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4 18:17:11

6.25 전쟁

6 25전쟁에서 넘어옴

6.25 전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발발 전개 영향
미군 참전과 역할 인식
전투 및 작전 목록 10대 미스터리
재한유엔기념공원 부대찌개
관련 기록 사용 장비
정전 협정 종전 협정
}}}}}}}}} ||
6.25 전쟁
六二五 戰爭 | Korean War
<nopad> 파일:600px-Korean_War_Montage_2.png
전쟁 당시 사진 (1950년 - 1953년)[1]
<nopad> 파일:국토교통부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625전쟁 지도.png
전개도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3)[2]
기간
1950년 6월 25일([age(1950-06-25)]주년) 4시 20분경 ~ 1953년 7월 27일 22시 (사실상)
1950년 6월 25일 4시 20분경 ~ 현재 (명목상)[3]
(1953년 7월 27일 22시 이후 [dday(1953-07-27)]일간 휴전 상태)
장소
한반도 본토 및 연안과 부속 도서 일부[4]
원인
냉전, 김일성조선로동당한반도 적화통일 야욕
교전국
파일:유엔 엠블럼(흰색).png 유엔군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대한민국|]]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미국|]]


[[영국|]][[틀:국기|]][[틀:국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호주 자치령|
호주 자치령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뉴질랜드 자치령|
뉴질랜드 자치령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캐나다 자치령|]]

[[남아프리카 연방|]][[틀:국기|]][[틀:국기|]]

[[터키|]][[틀:국기|]][[틀:국기|
속령
터키
]]

[[필리핀|]][[틀:국기|]][[틀:국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태국|]]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5]

[[콜롬비아|]][[틀:국기|]][[틀:국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그리스 왕국|]]

[[에티오피아 제국|]][[틀:국기|]][[틀:국기|]][6]

[[벨기에|]][[틀:국기|]][[틀:국기|]]
[[프랑스 제4공화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룩셈부르크|]][[틀:국기|]][[틀:국기|]]

[[북한|]][[틀:국기|]][[틀:국기|]]


[[중국|]][[틀:국기|]][[틀:국기|]]
[7]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소비에트 연방|]][8][B]
[[틀:깃발|
기 명칭
베트남 민주 공화국
]][[틀:깃발|
깃발 명칭
베트남 민주 공화국
]][[베트남 민주 공화국|
베트남 민주 공화국
베트남 민주 공화국
]][10][B] (비공식)
의료 지원국

[[노르웨이|]][[틀:국기|]][[틀:국기|]]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스웨덴|]][[틀:국기|]][[틀:국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이탈리아|]][12]

[[인도|]][[틀:국기|]][[틀:국기|]][A]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서독|]][14]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동독|]][15]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루마니아 인민공화국|]]

[[인도|]][[틀:국기|]][[틀:국기|]][A]
[[틀:깃발|
기 명칭
체코슬로바키아
]][[틀:깃발|
깃발 명칭
체코슬로바키아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체코슬로바키아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폴란드 인민공화국|]]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헝가리 인민공화국|]]
물자 및 기타 지원국[1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대만|]][[틀:국기|]][[틀:국기|]]

[[에콰도르|]][[틀:국기|]][[틀:국기|]]
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 쿠바 제1공화국[18]

[[파나마|]][[틀:국기|]][[틀:국기|]]

[[과테말라|]][[틀:국기|]][[틀:국기|]]

[[이스라엘|]][[틀:국기|]][[틀:국기|]]

[[아르헨티나|]][[틀:국기|]][[틀:국기|]]

[[코스타리카|]][[틀:국기|]][[틀:국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멕시코|]][19]

[[도미니카 공화국|]][[틀:국기|]][[틀:국기|]]

[[팔라비 왕조|
팔라비 왕조
이란 제국
]][[틀:국기|
행정구
이란 제국
]][[틀:국기|
속령
이란 제국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연합군 점령하 오스트리아|
연합군 점령하 오스트리아
]]

[[레바논|]][[틀:국기|]][[틀:국기|]]

[[라이베리아|]][[틀:국기|]][[틀:국기|]]

[[리히텐슈타인|]][[틀:국기|]][[틀:국기|]]

[[모나코|]][[틀:국기|]][[틀:국기|]]

[[바티칸|]][[틀:국기|]][[틀:국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베트남국|]]

[[사우디아라비아|]][[틀:국기|]][[틀:국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파키스탄 자치령|
파키스탄 자치령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연합군 점령하 일본|
연합군 점령하 일본
]][20]

[[스위스|]][[틀:국기|]][[틀:국기|]]

[[이집트 왕국|]][[틀:국기|]][[틀:국기|]]
[[틀:깃발|
기 명칭
스페인국
]][[틀:깃발|
깃발 명칭
스페인국
]][[프랑코 정권|
프랑코 정권
스페인국
]] 프랑코 정권

[[버마 연방|]][[틀:국기|]][[틀:국기|]]
[[틀:깃발|
기 명칭
시리아 제1공화국
]][[틀:깃발|
깃발 명칭
시리아 제1공화국
]][[자유 시리아군|
자유 시리아군
시리아 제1공화국
]][21]

[[인도네시아|]][[틀:국기|]][[틀:국기|]]

[[아이슬란드|]][[틀:국기|]][[틀:국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헝가리 인민공화국|]][22]

[[엘살바도르|]][[틀:국기|]][[틀:국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아이티|]]

[[페루|]][[틀:국기|]][[틀:국기|]]

[[우루과이|]][[틀:국기|]][[틀:국기|]]

[[베네수엘라|]][[틀:국기|]][[틀:국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캄보디아|]]
}}}}}}
[[몽골 인민공화국|]][[틀:국기|]][[틀:국기|]]
지원 의사 표명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대만|]][[틀:국기|]][[틀:국기|]][23]
[[틀:깃발|
기 명칭
스페인국
]][[틀:깃발|
깃발 명칭
스페인국
]][[프랑코 정권|
프랑코 정권
스페인국
]][24]

[[이스라엘|]][[틀:국기|]][[틀:국기|]][25]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니카라과|]]

[[볼리비아|]][[틀:국기|]][[틀:국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브라질|]]
}}}}}} -
지휘관[2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이승만|]]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신성모|]]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채병덕|]]†
[[틀:깃발|
기 명칭
김홍일
]][[틀:깃발|
깃발 명칭
김홍일
]][[김홍일(군인)|]]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백선엽|]]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이형근|]]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정일권|]]
[[틀:깃발|
기 명칭
이준식
]][[틀:깃발|
깃발 명칭
이준식
]][[이준식(군인)|]]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이한림|]]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손원일|]]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유승렬|]]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이응준|]]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김종오|]]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장도영|]]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유재흥|]]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이성가|]]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이종찬|]]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백인엽|]]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임부택|]]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해리 S. 트루먼|]]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조지 C. 마셜|]]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커티스 르메이|]]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미국|]] 로버트 A. 로벳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미국|]] 찰스 어윈 윌슨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알레이 버크|]]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오마 브래들리|]]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미국|]] J. 로턴 콜린스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미국|]] 포레스트 셔먼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미국|]] 윌리엄 페치텔러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미국|]] 호이트 반덴버그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미국|]] 네이선 트와이닝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미국|]] 토머스 D. 화이트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유엔|]]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더글러스 맥아더|]]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유엔|]]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매튜 리지웨이|]]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유엔|]]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월튼 워커|]]†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유엔|]]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제임스 밴 플리트|
제임스 밴 플리트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조지 6세|]]†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엘리자베스 2세|
엘리자베스 2세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윈스턴 처칠|
윈스턴 처칠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클레멘트 애틀리|
클레멘트 애틀리
]]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해롤드 알렉산더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캐나다 자치령|]]
빈센트 매시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캐나다 자치령|]]
루이 생로랑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호주|]]
윌리엄 맥켈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로버트 멘지스|
로버트 멘지스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튀르키예|]]
젤랄 바야르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아드난 멘데레스|
아드난 멘데레스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타흐신 야즈즈|
타흐신 야즈즈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하일레 셀라시에|]]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에티오피아 제국|]] 케베데 게브레[27]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뱅상 오리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라울 마그랭 베르느레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레오폴드 3세|
레오폴드 3세
]]
[[틀:깃발|
기 명칭
보두앵
]][[틀:깃발|
깃발 명칭
보두앵
]][[보두앵(벨기에)|
보두앵(벨기에)
보두앵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벨기에|]]
조제프 폴리앵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파블로스 1세|]]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남아프리카 연방|]]
다니엘 프랑수아 말란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콜롬비아|]] 라우레아노 고메스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김일성|]]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김두봉|]]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박헌영|]]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김원봉|]]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홍명희|]]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김책|]]†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최용건|]]

[[북한|]][[틀:국기|]][[틀:국기|]] 박일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정준택|]]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남일|]]
[[틀:깃발|
기 명칭
강건
]][[틀:깃발|
깃발 명칭
강건
]][[강건(북한)|
강건(북한)
강건
]]†

[[북한|]][[틀:국기|]][[틀:국기|]]김웅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최광|]]
[[틀:깃발|
기 명칭
리영호
]][[틀:깃발|
깃발 명칭
리영호
]][[리영호(1910)|
리영호(1910)
리영호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리권무|]]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방호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전우|]]

[[북한|]][[틀:국기|]][[틀:국기|]]류경수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오백룡|]]

[[북한|]][[틀:국기|]][[틀:국기|]] 리방남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최용진|]]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김광협|]]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김무정|]]

[[북한|]][[틀:국기|]][[틀:국기|]] 리청송

[[북한|]][[틀:국기|]][[틀:국기|]] 마상철

[[북한|]][[틀:국기|]][[틀:국기|]] 최인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오진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박성철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이오시프 스탈린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게오르기 말렌코프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마오쩌둥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펑더화이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쑹스룬

[[중국|]][[틀:국기|]][[틀:국기|]] 덩화

[[중국|]][[틀:국기|]][[틀:국기|]] 홍쉐즈
}}}}}}
병력 (최대병력 기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전투 병력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대한민국|]] 602,902명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미국|]] 326,853명

[[영국|]][[틀:국기|]][[틀:국기|]] 56,000명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캐나다 자치령|]] 8,613명

[[튀르키예|]][[틀:국기|]][[틀:국기|
속령
터키
]] 5,455명

[[호주|]][[틀:국기|]][[틀:국기|]] 2,282명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태국|]] 2,274명

[[필리핀|]][[틀:국기|]][[틀:국기|]] 1,496명

[[뉴질랜드|]][[틀:국기|]][[틀:국기|]] 1,389명

[[에티오피아 제국|]][[틀:국기|]][[틀:국기|]] 1,271명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그리스|]] 1,263명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1,185명

[[콜롬비아|]][[틀:국기|]][[틀:국기|]] 1,068명

[[벨기에|]][[틀:국기|]][[틀:국기|]] 900명

[[남아프리카 연방|]][[틀:국기|]][[틀:국기|]] 826명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819명

[[룩셈부르크|]][[틀:국기|]][[틀:국기|]] 52명

의료지원 및 기타

[[인도|]][[틀:국기|]][[틀:국기|]] 346명

[[스웨덴|]][[틀:국기|]][[틀:국기|]] 170명

[[노르웨이|]][[틀:국기|]][[틀:국기|]] 109명

[[덴마크|]][[틀:국기|]][[틀:국기|]] 100명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72명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서독|]] 80명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연합군 점령하 일본|
연합군 점령하 일본
]] 120명(비공식)[28]
}}}}}} 전투 병력

[[북한|]][[틀:국기|]][[틀:국기|]] 266,600+명[29]

