속자인 兎(U+514E, KS: 0xF7CD)만 할당되어 있어 일부 구형 시스템에서는 글자가 깨져 나올 수 있다. Windows 한국어 입력기에 내장된 한자 입력기에서도 兎만이 바로 변환 가능하고, 兔를 입력하려면 확장 한자 옵션을 켜 줘야 한다. 한국어문회의 한자급수시험에선 兔는 준3급, 兎를 준특급에 따로 배정했고,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도 표제어의 한자 표기에 兎가 아닌 兔를 사용하고, 대법원의 한자/인명용 한자표에서도 兎를 兔의 속자로서 '허용'하여 공식적으로는 정자인 兔의 사용을 장려하고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兎를, 중국에서는 兔를 표준 자형으로 정했다.

설문해자에서는 (원통할 원), (편안할 일) 등 이 글자에서 파생된 5글자들을 묶어서 한 부수로 만들었지만 강희자전에서는 이 부수를 없애고 모두 다른 부수들에 귀속시켰다.

(면할 면)과는 매우 비슷하게 생겼지만, 이는 소전에서부터고 금문까지는 모양이 달랐다. 토끼 머리랑 모자 쓴 사람 머리 차이.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가상 인물)

3.4. 지명

3.5. 창작물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1972년 최초 제정 당시엔 고등용으로 배정되었으나, 2000년 개정 시 제외되었다.[2] 한나라 양효왕 유무의 정원 '토원'에서 따온 이름으로 유무가 가진 책들이 비속한 내용이라는 데에서 유래한 '비속한 책'을 뜻하는 고사성어다. 위의 책 이름 '토원책부'와는 유래가 다르다.[3] 당나라 장왕 이운의 정원 '토원'에서 따온 이름으로 유서, 그러니까 지금의 백과사전과 비슷한 책의 이름이다. 아래의 고사성어 '토원책'과는 유래가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