乞 빌 걸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乙, 2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3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キツ, コツ | ||||||
일본어 훈독 | こ-う | ||||||
- | |||||||
표준 중국어 | qǐ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빌 걸(乞). '빌다', '구걸하다', '가난하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빌다 |
음 | 걸 | |
중국어 | 표준어 | qǐ |
광동어 | hat1 | |
객가어 | khié, khiet | |
민북어 | kĭ | |
민동어 | ké̤ṳk | |
민남어 | khit | |
오어 | qiq(T4) | |
일본어 | 음독 | キツ, コツ |
훈독 | こ-う | |
베트남어 | khất |
유니코드에는 U+4E5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N(人弓)으로 입력한다.
원래 이 글자는 气(기운 기)와 같은 글자였다. 气는 원래 '공기', '기운' 등의 뜻을 나타내는 글자였으나 가차되어 '빌다'라는 뜻도 나타내었는데, '빌다'라는 뜻만 따로 나타내기 위해 气에서 따로 떨어져 나온 글자가 乞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 걸불병행(乞不竝行)
- 걸신(乞神)
- 걸아득금(乞兒得錦)
- 걸인연천(乞人憐天)
- 걸해골(乞骸骨)
- 문전걸식(門前乞食)
- 애걸복걸(哀乞伏乞)
- 요미걸련(搖尾乞憐)
- 원걸종양(願乞終養)
- 전전걸식(轉轉乞食)
- 호전걸육(虎前乞肉)
3.3. 인명
- 걸걸중상(乞乞仲象)
- 걸력서(乞力徐)
- 걸복건귀(乞伏乾歸)
- 걸복국인(乞伏國仁)
- 걸복리나(乞伏利那)
- 걸복모말(乞伏慕末/乞伏暮末)
- 걸복우린(乞伏祐隣)
- 걸복치반(乞伏熾磐)
- 걸사비우(乞四比羽)
- 걸사우(乞四羽)
- 걸탑대(乞塔歹)
- 걸해대왕(乞解大王)
- 걸해 이사금(乞解 尼師今)
- 김중걸(金仲乞)
- 논걸염(論乞髯)
- 사걸(沙乞)
- 사사고이 토이치로(笹乞 藤一郞)
- 선우걸(鮮于乞)
- 야율걸노(耶律乞奴)
- 우문걸득귀(宇文乞得龜)
- 전걸(田乞)
- 조수걸(操帥乞)
- 키츠가이 세세(乞骸 セセ)
- 코이즈미 레이(乞水 怜)
- 찰걸아(察乞兒)
- 취걸개(醉乞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