[[중국|]][[틀:국기|]][[틀:국기|]] 1,450,000+명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소련|]] 26,000명
[[틀:깃발|
기 명칭
북베트남
]][[틀:깃발|
깃발 명칭
북베트남
]][[베트남 민주 공화국|
베트남 민주 공화국
북베트남
]] 3,000+명(비공식)[30]
경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1950년 6월 25일 폭풍 작전 개시, 전쟁 발발
1950년 9월 15일 인천 상륙 작전
1951년 1월 4일 1.4 후퇴
1953년 7월 27일 정전 협정
}}}}}}
영향
미국소련 주도의 냉전 체제 고착화
남북 분단의 고착과 남북 독립국가 체제 강화
군사분계선(휴전선) 형성[31]
이산가족 발생
한국의 징병제 실시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체결
피해 규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대한민국|]]
137,899명 사망
450,742명 부상
24,495명 실종
8,343명 포로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미국|]]
33,686명 사망
92,134명 부상
3,737명 실종
4,439명 포로


[[영국|]][[틀:국기|]][[틀:국기|]]
1,078명 사망
2,674명 부상
179명 실종
978명 포로


[[튀르키예|]][[틀:국기|]][[틀:국기|]]
966명 사망
1,155명 부상
163명 실종
244명 포로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캐나다 자치령|]]
516명 사망
1,212명 부상
1명 실종
33명 포로


[[호주|]][[틀:국기|]][[틀:국기|]]
340명 사망
1,216명 부상
43명 실종
28명 포로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262명 사망
1,008명 부상
7명 실종
12명 포로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그리스 왕국|]]
192명 사망
543명 부상
3명 포로


[[콜롬비아|]][[틀:국기|]][[틀:국기|]]
213명 사망
448명 부상
28명 실종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120명 사망
645명 부상
3명 실종


[[에티오피아 제국|]][[틀:국기|]][[틀:국기|]]
122명 사망
536명 부상


[[필리핀|]][[틀:국기|]][[틀:국기|]]
112명 사망
299명 부상


[[벨기에|]][[틀:국기|]][[틀:국기|]]
99명 사망
336명 부상
4명 실종
1명 포로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연합군 점령하 일본|
연합군 점령하 일본
]]
1명 사망[32]
1명 실종


[[남아프리카 연방|]][[틀:국기|]][[틀:국기|]]
36명 사망
8명 포로


[[뉴질랜드|]][[틀:국기|]][[틀:국기|]]
23명 사망
79명 부상
1명 실종/포로


[[노르웨이|]][[틀:국기|]][[틀:국기|]]
3명 사망


[[룩셈부르크|]][[틀:국기|]][[틀:국기|]]
2명 사망
13명 부상


[[인도|]][[틀:국기|]][[틀:국기|]]
3명 사망
23명 부상

• 민간인 납북, 월북
• 대한민국 공업 기반의 절반 소실, 30억 달러 또는 국부의 1/4 손실[33]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
[[북한|]][[틀:국기|]][[틀:국기|]]
215,000–406,000명 사망
303,000명 부상
120,000명 실종/포로


[[중국|]][[틀:국기|]][[틀:국기|]]
중국측 자료
197,653명 사망
383,500명 부상
450,000명 이송
25,621명 실종
21,374명 포로
14,190명 망명

미국측 추산
400,000+명 사망
486,000명 부상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소련|]]
299명 사망
항공기 335기 손실

• 군인, 민간인 최소 250만여 명 사망[34]
• 민간인 월남
• 북한 전력의 74%
연료 공업 89%
화학 공업의 70% 소실
}}}}}}

1. 개요2. 서론3. 원인과 배경4. 전개5. 정전 이후6. 전쟁범죄7. 기타8. 관련 자료
8.1. 학계8.2. 군사적 자료8.3. 다큐멘터리
9. 창작물10. 명칭11. 관련 사건12. 어록13. 외부 링크14. 관련 문서1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6·25 전쟁1950년 6월 25일 일요일 새벽 4시에 북한군이 암호명 '폭풍 224'라는 사전 계획에 따라 북위 38도선 전역에 걸쳐 대한민국선전포고 없이 기습 남침하여 발발한 전쟁이자 한반도의 분단이 고착화된 가장 큰 원인이다.

1953년 7월 27일 정전 협정이 체결되기까지 3년 1개월(1129일)간 전투가 이어졌다. 정전 이후 70년이 넘는 세월이 흘렀으나 북한의 핵개발, 북한과 미국 간의 불신 등의 영향으로 한국과 북한 간의 왕래 불가와 적대적 대치 상태는 여전히 풀리지 않고 있어 공식적인 종전은 요원한 상황이다.

자본주의 진영공산주의 진영, 자유주의 진영와 사회주의 진영간의 대리전 양상을 띠기도 하는데 때문에 6·25 전쟁은 전후 냉전의 시작을 대표하는 사건들 중 하나로 평가된다.

2. 서론

6·25 전쟁의 전개
전쟁이 발발하기 5년 전인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의 종전과 함께 일본 제국으로부터 해방을 맞은 한반도는 해방 직후 새로운 초강대국으로 올라선 미국소련에 의해 삼팔선을 기준으로 남과 북으로 분단되었다. 미군과 소련군의 점령이 끝나고 한반도에는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정부가 수립되었다. 북한은 해방 직후부터 소련과 중국을 설득하여 한반도를 적화통일하려는 계획을 수립하며 노골적인 침략 의지를 가지고 있었다.

중국마오쩌둥소련이오시프 스탈린으로부터 협조와 지지를 얻은 북한의 지도자 김일성1950년 6월 25일 새벽 3시 30분 38도선 이남 대한민국으로 선전포고도 없이 남침을 시도하며 전쟁이 시작되었다. 6·25 전쟁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1세계제2세계를 중심으로 대립하게 된 냉전 시기 세계 갈등이 전쟁으로 발전된 대표적 사례로, 미국소련은 물론 유엔, 중국까지 전세계 대부분 국가들이 관여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최대의 전쟁이었다.

공산 정권이 대체로 우세했고 거의 통일도 이룩한 국공내전, 베트남 전쟁과 달리 양측이 한 번씩 승리에 다가섰다가 균등해진 상태에서 정전을 이룬 다소 극적인 전개를 거쳤으며, 1951년 6월 23일 첫 휴전 협상이 시작되었지만, 전쟁 포로 송환 등 여러 가지 갈등이 봉합되지 못하여 전쟁이 계속 이어지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결국 6·25 전쟁 지속에 반대하던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행정부가 들어서고 1953년 7월 27일 22시에 체결된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을 통해 한반도는 군사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대한민국북한 두 국가가 대립하게 되었다.

각각 통일에 실패한 대한민국과 북한은 이후 한반도의 정통 국가로서의 정통성을 걸고 대립하게 되었고, 이는 국가 운영과 국민 여론 및 의식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대한민국 헌법상 대한민국은 이 전쟁의 결과로 남북이 아직도 갈라져 있는 상태이다. 일제강점기에 이어 연속된 한국의 암흑기를 연 사건인 이 전쟁은 오늘날까지 한국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전쟁으로 굳어진 각 체제(體制, Régime)와 상호간 대치 상태는 정전 70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유지되고 있다.

6·25 전쟁의 평화협정(종전 및 강화 조약)은 아직 체결되지 않았으며, 남과 북의 군사·적대적 대치 상태는 여전하기에 따라서 명목상으로는 아직 끝나지 않은 전쟁이지만, 현재 남북 양측의 국민들에게는 전쟁 중이라는 인식은 드물다. 법적으로 볼 때 대법원의 판례는 지금이 '전시'인지 '평시'인지 명확하게 입장을 내린 적이 없으며 사안에 따라서 다르게 해석하고 있다. 국회 또한 그러한데, 전쟁 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과 남북 관계의 협력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이 동시에 존재하고 있다.

3. 원인과 배경

The attack upon Korea makes it plain beyond all doubt that communism has passed beyond the use of subversion to conquer independent nations and will now use armed invasion and war. It has defied the orders of the Security Council of the United Nations issued to preserve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I know that all members of the United Nations will consider carefully the consequences of this latest aggression in Korea in defiance of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A return to the rule of force in international affairs would have far-reaching effects. The United States will continue to uphold the rule of law.
대한민국에 대한 이러한 공격(북한의 공격)은 공산주의가 독립 국가를 정복하기 위해 체제 전복이라는 수단을 넘어 이제는 무장침략과 전쟁을 사용할 것을 의심할 여지없이 명백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이들은 국제평화와 안보를 지키기 위한 UN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 또한 무시하였습니다.
(중략)
저는 UN에 소속된 모든 국가들이 유엔헌장을 무시한 채 한국에 대한 침략의 결과에 대해서 신중하게 고려할 것이라 봅니다. 국제관계에서 힘에 의한 통치로의 복귀는 많은 분야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미국은 계속해서 법치를 지킬 것입니다.
해리 S. 트루먼. 1950년 6월 27일 연설문 #
6·25 전쟁은 중소 양국의 흉도와 사주밑에 북괴의 기습침략으로 발발된 민족공통의 참화이며 수난이었다.
6·25 전쟁사1:북괴의 남침과 서전기, 국방부, 1977년, p.17 #
이 전쟁은 북한의 남침에 의한 남북한간의 민족전쟁의 성격과 소련의 세계 공산화 전략의 성격을 지닌 전쟁이었으며, 비록 전장이 한반도에 국한되었지만 남침 이후 20개국의 전투부대가 참전함으로써 양대 진영간의 국제전적인 성격을 띤 전쟁이었습니다.
6·25 전쟁사 1권, p.5 #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김일성을 비롯한 공산주의 세력의 한반도 적화통일 기도이다.

1948년 8월과 9월 남북 각자의 정부가 들어서고 38선에서 쌍방의 작은 교전이 여러 번 있었다. 그 와중 북한은 아주 본격적인 전쟁 준비에 몰입하였다. 북한 정부 수립 이후 김일성은 스탈린에게 전쟁을 일으키자는 요청을 71번이나 했으나 모두 스탈린이 묵살했다. 그러다 1949년 10월 중국에서 국공내전이 중국공산당의 승리로 끝나고 아래 설명할 에치슨 라인 선언 이후 스탈린은 김일성에게 남침을 허용했다.[35]

미국은 유엔에서 1948년 3월 31일 이전에 유엔 감시 아래 총선거를 실시하고 유엔임시위원단이 선거 및 정부수립을 감독하며, 통일정부가 수립되면 모든 외국군을 철수시킨다는 계획을 제안했다. 그러나 1947년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급속한 감군과 국방예산의 감축으로 인하여 지상병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1947년 5월부터 주한미군 철수를 거론했고, 1948년 4월 8일 미국 국무부하지 중장에게 동년말까지 주한미군을 철수시킬 수 있도록 한국측과 제반 협정을 체결하도록 지시를 내렸다. 그리하여 정부 수립을 앞두고 미 국무부는 1948년 말의 주한미군 철수를 기정사실화하고 한국의 경비대를 무장하고 훈련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주한미군은 예정대로 1948년 9월 15일부터 철수를 시작하여 1949년 6월 30일부로 철수를 완료했다. 즉, 1950년 1월 12일 애치슨 라인 선포는 주한미군 철수 이후 일어난 일이다. 미군이 남한에 재진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김일성과 소련의 판단 하에 1950년 6월 25일 개전을 시작하였다.

일각에선 6·25 전쟁에 대해서 해주진공설을 기반으로 남한의 북침설과 한국과 미국이 북한의 남침을 유도했다는 남침유도설이 있으나, 이러한 유도설은 오래전에 이미 논파되었다. 한국에서는 90년대에 갑자기 이런 북침설이나 남침유도설이 인기를 끌었는데, 이는 당시 국내에서 한국전쟁에 대해 김일성 및 공산권의 야욕에 의한 기습남침으로만 규정되어 있었다가 1987년 이후 본격적으로 재조사가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재조사 중에 여러 서적들이 국내로 들어왔는데, 이 중 브루스 커밍스의 6·25 전쟁의 기원 등에 남침유도설 등이 서술되어 당시 NLPDR 등의 운동권에 의해 적극적으로 보급되기도 했다. 그러나 현재 남침유도설은 수많은 반박자료에 의해서 논파되었다.

2010년 이후 국지전 연구가 진전됨에 따라 6·25 전쟁을 외적 기원(김일성 또는 스탈린의 기획)과 내적 기원(내전의 확대)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쳐 발생한 것으로 보는 복합 기원설에 국제적으로 힘이 실리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6·25 전쟁에 대한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36]에서 6·25 전쟁에 대한 명확한 원인과 기원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주장이 대립하고 있으며, 주류 역사학계의 정설은 존재하지 않는다.[37]

소련은 직접적으로 군사력을 투입하지는 않았지만 만주의 북한 비행학교에서 소련 전문가들이 조종사 양성에 참여했었으며, 북한의 기초적인 군사교육을 담당했다.6.25 전쟁사. p.544 심지어 일부 파일럿들을 중공군으로 위장시켜 투입까지 하였다. 이 파일럿들의 통신이 감청되기도 했지만 소련이 개입하게 되었다는 사실을 인정하게 될 경우 제3차 세계대전으로 확산될 것을 우려한 미군과 UN군에서는 이를 일부러 모른 척했다. 6·25 전쟁이 무조건 한반도 내의 국지전으로 이루어져야만 한다는 생각을 가진 당시 미국 대통령 트루먼 입장에서는 자꾸 전쟁을 키우려고 하는 맥아더가 굉장히 위험한 인물로 인식되었다. 당시 맥아더는 중국에 원자폭탄을 투하하고 장제스와 함께 중국 해안에 상륙하자는 작전을 구상했다고 한다.

결국 트루먼에 의해 해임된 맥아더는 일단 전쟁 영웅으로 미국에 귀국하지만, 이후 미 의회 상원위원회 청문 과정에서 그 진실이 드러나 명예가 실추됐다. 한편 6·25 전쟁이 제3차 세계 대전으로 확전되면 안 된다고 봤던 사람은 트루먼뿐만이 아니었다. 세간에 공개된 스탈린의 서필에 의하면, 스탈린 역시 6·25 전쟁이 제3차 세계 대전으로 확전될까봐 노심초사했다. 당시 제2차 세계대전이 종전한 지 5년도 채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양측 모두 확전의 두려움에 자기들 나름대로 어느 정도의 전쟁 억제력을 확보해 전쟁이 커지는 것을 막은 것이다.

4. 전개

4.1. 전쟁 발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6.25 전쟁/전쟁 발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전쟁의 전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6.25 전쟁/전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6.25 전쟁의 전투 및 작전 목록 파일:북한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536349> 1
9
5
0
북한군의 남침
<colbgcolor=#777,#222><colcolor=#FFF> 6월 폭풍 작전
· 옹진반도 전투
· 개성-문산 전투
· 고랑포 전투
· 봉일천 전투
· 김포반도 전투
· 옥계 전투
· 강릉 전투
· 춘천-홍천 전투
· 대한해협 해전
· 동두천 전투
· 포천 전투
· 의정부 전투
· 내촌-태릉 전투
· 수원 비행장 전투
· 한강 인도교 폭파 · 한강 방어선 전투
7월 주문진항 해전
· 동락리 전투
· 오산 전투
· 갈곶리 전투
· 평택 전투
· 진천 전투
· 천안 전투
· 전의-조치원 전투
· 청주 전투
· 금강 방어선 전투(공주-대평리 전투)
· 장항-군산-이리 전투
· 대전 전투
· 화령장 전투
8월 청송 전투
· 낙동강 방어선 전투
(안동·의성전투
· 마산 전투
·다부동 전투
· 창녕·영산전투
· 안강·기계 ~ 영천·신녕 전투
· 포항 전투
· 포항 철수작전
· 통영 상륙 작전
)
유엔군의 반격
9월 장사 상륙 작전
· 인천 상륙 작전
· 9.28 서울 수복
10월 평양 탈환작전
· 초산 전투
중공군 개입
10월 중공군 1차 공세(10/25)
11월 개천-비호산 전투
· 중공군 2차 공세(11/25)
· 청천강 전투
· 장진호 전투
12월 평양 철수
· 흥남 철수작전
· 중공군 3차 공세(12/31)
1
9
5
1
1월 1.4 후퇴
· 평양 대공습
· 울프하운드 작전
· 유엔군 1차 반격(1/25)
· 선더볼트 작전
· 원산 포위전
· 금양장리 전투
· 라운드업 작전
2월 중공군 4차 공세(2/11)
· 횡성 전투
· 지평리 전투
· 유엔군 2차 반격(2/20)
· 전략도서 확보 작전
· 원산 포위전
· 킬러 작전
3월 리퍼 작전(3.14 서울 재수복)
· 커리지어스 작전
· 토마호크 작전
4월 러기드 작전
· 중공군 5차 공세(4/22)
· 매봉·한석산 전투
· 사창리 전투
· 설마리 전투
· 파평산 전투
· 가평 전투
5월 설악산 전투
· 중공군 6차 공세(5/16)
· 현리 전투
· 용문산 전투
· 한계 전투
· 유엔군 3차 반격(5/23)
전선 교착
6·7월 도솔산 전투
· 평양 대공습
8월 피의 능선 전투
· 펀치볼 전투
9·10월 가칠봉 전투
· 단장의 능선 전투
· 백석산 전투
· 코만도 작전
11·12월 크리스마스 고지 전투
1
9
5
2
1월 승호리 철교 폭파작전
3월 장단-사천강 전투
7월 수도고지-지형능선 전투
351고지 전투
9월 백마고지 전투
· 1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저격능선 전투
1
9
5
3
3월 폭찹힐 전투
5월 M-1고지 전투
6월 351고지 전투
· 2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949-973-883고지 전투
7월 중공군 7차 공세(7/13)
· 금성 전투
· 백암산 전투
· 425고지-406고지 전투
첨자 : 공산군의 승리 / 첨자 : 한국군•유엔군의 승리
※ 월표기: 전투 개시일 기준, 실제 교전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4.3. 미군의 참전과 역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6.25 전쟁/미군 참전과 역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4. 정전 협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정전 협정(6.25 전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정전 이후

5.1. 전쟁의 영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6.25 전쟁/영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전쟁에 대한 인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6.25 전쟁/인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관련 기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6.25 전쟁/관련 기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4. 6.25 전쟁 10대 미스터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6.25 전쟁 10대 미스터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5. 종전 선언 및 협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6.25 전쟁 종전 협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전쟁범죄

6.1. 한국, UN군 및 자유 진영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유엔군\에 대한 내용은 6.25 전쟁 학살/유엔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1. 대한민국

한국 정부와 한국군이 저지른 학살은 보도연맹 학살 사건(경산 코발트광산 학살 사건 등), 형무소 재소자 학살(대전형무소 학살 사건 등), 부역 혐의 학살(고양 금정굴 학살 사건 등)등의 범주로 나뉜다. 보도연맹 학살 사건의 경우 대한민국 국군 및 서북청년단과 같은 극우 단체에 의해 10만~30만 명의 군사분계선 이남 거주 대한민국 국민이 학살당한 사건이다. 한편 거창 양민 학살사건의 경우 민주화 이전 독재 정권 시절부터 공공연한 언급이 가능했던 유일한 학살 사건이며, 이를 제외한 다른 학살 사건의 존재는 4.19 혁명 이후 5.16 군사정변 이전 피학살자유족회가 활동하던 단 1년의 기간을 제외하면 민주화 이전까지는 철저히 금기시되었다. 아울러 학살 외의 전쟁범죄로는 한강 인도교 폭파, 소년병 징집, 국민방위군 사건 등이 있다.

학살을 저지르는 한국군 및 한국 경찰을 유엔군이 저지하여 목숨을 건진 케이스는 있다. 영국군이 서울 홍제리 집단총살 사건 당시 추가적인 학살을 막은 사례 등.

그 외에도 각지에서 민간인 차원의 좌우 갈등이 극에 달하여 학살이 빈번했다. 전라도는 좌우대립이 극심했고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 사실 양반들이 6.25 전쟁으로 망했다는 옛날의 믿음[38]과 달리 전라도 양반들조차 물론 피해를 크게 입은 사람들도 있으나 오히려 자신들을 적대하는 사람들에게 만만치 않은 피해를 입히고도 멀쩡한 사람들도 있다. 다만 그들은 자신들에 대한 혐오를 명확히 인지하고 있었고 그에 대비한 만만치 않은 상대였기 때문에 공격자나 범죄자 혹은 무고한 사람들[39]에 대해 거의 일방적인 학살이 벌어졌다.

지난 세기에는 독재 정권이라서 진상 조사를 제대로 할 수 없었다는 이유와 반공이 국시였던 점으로 인해 북한의 사악함과 국군의 영웅적 희생을 강조하기 위해 냉전이 끝날 때까지 은폐되었지만, 민주화 이후 이러한 부분이 재조명되고 일부는 국가의 공식적 사과 및 보상이 이뤄졌다.

6.1.2. 미국

한반도 전역에서의 미군의 전술, 전략 폭격은 큰 민간인 사상자와 영향을 남겼다. 예를 들면 서울 일대 폭격으로 1950년 6월부터 9월까지 4,280명의 서울 시민이 사망했는데 이는 서울시 사망자의 24.8%다. 이는 서대문구, 중구, 용산 같은 인구 밀집 지역에 폭격을 했기 때문이다. 당시의 서울은 용산과 종로, 중구 정도만 서울이었고 나머지는 다 경기도였기 때문에 서울 전체를 폭격한 것. 민간인에 대한 폭격 문제는 최근 미국의 기밀문서들이 비밀 유지 기한이 풀리면서 당시 폭격기나 전투기 조종사가 쓴 비행 일지가 드러나며 밝혀졌다.

미군은 국군, 북한군, 중국군은 물론이고, 미군 스스로가 저지른 학살까지 미국 국립문서기록보관청(NARA)에 모조리 사진과 자료로 남겼다. 그렇게 남은 미군의 대표적인 학살 사건은 제1기병사단이 했던,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이다. 그 밖에 세균전을 행했다는 의혹이 있으나, 미국 측은 이를 부인하고 있다. 그러나 앞에 인용된 기사를 포함하여, 2010년 미국 국립문서기록보관청(NARA)에서 발견된 미국 측 문서를 통해, 적어도 미군의 세균전 테스트 명령이 있었다는 사실은 확인이 된 상태다.

최근 민간에서 진행된 조사로 미국이 대전형무소 학살 사건에 생각보다 더 깊이 개입했음이 밝혀지고 있다.
진실위는 왜 미국 희생사건에 인색했나. '대한민국'이 완전히 '빨갱이 나라'가 되는 걸 목숨 걸고 막아준 그 고마운 미군에 대해, 절대로 고의로거나 실수로라도 민간인에게 총구를 겨눴을 리 없는 그 미군에 대해 당신들 때문에 수많은 민간인이 죽거나 다쳤다고, 여기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하는 우리 조사관들이 진실화해위원회(진실위) 내외에서 '좌익 반미주의자들'이라는 말을 들은 것은 어쩌면 당연했다.
― 진실위 조사관 백서 준비모임#
정근식 진실화해위 위원장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조사기간이 만료돼도 40~50%밖에 해결 못한다, 자신도 9명의 상임위원 중에 한 명에 불과해 어떤 일을 하겠다고 확실하게 말할 수 없다”고 발언했다. 이에 대해 유족회는 “보수정권으로 바뀌니 변명으로 일관하고 기구의 정체성마저 잃어버려 진실규명을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비판했다. (중략) 부산·대구·대전 형무소 재소자 학살에 미군이 직접 개입했음을 입증하는 문서들도 확인됐다고 유족회는 덧붙였다.
― 민간인피학살자전국유족회, "진실화해위원회 상임위원 전원 사퇴하라"#

6.1.3. 캐나다

6·25 전쟁 당시 캐나다군 또한 양민을 대상으로 학살과 전쟁범죄를 저지른 적이 있다. 아래의 기사는 캐나다 빅토리아 대학교 존 프라이스 교수가 밝혀낸 자료다. 한국전 때 '캐나다군 범죄' 캐는 프라이스 교수

6.2. 북한, 중국 및 공산 진영

※ 공산군과 좌익이 저지른 학살 행위는 6.25 전쟁 학살/인민군과 좌익 문서 참조.

6.2.1. 북한

6·25 전쟁 당시 호남 지역의 학살 피해자는 8만 4,003명으로, 대한민국 전체 학살 피해자 12만 8,936명의 65%에 이른다. 이는 극심한 좌우대립의 결과로서, 이 지역에 내재해있던 지주-소작농 갈등 구조가 자리잡고 있다.
― 「대한민국 통계연감(1953년)」 내무부 통계국
파일:119558_55436_17.jpg

소위 인민재판으로 알려져 있는 행위가 가장 유명하다. 각 점령지역의 주민을 학교 운동장이나 마을 입구등으로 소집해 모아놓고 자신들이 체포하거나 납치한 인물들을 형식적 재판 이후[40] 공개적으로 처형했다. 이때 처형당한 인물들은 기업인, 교육자 정치인, 대한민국 군경 및 공무원 가족 등 북한과 좌익세력에 의해 반동으로 낙인찍힌 사람들이었다.

이외에도 서울의대 부속병원 학살 사건, 서천등기소 학살 사건, 대전형무소 학살 사건, 전주형무소 학살 사건, 함흥시 학살 사건 등 인민재판이라는 형식적 절차조차도 없이 자행한 학살들도 빈번했다.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에 따르면 '한국전쟁 전후 기독교 탄압과 학살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당시 인민군에 의해 개신교인 1,026명, 천주교인 119명이 희생되었다고 발표했다.#

또한 안재홍, 김규식, 조소앙, 정지용, 손진태, 박열, 정인보, 백인제, 이광수, 방응모 등 유명 인사들을 납북하였다. 납북자의 88.2% (84,659명)가 6·25 전쟁 발발 이후 3개월(1950년 7월~9월) 동안에 납북되었으며, 그중 80.3% (77,056명)가 자택이나 자택 인근에서 납치되었다. 납북된 한국 인사 중에는 법조인이 190명, 교수 및 교원이 863명, 언론인이 226명이었다.[41] 또한 이러한 납치의 기획은 전쟁 중에뿐만 아니라 전쟁을 기획하는 단계에서 생산된 북한 당국의 문서에서도 확인이 된다.[42]한국전쟁 납북사건 자료원

그 외에 한국군, 유엔군 포로에 대한 처우가 매우 처참했다. 전방에서 사로잡힌 포로들은 2~4주씩 걸어서 가깝게는 평안북도 멀리는 중국 만주지역의 포로수용소로 이송되었고 이때 부상을 입은 포로의 경우 들것 수송이 금지되어 걷지 못하면 길에 버려져 죽거나 사살당하는 일이 있었다. 포로들에 대한 배급 역시 열악하여 말린 채소 소량 혹은 부패한 생선 따위가 배급되었고, 이마저도 이송시에는 제공되지 않았다는 증언이 있다. 정전 이후 북한에 억류된 국군포로들은 적대계층으로 차별받으며 중노동에 시달렸다.

<한국전쟁의 기원>으로 유명한 역사학자 브루스 커밍스는 1990년대 북한 지도부에게는 최소 60만 명이 기근으로 사망한 책임과 1970년대 중반 이래 최소 10만 이상이 수용된 정치범 수용소나 강제노동 수용소의 인권 유린 및 일부 공개 처형 등은 비판을 피할 수 없고, 6·25 전쟁 당시 김일성조차도 한국과 협력했다고 의심받은 자들을 겨냥한 정치적 보복이 과도했다고 비난했지만, 북한이 자신의 적을 그렇게 많이 죽였다는 증거는 없다고 역설했다. 예를 들면 해방 이후 토지개혁 과정의 잔인성은 소련이나 중국, 북베트남보다 훨씬 덜했고, 지도부는 지주들이 남쪽으로 피신하게 내버려두거나 농지를 경작하기를 원하는 경우 고향이 아닌 다른 지방으로 이주시켰다. 북한이 한국의 공무원, 경찰, 우익 청년단체 지도자 그리고 미국에 고용되었던 사람들을 처형했다는 보고는 전쟁 초기부터 있었지만, 초기의 처형은 대개 감옥에서 풀려난 좌익들의 한 풀이에서 비롯됐으며, 처형된 이들 대부분은 과거 북한에서 달아난 식민지 경찰, 서북청년단에 가입한 북한 지주의 아들, 한국 지주와 자본가의 아들, 식민지 정부에서 비교적 높은 직책에 있었던 자들이 많이 들어가 있었다고 주장한다. 즉 일부 학살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사람을 가려가며 처형했다는 것이 브루스 커밍스의 주장이다.[43]

저런 주장은 남침 유도설 같은 과도한 북한을 감싸는 행위라고 논란을 빚기도 했다. 심지어 북한에서조차 김일성종합대학에 따르면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께서 밝히신 토지개혁에 관한 사상의 독창성'이라는 논문에서 "유럽사회주의나라들을 비롯한 일부 나라들에서는 토지몰수규모를 바로정하지 못하고 일부는 유상몰수를 한 것으로 하여 토지개혁의 철저성을 보장하지 못하였다."라고 주장하기도 하였으며, 단순 지주뿐만 아니라 대농까지 숙청시켰다고 스스로 인정한다. 김일성 항일 운동을 인정하는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도 자신이 월남하는 것을 막았다고 주장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도 김대중/일생 문서에서 보듯 6·25 전까지는 공산당이 그렇께까지 잔혹한 줄은 몰랐으나 스스로 "남한 사람들이 공산당을 알고 정말 반공의식을 갖게 된 것은 6·25 동란 때문입니다. 6·25 때에 공산당이 인민재판을 하고 숙청을 하고 또 농촌에 가서는 감 한 개까지 옥수수 한 개까지 세고 벼이삭까지 세서 세금받아 낼 준비를 하고 있고, 게다가 길거리 좌판에 담배 몇 갑 놓고 파는 사람들한테까지 매일 세금을 걷어가는 짓을 했습니다. 나중에 쫓겨서 북으로 올라갈 땐 대량학살까지 했습니다. 반대파에 대한 숙청은 이쪽도 마찬가지였습니다만 그 정도가 북쪽이 훨씬 더 심했습니다."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소련[44], 중국[45], 북베트남은 최소 유상몰수를 추진한 적이 있거나 반발이 있으면 그 조치를 무르기도 했으나[46], 북한은 사람들 사이에 근로단체 등을 통해 간첩을 심거나 농촌자위대 등을 만들어서 반발을 아예 사전적으로 차단시켰다.

2024년 8월 진실화해위는 호남 지역에서의 학살 사례를 추가적으로 규명해 발표했다. 먼저 전남 영광군 지역에서 인민군 퇴각기였던 1950년 9월~1951년 1월에 그 일대를 장악한 빨치산과 지방좌익이 기독교인 124명을 살해했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기독교인, 지역 유지이거나 그 일가족이라는 이유로 학살됐으며, 우리 국군 입성 환영대회에 참석했다는 이유로 학살되기도 했다. 65명은 남성, 59명은 여성, 게다가 19세 미만의 희생자는 70명이었다. 또한 전북 지역에서도 군인, 경찰, 마을 이장 등을 지냈거나 군경에 협조했다는 이유로 학살된 피해자들을 추가로 밝혀냈다. 당시 빨치산과 지방 좌익 세력은 이들을 강제 연행해 구타해 죽이거나 인민재판을 거쳐 현장에서 총살한 것으로 조사됐다.#

6.2.2. 중국

삼대기율 팔항주의를 들먹이며 중국인민해방군은 범죄가 없는 깨끗한 군대였다고 알려지기도 했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중공군에 비해 북한군이 더욱 악랄했기 때문에[47] 상대적으로 비교되어서 중공군이 그나마 좀 나았다는 식의 증언이 많이 남아 있는 것이기도 하고, 한편 중국 지휘관들이 아군도 자주 처벌[48]해서 나온 이야기에 가깝다.[49] 중국군도 식량을 배급하지 않고 행군을 시키거나, 낄낄 웃으며 포로들을 쏴 죽이거나, 채찍 등으로 구타, 부상당한 포로들을 산 채로 불태우는 등 각종 전쟁범죄를 저질렀다. 이하는 전부 중국군에게 포로로 잡혔던 유엔군 장병들이 증언한 내용이다.

'6·25전쟁'으로 부르는 대한민국과 달리 중국은 미국에 대항해 북한('조'선)을 지원했다는 뜻의 '항미원조 전쟁'이라고 부른다.중국의 6.25 전쟁 시각
수용소에 있던 포로 일부는 손이 뒤로 묶인 채 살해되었고, 부상당한 포로들은 수류탄 혹은 몸에 기름을 부어 불을 붙여 태워 죽였다.
중국군에게 잡힌 유엔군 포로 중 건강하거나 걸을 수 있는 상태의 부상자들은 수용소까지 걸어갔고, 심각한 부상을 입은 자들은 그 자리에 버려두고 가거나 총살시켰다. 포로들이 죽은 이유는 대부분 위생 관리 부재, 식량 부족, 이질, 폐렴 등이었다. 중국군들은 소량의 식량을 주거나 아예 주지 않았고, 배급된 식량 또한 영양가가 없었다.
또 중국군은 포로들을 자그마한 철장에 가두고 살을 에는 추위에 맨발로 서 있게 하거나 찬물에 몸을 담갔다 빼게 하곤 했다. 적군은 포로들을 두들겨 패고 물로 가득한 구덩이에 한동안 집어넣기도 했다.
죽음의 수용소들 중 한 곳은 '동굴'이라는 이름의 수용소였다. 이곳에 보내진 포로들은 담요도 없고, 화장실 시설도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생활했다. 벨리 아타소이 병장은 이러한 포로 수용소들 중 한 곳인 450m짜리 터널에서 며칠을 지냈는지 모르며, 이틀에 한 번 주 모래 섞인 보리밥을 먹으며 목숨을 부지했다고 한다.
'터키인이 본 6·25전쟁' 지음: 알리 데니즐리, 옮김: 이선미, 감수 이난아
중국군은 부상당한 나를 다른 포로들과 함께 차에 태우고 새끼줄로 묶었다. 차는 여차하면 전복될 것만 같았다. 자동차 바퀴는 울퉁불퉁한 돌길 위를 지나갔다. 부상자들 중 자동차에서 떨어지는 사람도 있었다. 떨어진 사람은 다시 차에 태우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도리어 총을 쏴 죽여 버렸다. 중국군들은 이런 광경을 보고 낄낄거리며 웃었다. 내 옆에 앉아 있던 흑인 미군 1명이 떨어졌다. 그는 밧줄을 붙잡고 차 뒤에 질질 끌려오다가 힘이 빠지자 그 줄을 놓았다. 중국군 중 1명이 그의 머리에 총을 쏘았다. 그러다 중국군 1명이 내게도 총을 발사했다. 총알이 내 머리카락 사이에서 머리에 닿을 듯 지나갔다.
터키군 무자페르 쉔부르치 하사의 증언
장진호 전투 제3일째인 11월 30일 저녁까지 사망자는 수백 명에 이르렀으나 땅은 얼어 붙어서 파지지 않았다. 시체들은 잘라 놓은 목재처럼 3겹, 4겹으로 쌓아 올려졌다. 12월 1일 오후 1시를 기해 포위 돌파전은 오후 늦도록 일대 도살극을 연출했다. 이날 오후 늦게 대열이 유린되자 중국군은 부상병들이 실려 있는 트럭으로 기어 올라가서 무력하게 누워 있는 아군 부상병들을 쏘고, 찌르고 했다. 또 어떤 차에 휘발유를 끼얹어 부상병들을 산 채로 불태우기도 했다. 대열을 벗어나 도망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그것은 명백하고 완전한 살인이었다. 나는 열두 평생을 살아도 다 하지 못할 너무도 많은 아픔과 피, 죽은 자와 다친 자들을 보았다.
미 육군 7사단 제임스 블롬 하사의 증언

7. 기타

8. 관련 자료

8.1. 학계

8.2. 군사적 자료

지난 60년간 세계 각국에서 발간된 엄청나게 많은 자료가 존재한다. 아마존에서 'Korean War'로 검색하면 5,263종의 책이 검색된다. 절반 이상이 참전 용사들의 수기이다.

한반도에서 일어난 전쟁이다 보니, 한국어로 된 책자도 그 양이 어마어마한 수준이다. 그러나 수준이 제각각 천차만별이라 기본 텍스트는 대한민국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공식 간행물부터 보는 것이 가장 무난하다. 초등학생용부터 중고등학생용, 일반인용, 전문가용 각종 버전의 자료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세금이 아깝지 않은 훌륭한 사례 중 하나다. 물론 책으로 소장하려면 구입도 가능하다. 오프라인상으로는 서울 용산구에 있는 전쟁기념관 내부 1층 우측의 카페에 책꽂이에 판매 도서용이라 해서 진열되어 팔고 있다. 재고가 있다면 1권당 거의 2만 원대 돈으로 살 수야 있겠지만, 상업용 서적(?)이 아닌 비매품에 가까운 책이라 상설 재고 여부는 불투명하다. 군에서 발간한 전문 학술 자료인 만큼 흥미 위주의 민간 서적에 비해 훨씬 자세하게 전쟁 기간 동안 군사적, 전술적 상황에 많은 비중을 할애했다. 두드러진 점은 어느 전투, 전역, 작전이 있으면 세부 내용과 특정 전장의 지리 환경, 투입 부대, 전투 서열과 각 제대 지휘관 성명, 전술 지도(?)로 당시 상황 구현과 일자별 각 제대,부대의 전투 기록 명시가 있다.

그 다음은 미 육군 당국의 공간사(Official History)를 읽어 보는 게 좋다. 영문판은 미 육군 전사감실 홈피에서 무료로 구독할 수 있다. 국문판은 국립중앙도서관 홈피에서 무료로 원문 보기를 할 수 있다.
<정책과 지도> 제임스 F. 슈나벨, 온창일 옮김, 육군본부, 1974. (James F. Schnabel, Policy and Direction: The First Year, OCMH, 1972.)
<낙동강에서 압록강까지> 로이 E. 애플먼, 육군본부, 1984. (Roy E. Appleman,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 OCMH, 1961.)
<밀물과 썰물> 빌리 C. 모스맨, 대륙연구소출판부, 1995. (Billy C. Mossman, Ebb and Flow, November 1950-July 1951, OCMH, 1990.)
<휴전천막과 싸우는 전선> 월터 G, 허메스, 육군본부, 1968. (Walter G. Hermes, Truce Tent and Fighting Front, OCMH, 1966.)

* 휴전천막과 싸우는 전선의 경우에는 국문판을 국립중앙도서관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원문보기 할 수 없는 상태이다. 그리고 현재 존재하는 미 육군 당국의 공간사 국판들의 경우, 원본에 비해 생략, 오역된 내용들이 존재하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퓰리처상을 수상한 저명한 저널리스트 데이비드 핼버스탬(David Halberstam)저《콜디스트 윈터: 한국전쟁의 감추어진 역사》(The Coldest Winter)는 꼭 읽어보도록 하자.[70] 한국전을 둘러싼 열강들의 정치 싸움과 맥아더의 삽질을 잘 알게 될 것이다. 단, 미국인이 지은 책인 만큼 한국의 시각과 한국군에 대한 내용은 전무하다시피 하니 이 점은 참고하도록 하자.

기밀문서의 보호기간이 만료되어 공개된 사례로는 <한국전쟁에서 싸운 일본인> 후지와라 가즈키, 박용준 옮김, 소명출판 , 2023. (朝鮮戦争を戦った日本人, NHK出版, 2020))가 있다. NHK의 다큐멘터리를 바탕으로 출판된 도서로, 한국전쟁 시기 비밀리에 참전한 일본인 70명 및 그 유가족에 관한 기록이다. 이들은 미군과 동행하면서 실탄을 지급받아 직접 북한군 및 중국군과 교전하기까지 했다. 그러나 이후 미군 당국은 오히려 일본인 요원들을 엄중히 심문했으며, 이들의 존재 및 활동을 극비에 부치는 등 사실을 은폐했다. 그 과정에서 1,033쪽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의 일급비밀(TOP SECRET) 문서가 작성되었는데, 기밀에서 해제된 후 일본계 호주인 교수가 최근에 그 존재를 파악하였다. 해당 교수와 접촉한 NHK 보도국의 후지와라 가즈키(藤原和樹)는 이 문서를 바탕으로 생존한 일본인 요원 또는 유가족들을 취재한 내용이다.개요

8.3. 다큐멘터리


위 다큐멘터리를 토대로 출간된 단행본은 <朝鮮戦争を戦った日本人>(NHK出版, 2020)이 있으며, 최근에 <한국전쟁에서 싸운 일본인>(후지와라 가즈키, 박용준 번역, 소명출판, 2023)으로 정식 출간되었다.

9. 창작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6.25 전쟁/창작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명칭

일반적으로 전쟁은 전쟁의 주체, 전투는 발생한 장소를 그 명칭으로 쓴다. 반면 이 전쟁은 (대한민국 기준으로는) 발발한 날짜가 전쟁의 이름으로 쓰이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 및 한국사 교과서에서는 공식적으로 6·25 전쟁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며, 민간에서도 관습적으로 날짜-사건을 조합해 6·25 전쟁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한국방송공사에서는 공식적으로 한국전쟁으로 표기하고 있다.[76] 6·25 전쟁, 한국전쟁 외에는 6·25 사변, 6·25 동란, 한국동란, 인공난·인공난리[77], 김일성의 난(...) 등이 있는데 요즘에는 잘 쓰이지는 않는다.

북한에서는 조국 해방 전쟁 이라고 부르고 있는데 정전협정 체결일인 7.27을 조국해방전쟁 승리 기념일(전승절)이라고 포장하여 매년 열병식 등의 행사를 주최하여 기념하고 있다. 당시 북한에서는 남측을 미국의 괴뢰정권, 미국의 하수인이 지배하는 악의 소굴, 미군정의 지배하에 놓여있는 침략당한 영토라는 기준으로 보았기 때문에 남쪽에 잔존하는 미제국주의를 몰아내고 조국의 남반부를 해방시키자는 의미에서 해방전쟁이라고 부른다. 좀 덜 공격적인 표현으로는 '한국전쟁'에 해당하는 '조선전쟁'이 있으며, 북한에서도 다소 낮은 빈도로 '6.25전쟁'이라고도 쓴다.

영어로는 The Korean War라고 부른다. Korean War라는 이름은 제1세계 진영에서 전쟁을 주도한 유엔군사령부에서 붙인 것이다. 한국에서는 이를 '한국전쟁'으로 번역하는 경향이 있다. 주로 서양권 매체의 번역본에서 번역체로 쓰인다.

한편 중국에서는 조선전쟁 혹은 미국에 대항해 조선(북한)을 지원한 전쟁이라는 의미의 항미원조전쟁(抗美援朝战争)이라고 부른다. 중국에서 임진왜란을 부르는 표현은 보통 '만력조선지역'(萬曆朝鮮之役)이지만, '항왜원조전쟁(抗倭援朝战争)이라고도 한다. 이는 왜적에 대항해 (명나라가) 조선을 지원한 전쟁이라는 의미로 6·25를 의미하는 항미원조와 대상만 다르다.[78] 중국 측이 6·25전쟁을 어떤 식으로 바라보는지를 엿볼 수 있다. 그러나 중국에서도 전쟁을 중립적으로 바라보고자 할 때에는 조선전쟁(朝鲜战争)이라 칭한다.

일본에서는 조선전쟁(朝鮮戦争), 조선동란(朝鮮動乱) 이라고 부른다. 일본에서는 한국(韓国)을 한반도 남반부의 대한민국에 한정된 의미로 보고 조선(朝鮮)을 서양의 Korea에 해당하는 '한반도' 혹은 '한민족'을 일컫는 말로 쓰기 때문에 '조선전쟁'이라는 용어를 쓴다. 일본TV에서 종종 아리랑 등 한국문화 공연을 하는 영상이 나올때, "조선민요 아리랑"이라고 안내 자막을 넣는다. 현대 한류문화가 아닌 전통 한반도문화를 말할 때 일본 방송과 신문은 한국문화란 표현 대신 "조선문화"라는 표현을 쓴다.[79]

대만 정부는 공식적으로 한전(韓戰)이라고 부른다. 대만에서는 베트남 전쟁도 월전(越戰)으로 부르고 있다. 다만 대만에서도 지명으로서는 조선(朝鮮)이 더 익숙하다. 대만의 아버지 장제스카이로 회담 때 카이로 선언문에 "조선의 독립"이라는 어휘를 반드시 넣으라고 요구하며, 이를 반대하던 윈스턴 처칠[80]과 갈등을 빚은 적도 있을만큼, "조선"이라는 표현을 좋아하고 존중했다. UN상임이사국 시절에도 UN회의에서 한반도를 조선이라 칭한 적이 많다. 국부인 총통이 조선이라는 호칭을 좋아하니 대만 국민들도 그럴 수밖에 없었다. 장제스는 결국 처칠을 설득하는 데 성공하여 실제 카이로 선언문 원본(중국어 버전)에 "決定在相當時期使朝鮮自由與獨立"[81]이라고 명백하게 "조선" 및 "독립"이라고 적어놨다.[82] 민간에서는 조선전쟁(朝鮮戰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1952년 공보처에서 발간한 정부 간행물 "6·25 사변 피살자 명부"와 1952년 국방부에서 간행된 정부 간행물 "한국전란지"로 표현되기도 했다. 행정 관서에서는 주로 '6·25'로 표기했다. 1973년 대한민국 정부에서 제정한 각종 기념일에 관한 규정에서도 6·25 사변일(六二五事變日)이 등장하고, 2014년 3월 24일에는 6·25 전쟁일로 개정되었다. 반면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한국전쟁이 등재되어 있다. 민간에서는 전쟁이 발발한 날짜를 근거로 6·25 라고도 불리고 있으며, 6·25사변 또는 6·25 동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6·25 전쟁이란 말은 한국, 드물게 북한에서만 사용하는 단어로 한국인의 인식을 반영하나 국제적으로 6월 25일이 들어간 단어는 통용되지는 않는다. 한편 국제적으로 (영어권에서) 통용되는 Korean War라는 명칭은 객관성 중립성을 보여준다고는 하나, 그 번역어인 '한국전쟁'은 엄밀하게 말해 중립적이지는 않다. 전쟁의 한쪽 주체인 북한에서 스스로를 '한국'이 아니라 '조선'이라고 하기 때문이다.

한국학계에서는 학자들의 입장에 따라서 대체로 6·25 전쟁 또는 한국전쟁으로 쓰인다. 김동춘 성공회대학교 교수는 "'6·25'라는 명칭을 통해 우리가 얻을 교훈은 북한의 '적화 야욕'을 경계하고 국가 안보를 튼튼히 하자는 결론밖에 나오지 않는다… 우리는 이제 이런 단세포적인 역사인식에서 벗어나야 한다."라는 주장을 남겼다. 박명림 연세대학교 대학원 지역학협동과정 교수는 "6·25라는 용어는 사건 발생일을 기준 삼아 단일의제로 역사를 이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냉전시대 절대적 사유체계로서의 6·25 담론을 극복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김명섭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2009년에 『한국정치외교사논총』에 발표한 논문에서, The Korean War를 “한국전쟁”이라고 하는 것은 '조선'과 '한국'이 가지는 역사적, 개념적 차이를 간과한 것으로 기계적인 번역이라는 점을 지적하였다. 통일이후 '조선'이나 '한국'을 대신할 새로운 국호가 등장하거나 혹은 한국이라는 국호가 계속 사용될 것을 가정한다면, 그 때도 '한국전쟁'이라는 역사적 명명이 적당하다고 볼 수 있느냐고 문제제기 하였다. 또한 7월전쟁, 8월전쟁, 겨울전쟁 등과 같은 다른 나라의 전쟁명명의 사례에서 보이듯이 사건발발 날짜를 기준으로 명명하는 것은 오히려 자국 민중의 경험이 온축되어 있는 동시에 가장 객관적인 것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한국전쟁이란 용어를 사용할 경우 '한국전쟁'은 '남한전쟁', '한국이 일으킨 전쟁' 같이 전쟁 발발 주체가 모호해지거나 전도될 우려가 있다면서 6·25전쟁이라 부르는 게 옳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김 교수는 6·25가 당시 미소 냉전체제 하에서 국제전의 성격을 띤 점을 감안하면 이 전쟁의 영문 표기는 'The 6·25 War in Korea 1950-53' 혹은 'The Communist War in Korea 1950-53'로 번역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 #2

참여정부에서 국가정보원 기획조정실장을 지낸 바 있는 서동만 상지대학교 교수 역시도 “한국전쟁은 분명히 잘못된 명칭이기 때문에 더 이상 쓰지않는 것이 옳다”고 주장했다. “한국은 대한민국의 약칭이기 때문에, 한반도 전체를 무대로 남북이 모두 당사자인 이 전쟁의 성격을 제대로 설명할 수 없다”고 하였다. “전쟁의 무대, 전장을 기준으로 한다면, '한반도 전쟁'이라고 부르는 편이 적절”하지만, “더 적합한 명칭을 찾을 때까지 잠정적인 것으로서 일부 연구자들이 제안한대로 6∙25 전쟁이라는 명칭이 적절하다”고 주장하였다.

국방부에서 발간한 군 공식 간행물을 보면 1952년부터 2004년까지 발간된 서적은 제목이 '한국전쟁'으로 되어 있었지만, 2004년부터 '6·25 전쟁'이 사용되기 시작해 2005년부터는 6·25 전쟁 한 가지만 사용하고 있다.[83] 국방부 지정 공식 용어가 과거에는 한국전쟁이었으나 2004년부터 6·25 전쟁으로 변경된 것으로 보인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 중인 단행 자료를 검색하면 1980년 이전에 발간된 자료 중 제목이 한국전쟁으로 되어 있는 자료는 제목이 6·25로 되어 있는 자료보다 2배가 더 많이 검색되는 것으로 보아 과거에는 출판계나 학계에서도 '한국전쟁'이란 용어가 더 많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84]

한국의 역사에서 벌어진 전쟁이 6·25 전쟁만 있는 게 아닌데 한국전쟁이라고 부르는 것은 혼동이 있을 수 있다는 지적도 있고[85], 6·25가 사건의 성격을 포괄하지 못하는 것이라면 5·18 민주화운동이나 6·10 만세 운동 등도 바꿔야 하느냐는 지적도 있다. 유럽에서도 2월 혁명이나 7월 혁명처럼 사건이 발생한 시기에 근거해 명칭을 부여한 예가 존재하므로 6·25 전쟁이라고 쓰는 것이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역사적 용어는 특정 사건을 어떻게 보는가, 즉 역사관이 반영된 것으로서 날짜 또한 그 기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당시 미국 의회에서는 군사적인 충돌의 의미를 가진 'conflict'라는 단어를 사용해 6·25 전쟁을 지칭했다. 6·25 전쟁이 대규모 국제 전쟁으로 비치면 안 된다고 봤던 트루먼 대통령과 미국 의원들에 의해 'war'라는 단어의 사용이 사실상 금기시되었다. 6·25 전쟁이 World War III가 될 수도 있었기 때문에 대중에게 6·25 전쟁이 '전쟁이지만 전쟁같이 느껴지지 않도록' 이를 축소하여 지칭한 것이었다. 당시엔 'Korean Conflict'라고 불렸다.[86][87] 후에 6·25전쟁이 정치인들의 손에서 역사가들의 손으로 넘겨질 때쯤, 'war'가 학계에서 보편적으로 쓰이기 시작했다.

남한과 북한이 싸웠다고 해서 남북전쟁이라고 할 수도 있고 간혹 그렇게 부르는 사람도 있지만,[88] 이는 1860년대 미국의 내전[89]을 지칭하는 용어로 굳어져 있는 데다, 남북으로 갈라진 (적이 있는) 곳이 한국과 미국만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90] 덜 쓰인다.

11. 관련 사건

12. 어록

"나는 정전이라는 것이 결코 싸움을 적게 하는 것이 아니라 더 많게 하며 고난과 파괴를 더하고 전쟁과 파괴적 행동으로 공산 측이 더욱 전진하여 오게 되는 서곡에 지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하였기 때문에 정전의 조인을 반대하여 왔던 것이다. 그러나 이제 정전이 조인되었음에 나는 정전의 결과에 대한 나의 그동안 판단이 옳지 않았던 것이 되기를 바란다."
- 이승만
"노병은 죽지 않는다. 다만 사라질 뿐이다."
"Old soldiers never die, they just fade away"
- 더글러스 맥아더
"포탄 맞으면 어떻게 되는지 알아요? 조그맣게 갈비 조각이 나요. 사람이 분해돼 버리고 아무것도 없어요. 펑 하고 터지고 나서 가 보면 (손바닥을 반절쯤 붙잡아 보이며) 나무에 창자 조각 요만큼 걸려 있고 살 토막 요만큼 걸려 있고 그래요. 포탄 맞으면 아무것도 없어요… 버린 게 아니라 (시체를) 찾을 수가 있어야 버리죠. (영화 고지전을 보았느냐는 질문에) …그런데 그건 애들 장난이지."
- 김달육 육군 소령(퇴역), 6사단 7연대 2대대 6중대장, 8사단 16연대 1대대 2중대장으로 6.25 전쟁에 참전.
"지금 한국 국민이 전쟁 속에서 고통 당하고 있는데, 이를 먼저 돕지 않고 전쟁이 끝나기를 기다렸다가 평화 시에 한국에 선교사로 간다는 것은 제 양심이 도저히 허락하지 않습니다."
“I cannot in good conscience return to Korea as a Christian missionary in peacetime if I am not first willing to be there to help the Koreans defend their freedom in time of war,”
- 미 해군 윌리엄 해밀턴 쇼(William Hamilton Shaw) 대위,
(미 해병대 제1사단 5연대 본부중대 정보장교로 6.25 전쟁 당시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 녹번리에서 전사)
"모두들 앉아 내 말을 들어라. 그동안 잘 싸워주어 고맙다, 그러나 우리는 여기서 더 후퇴할 장소가 없다. 더 밀리면 곧 망국이다. 우리가 더 갈 곳은 바다밖에 없다. 저 미군을 보라. 미군은 우리를 믿고 싸우고 있는데 우리가 후퇴하다니 무슨 꼴이냐. 대한 남아로서 다시 싸우자. 내가 선두에 서서 돌격하겠다. 내가 후퇴하면 너희들이 나를 쏴라."
- 백선엽[91]
"내가 여기서 죽더라도 끝까지 한국을 지키겠다."
- 월튼 워커
"Stand or die."
고수 혹은 죽음뿐.
- 월튼 워커
"가거라! 살아 돌아올 생각을 하지 말고, 전부 거기에 가서 모두 맹렬하게 싸워서 전사하거라![92] 만약 사지가 멀쩡하게 돌아온다면, 짐의 이름을 걸고 절대로 용서치 않겠다! 너희들의 죽음의 대가로 저들에게 자유라는 것을 저들의 손에 꼭 안겨주거라! 우리 민족이 과거에 이탈리아인들에게 무엇을 당해왔는지는 말하지 않아도 그 고통은 뼛속까지 알고 있을 것이다. 그렇다! 짐도, 너희 모두도 잘 알고 있다. 그걸 알면서 모른 척한다면, 침략자들보다 못한 더러운 위선자일 뿐이다."
- 하일레 셀라시에[93]
"한국은 걱정마세요. 한국은 걱정마세요. 여기 영웅들이 모인 군대가 가고 있습니다."
"ስለ ኮሪያ አትጨነቅ... ስለ ኮሪያ አትጨነቅ... የጀግኖች ሰራዊት እዚህ አለ።"
- 에티오피아 제국 황실근위대 메할 세파리[94], 배멀미로 인한 구토와 곧 닥칠 피바다의 두려움을 이기는 자기암시를 위한 노래를 부르며
"저는 육군 중령이라도 좋습니다. 저는 언제나 전쟁터에서 살아 왔습니다. 저는 곧 태어날 자식에게 제가 최초의 유엔군 일원으로 참전했다는 긍지를 물려주고 싶습니다."
- 라울 마그랭베르느레 프랑스 육군 중장[95]
"국군은 대통령으로부터 명령을 기다리고 있으며, 명령만 있으면 점심은 평양에서 먹고 저녁은 신의주에서 먹을 수 있다."
- 신성모
"조국통일이란 문제를 해결할 생각을 하면 밤에 잠이 오지 않는다. 소련에 가서 스탈린 동지를 만나 조선인민군의 공격허가를 받아오라."
- 김일성, 스탈린의 남침 허가를 설득하면서. #
"인민군이 서울만 점령하면 남로당원이 들고 일어나 남조선 전 지역을 해방시킬 것이다. 인민군의 진격은 해방된 지역을 향한 승리의 행진이 될 것."
- 박헌영
"특히 작년에 중국혁명이 승리함으로써 세계의 정치적 역량관계에서는 커다란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중국혁명의 승리로 국제민주역량은 더욱 강화되었으며 국제반동세력은 심히 약화되었습니다. 중국혁명의 승리는 이승만 괴뢰도당에게도 심대한 타격을 주었습니다. 지금 장개석 도당은 이승만 괴뢰도당을 도와줄수 없는 형편에 이르렀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소련과 중국을 비롯한 세계의 수많은 나라 인민들의 적극적인 지지와 성원을 받고 있습니다."
- 김일성의 북한 내각비상회의에서 한 개전 당일의 연설.
"장관님은 숙소에 계실 것입니다. 그렇지만 아시다시피 장관님은 영국에서 오래 사셨기 때문에 일요일에는 아무도 만나시지 않고 또 전화도 받지 않으십니다."
- 신동우
"어느 나라에서든 인민은 그들의 주권과 독립을 위해서 유혈 전쟁을 수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우리는 승리를 얻기 위해 어떠한 희생도 주저해서는 안 되고 지금부터라도 장기전을 계획하지 않으면 안 된다."
- 박헌영
"이 전쟁은 내전이므로, 남조선군이 38선을 넘는 것은 무방하나, 유엔군이 38선을 넘는다면, 이는 중국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하겠다."
- 저우언라이[96]
"우리 인민군대는 전투를 계속하면서 부득이 후퇴하지 않을 수 없다. 인민군은 마지막 피 한 방울을 다 흘릴 때까지 용감히 싸우라."
- 국군과 유엔군이 평양을 향해 진격해 오던 1950년 10월 11일 밤 평양에 방송된 김일성의 음성. 그리고 몇 시간 뒤 김일성은 평양에서 도망쳤다.
"야, 이 자식아! 전쟁이 잘못되면 나뿐 아니라 도 책임이 있어!"
- 김일성[97]
"국제 정세의 변화에 따라 통일에 착수하자는 조선 사람들의 제청에 동의한다. 그러나 이는 중국과 조선이 공동으로 결정해야 할 문제이고 중국 동지들이 동의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검토할 때까지 연기되어야 한다."
- 이오시프 스탈린
"조선 통일은 무력에 의해서만 가능하며 미국이 대한민국 같은 작은 나라 때문에 3차 대전을 시작하지는 않을 것이므로 미국의 개입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 마오쩌둥
"대한민국은 미국에서 수천 마일 떨어진 곳에 있는 작은 나라지만, 그곳에서 일어나는 일은 모든 미국인들에게 중요합니다. 6월 25일 공산주의자들이 대한민국을 공격했습니다. 이는 공산주의자들이 독립 국가들을 정복하기 위해 군사력을 사용하려 한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북한의 남침은 유엔 헌장 위반이고 평화를 침해한 것입니다. 우리는 이 도전에 정면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 해리 S. 트루먼
"딘, 우리는 무슨 일이 있더라도 그 개새끼들을 막아야 하오. 그게 전부입니다."
“Dean, we've got to stop the sons of bitches, no matter what, and that's all there is to it.”
- 해리 S. 트루먼
"이곳은 극동의 그리스다. 만일 우리가 강경한 조치를 취하기만 하면 다음 단계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 해리 S. 트루먼
"한국에서 미국의 행동은 악당들의 기습(Bunch of bandits)을 유엔이 격퇴시키는 것을 도우려고 취해진 것이오."
- 해리 S. 트루먼[98]
"인천 상륙 작전은 5,000 대 1의 도박입니다. 그렇지만 나는 그런 확률에 익숙합니다. 우리는 인천에 상륙할 것이고, 나는 그들을 격멸할 것입니다."
"...Inchon is a 5000 to 1 gamble, but I am used to taking such odds... We shall land at Inchon and I shall crush them."
- 더글러스 맥아더
"우리는 지금 인천 앞바다에 와 있습니다. 우리는 드디어 오늘 상륙 작전을 감행하게 되었습니다. 이 작전이야말로 불법 남침한 북괴군을 분쇄하고 위기에 처한 조국과 민족을 위하여 정의와 자유를 회복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 손원일, 인천 상륙 작전을 앞두고 USS Pikaway (APA-222)함 함교에서 상륙 개시를 기다리는 해병대 장병들에게 한 훈시.
"국군과 유엔군은 수도 서울을 탈환했다."
- 손원일
"친애하는 동포 형제자매들, 영웅적 조선인민군 장병들과 남녀 빨치산들, 용감한 중국인민지원군 장병들, 친애하는 동지들, 지난 7월 27일 10시에 판문점에서는 조선인민군과 중국인민지원군 대표들을 일방으로 하고 미 제국주의자들을 위수로 한 무력침공군 대표들을 타방으로 하여 정전 협정이 체결되었습니다. 조선에서 정전의 달성은 외래 제국주의 련합 세력을 타승하고 미 제국주의 리승만 매국도당들을 반대하여 자유와 독립을 수호하여 우리 조국 인민이 3년간에 걸친 영웅적 투쟁의 결과이며 우리나라와 우리 인민이 쟁취한 위대한 력사적 승리입니다."
- 김일성[99]
"조선 문제는 결코 조선에만 한정된 문제가 아니다. 조선 문제는 동양의 발칸 문제다. 조선은 세계 평화와 혼란을 좌우하는 열쇠다. 전 세계의 문제이자 전 인류의 문제다."
- 후세 다쓰지[100]
"6.25 당시에 만주를 폭격했으면 통일을 이룰 수 있었다."[101]
-김영삼, 1996년 6월 24일 중부전선 시찰 당시 발언.[102]

13. 외부 링크

14. 관련 문서

1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2664, #000 40%, #000 60%, #cc0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letter-spacing:-.2px"
국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3%"
{{{#000,#ddd {{{#!folding [ 자본주의 진영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세계
맹주
유럽
· · · · · · · · · · · · · · ·
[[튀르키예|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 ]]
· ·
아시아 & 오세아니아
· · · · · · · · · · · · · · · · · · · · ·
아프리카
· · · · · · · · · ·
북아메리카
· · · · · · · · · · · · · · · ·
남아메리카
· · · · · · · · ·
}}}}}}}}}}}}
{{{#!folding [ 공산주의 진영 ] 
{{{#!folding [ 비동맹 진영 ] 
}}} ||
<colbgcolor=#2d2f34> 주요 사건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5~1947)
<colcolor=#000,#ddd>봉쇄정책 · 언싱커블 작전 · 제2차 국공내전 · 철의 장막 · 그리스 내전 · 미소공동위원회 · 트루먼 독트린
전반부
(1947~1969)
마셜 플랜 ·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 · 제1차 중동전쟁 · 베를린 봉쇄 · 티토-스탈린 결렬 · 소련의 미국개입유도설 · 6.25 전쟁 · 쿠바 혁명 · 제네트릭스 계획 · 1956년 포즈난 시위 · 1956년 헝가리 혁명 · 제2차 중동전쟁 · 1958년 레바논 위기 · 진먼 포격전 · 스푸트니크 쇼크 · 콩고 내전 · 중소결렬 · U-2 격추 사건 · 1962년 버마 군사반란 · 나는 베를린 시민입니다 ·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 베트남 전쟁 · 캄보디아 내전 · 피그만 침공 · 쿠바 미사일 위기 · 제3차 중동전쟁 · 68 운동 · 프라하의 봄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우주 경쟁 · 중국-소련 국경분쟁 · 매카시즘 · 상호확증파괴 · 죽의 장막 · 로젠버그 부부 간첩 사건 · 과테말라 내전 · 북예멘 내전 ·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데탕트
(1969~1979)
닉슨 독트린 · 동방 정책 · 닉슨-마오쩌둥 회담 · 7.4 남북 공동 성명 · 핵확산금지조약 · 전략무기제한협정 · 제4차 중동전쟁 · 앙골라 내전 · 베트남 통일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독일의 가을 · 중일평화우호조약 · 이란 혁명 · 중국-베트남 전쟁 · 엘살바도르 내전 · 니카라과 혁명
후반부
(1979~1985)
흑묘백묘론 · 악의 제국 연설 ·그레나다 침공· 이 장벽을 허무시오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이란-이라크 전쟁 · 스타워즈 계획 ·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 콘트라
냉전의 종식
(1985~1991)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도이머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 북방정책 · 1988 서울 올림픽 · 천안문 6.4 항쟁 · 베를린 장벽 붕괴 · 몰타 회담 · 1989년 동유럽 혁명 · 예멘 통일 · 동서독 통일 · 걸프 전쟁 · 8월 쿠데타 · 남북기본합의서 · 소련 붕괴
탈냉전
국제 기구
·
TIAR · SEATO · ANZUS · CENTO | 경제상호원조회의(СЭВ | COMECON)
군사 대결 구도
미군 vs 소련군 }}}}}}}}}}}}

Guiness World Records
파일:기네스 세계기록 로고.svg
Most countries to support an ally in war
(가장 많은 나라가 단일 연합국으로 참전한 전쟁 )
장소
(Where?)
대상
(Who?)
규모
(scale?)
등재 시일
(When?)
KOREA (REPUBLIC OF) (SEOUL)# KOREAN WAR 67개국 2010년 9월 2일
Longest ceasefire without a peace treaty
(종전 없이 지속된 가장 긴 정전)
장소
(Where?)
대상
(Who?)
규모
(scale?)
등재 시일
(When?)
KOREA (NORTH)# SOUTH KOREA, NORTH KOREA [dday(1953-07-27)]일(현재 진행형) 2011년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 전쟁·전투 교전국
<colbgcolor=#405486,#000031> 서부전선 교전
194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개성 인근 교전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개성 송악산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포천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옹진-은파산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양양 돌입 사건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춘천 682고지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지리산 공비 토벌전
1951 ~ 195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남로당 깃발.png 조선인민유격대
일본 해상보안청의 평화선 침범 사건
1952 ~ 1965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일본 해상보안청의 독도 무단침범 및 점령시도 사건
1953 ~ 1956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독도 대첩
1954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진주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한반도 비무장지대 분쟁
1966 ~ 196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1.21 사태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베트남 전쟁
1965 ~ 1973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3.7 완전작전
197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3.23 완전작전
198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판문점 총격사건
198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헤자즈 왕국 국기.svg 이라크
5.22 완전작전
199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199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제1연평해전
199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07
파일:탈레반 기(1996~2021).svg 탈레반 정권
제2연평해전
200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이라크 전쟁
2003 ~ 201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바트당 당기.svg 이라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및 저항 세력
항구적 자유 작전
2009 ~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대청해전
200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천안함 피격 사건
201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연평도 포격전
201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아덴만 여명 작전
2011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201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서부전선 포격 사건
201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대 IS 군사 개입
2015 ~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L
2020년 5월 GP 총격 사건
202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


파일:미국 국장.svg 미국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건국 ~ 20세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독립전쟁
,1775 ~ 1783,
<colbgcolor=#fff,#191919>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파일: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국 국기.svg 하노버 선제후령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ge_Herzogtum_Braunschweig.svg.png 브라운슈바이크 파일:이로쿼이 연맹기.png 이로쿼이
유사전쟁
,1798 ~ 1800,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1공화국
1차 바르바리 전쟁
,1801 ~ 1805,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미영전쟁
,1812 ~ 1815,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2차 바르바리 전쟁
,1815,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미국-멕시코 전쟁
,1846 ~ 1848,
파일:700px-Flag_of_Mexico_(1823-1864,_1867-1893).svg.png 멕시코
태평천국의 난
,1850 ~ 1864,
파일:태평천국 국기.svg 태평천국
제2차 아편전쟁
,1856,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남북전쟁
,1861 ~ 1865,
파일:아메리카 연합국 국기(1861-1863).svg 아메리카 연합국
시모노세키 전쟁
,1863 ~ 1864,
파일:모우리 가몬.svg 조슈 번
포르모사 원정
,1867,
파이완족
신미양요
,1871,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하와이 침공
,1893,
파일:하와이 주기.svg 하와이 왕국
미국-스페인 전쟁
,1898,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스페인
미국-필리핀 전쟁
,1899 ~ 1902,
파일:필리핀 국기(1898-1901).svg.png 필리핀 제1공화국
의화단의 난
,1900 ~ 1901,
파일:의화단 기.svg 의화단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멕시코 국경 전쟁
,1910 ~ 1919,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니그로 반란
,1912,
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 쿠바 PIC
니카라과 점령
,1912 ~ 1933,
파일:니카라과 국기(1908-1971).svg 니카라과 자유주의자
아이티 점령
,1915 ~ 1934,
파일:아이티 국기(1859-1964).svg 아이티 반군
도미니카 점령
,1916 ~ 1924,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제1차 세계 대전
,1917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파일:극동 공화국 국기.svg 극동 공화국
제2차 온두라스 내전
,1924,
파일:온두라스 국기(1898-1949).svg 온두라스군
제2차 세계 대전
,1941 ~ 1945,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
북아프리카 전역
,1940 ~ 1943,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서부전선
,1941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추축국 석유 차단 작전
,1940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그리스 내전
,1944 ~ 1948,
파일:그리스 공산당기.png 그리스 공산당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1958년 레바논 위기
,1958,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국가 운동
피그만 침공
,1961,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베트남 전쟁
,1964 ~ 1973,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라오스 내전
,1964 ~ 1973,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테트라오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EC-121 격추 사건
,196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도미니카 내전
,1965 ~ 1966,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헌법론자 파벌
캄보디아 내전
,1970 ~ 1975,
파일:민주 캄푸치아 국기.svg 크메르 루주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197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엘살바도르 내전
,1979 ~ 1992,
파일:파라분도 마르티 민족해방전선기(1980-1992).svg FMLN
시드라 만 사건
,1981~1989,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그레나다 침공
,1983,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레바논 내전
,1982~1984,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헤즈볼라 당기.svg 헤즈볼라
리비아 공습
,1986,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사마귀 작전
,1988,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나마 침공
,1989,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1989년 필리핀 쿠데타 시도
,1989,
파일:필리핀 국기.svg 반민주 필리핀 군부 세력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이라크
모가디슈 전투
,1993,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통일소말리아회의
민주주의 유지 작전
,1994 ~ 1995,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보스니아 내전
,1995,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파일:스릅스카 공화국 국기.svg 스릅스카 공화국
무한 도달 작전
,1998,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사막의 여우 작전
,1998,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이라크
코소보 전쟁
,1999,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21세기 이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21,
<colbgcolor=#fff,#191919>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탈레반 정권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호라산 이슬람 국가
이라크 전쟁
,2003 ~ 201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바트당 당기.svg 이라크(후세인 정권 및 저항 세력)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및 저항 세력 파일:아라르 나즈란 깃발.png 시아파 무장 세력
파키스탄 드론 공습
,2004 ~ 2018,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탈레반 정권 파일:파키스탄 탈레반 운동 깃발.svg 파키스탄 탈레반
소말리아 군사 개입
,2007 ~ 현재,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알샤바브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2006년 3월 18일 조치
,2006,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머스크 앨라배마호 피랍 사건
,2009,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아프간 주둔 미군-파키스탄군 교전
,2009 ~ 2012,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SY 퀘스트 피랍 사건
,2011,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니제르 군사 개입
,2013 ~ 현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파일:보코 하람 엠블럼.png 보코 하람
이라크 내전
,2014 ~ 2017,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제2차 리비아 내전
,2015 ~ 2019,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시리아 내전
,2017 ~ 현재,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샤리아트 공군기지 공습
,2017,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카샴 전투
,2018,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2023).svg 바그너 그룹
2018년 4월 시리아 공습
,2018,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
,2020,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카타이브 헤즈볼라 깃발.svg 카타이브 헤즈볼라
순교자 솔레이마니 작전
,2020,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023년 이라크·시리아 주둔 미군기지 공격
,2023,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파일:인민동원군기.svg 인민동원군
홍해 위기
, 2023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머스크 항저우호 공격 사건
,2023,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2024년 예멘 공습
,2024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친이란 민병대의 주요르단 미군기지 공격
,2024 ~ 현재,
미상 친이란 민병대
2024년 미국의 이라크·시리아 공습
,2024 ~ 현재,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인민동원군기.svg 인민동원군 }}}}}}}}}

파일:캐나다 국장.svg 캐나다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da291c;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fff> 마흐디 전쟁
,1881 ~ 1889,
<colbgcolor=#fff,#191919> 파일:마흐디국 국기.png 마흐디국
제2차 보어 전쟁
,1899 ~ 1902,
파일:트란스발 공화국 국기.svg 트란스발 공화국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파일:극동 공화국 국기.svg 극동 공화국
제2차 세계 대전
,1939 ~ 1945,
서부전선
,1939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보스니아 내전
,1995,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파일:스릅스카 공화국 국기.svg 스릅스카 공화국
코소보 전쟁
,1999,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14,
파일:탈레반 기(1996~2021).svg 탈레반 정권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이라크 내전
,2014 ~ 2017,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

파일:콜롬비아 국장.svg 콜롬비아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FF0000> 베네수엘라 독립 전쟁
,1810 ~ 1833,
<colbgcolor=#f5f5f5,#191919>
그란콜롬비아-페루 전쟁
,1828 ~ 1829,
에콰도르-콜롬비아 전쟁
,1863,
레티시아 전쟁
,1932 ~ 1933,
제2차 세계 대전
,1943 ~ 1945,
6.25 전쟁
,1950 ~ 1953,
}}}}}}}}}

파일:영국 국장.svg 영국의 대외 전쟁·분쟁 파일:영국 국장(스코틀랜드).svg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12169> 영국-스페인 전쟁
,1585 ~ 1808,
<colbgcolor=#fff,#191919>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335년 전쟁
,1651 ~ 1986,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영국-네덜란드 전쟁
,1652 ~ 1784,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대북방전쟁
,1700 ~ 1721,
파일:루스 차르국 국기.svg 루스 차르국 파일: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국기(베틴).svg.png 폴란드-리투아니아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노르웨이 왕국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701 ~ 1714,
파일:프랑스 왕국 어기.svg 프랑스 왕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사국 동맹 전쟁
,1718 ~ 1720,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1740 ~ 1748,
파일:프랑스 왕국 어기.svg 프랑스 왕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Flag_of_the_Kingdom_of_the_Two_Sicilies_%281816%29.svg.png 양시칠리아 왕국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1701-1750).svg.png 프로이센 왕국
7년 전쟁
,1754 ~ 1763,
파일:프랑스 왕국 어기.svg 프랑스 왕국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합스부르크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스웨덴 국기(1663-1815).png 스웨덴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1차 영국-마라타 전쟁
,1775 ~ 1782,
파일:마라타 제국 국기.svg 마라타 동맹
미국 독립 전쟁
,1775 ~ 1783,
파일:미국 독립전쟁기.svg 미국
프랑스 혁명 전쟁
,1793 ~ 1802,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1공화국
나폴레옹 전쟁
,1803 ~ 1815,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1제국
제2차 영국-마라타 전쟁
,1803 ~ 1805,
파일:마라타 제국 국기.svg 마라타 제국
미영전쟁
,1812 ~ 1815,
파일:미국 국기(1795-1818).svg 미국
제3차 영국-마라타 전쟁
,1817 ~ 1818,
파일:마라타 제국 국기.svg 마라타 동맹
제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1839 ~ 1842,
파일:1280px-Flag_of_Afghanistan_(1931–1973).png 아프가니스탄 아미르국
제1차 아편전쟁
,1840 ~ 1842,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영국-시크 전쟁
,1845 ~ 1849,
파일:시크 왕국 국기.png 시크 왕국
크림 전쟁
,1853 ~ 1856,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태평천국의 난
,1850 ~ 1864,
파일:태평천국 국기.svg 태평천국
제2차 아편전쟁
,1856 ~ 1860,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영국-페르시아 전쟁
,1856 ~ 1857,
파일:카자르 왕조 국기(1852~1906).svg 이란 숭고국
세포이 항쟁
,1857 ~ 1858,
파일:영국 동인도 회사 깃발(1801-1858).svg 세포이 반란군 파일:무굴 제국.png 무굴 제국
사쓰에이 전쟁
,1863 ~ 1864,
파일:사츠마 시마즈 가문 문장.svg 사쓰마 번
시모노세키 전쟁
,1863,
파일:모우리 가몬.svg 조슈 번
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1878 ~ 1880,
파일:1280px-Flag_of_Afghanistan_(1931–1973).png 아프가니스탄 아미르국
줄루 전쟁
,1879,
파일:Conjectural_flag_of_Zululand_(1884-1897)_by_Roberto_Breschi_taken_from_The_South_African_Flag_Book_by_A.P.Burgers.png 줄루 왕국
제1차 보어 전쟁
,1880 ~ 1881,
파일:트란스발 공화국 국기.svg 트란스발 공화국
마흐디 전쟁
,1881 ~ 1899,
파일:마흐디국 국기.png 마흐디국
영국-이집트 전쟁
,1882,
파일:이집트 국기(1882-1922).svg.png 아라바 파샤 반란군
영국-잔지바르 전쟁
,1896,
파일:잔지바르 술탄국 국기.svg 잔지바르 술탄국
파쇼다 사건
,1898,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제2차 보어 전쟁
,1899 ~ 1902,
파일:트란스발 공화국 국기.svg 트란스발 공화국
의화단의 난
,1900 ~ 1901,
파일:의화단 기.svg 의화단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티베트 침공
,1903 ~ 1904,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 헝가리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파일:극동 공화국 국기.svg 극동 공화국
아일랜드 독립전쟁
,1919 ~ 1921,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공화국
제3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1919,
파일:Flag_of_Afghanistan_(1919–1921).svg 아프가니스탄 아미르국
터키 독립전쟁
,1919 ~ 1923,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대국민회의
제2차 세계 대전
,1939 ~ 1945,
<colbgcolor=#012169> 서부 전선
,1939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1943
북아프리카 전역
,1940 ~ 1943,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동아프리카 전역
,1940 ~ 1941,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영국-이라크 전쟁
,1941,
파일:이라크 왕국 국기.svg 이라크 왕국
페르시아 침공
,1941,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이란 제국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버마국 국기.svg 버마국 파일:자유 인도 임시정부 국기.svg 자유 인도 임시정부
그리스 내전
,1944 ~ 1948,
파일:그리스 공산당기.png 그리스 공산당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1945 ~ 1946,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1948 ~ 1960,
파일:Flag_of_the_Communist_Party_of_Malaya.svg 말레이시아 공산당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제2차 중동전쟁
,1956,
파일:이집트 국기(1953-1958).svg.png 이집트
제1차 대구전쟁
,1958 ~ 1961,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
,1963 ~ 1966,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아덴 비상사태
,1963 ~ 1967,
파일:남예멘 민족해방전선.png NLF 파일:남예멘 국기.svg FLOSY
베트남 전쟁
,1964 ~ 1975,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제2차 대구전쟁
,1972 ~ 1973,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제3차 대구전쟁
,1975 ~ 1976,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포클랜드 전쟁
,198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보스니아 전쟁
,1992 ~ 1995,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코소보 전쟁
,1999,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시에라리온 내전
,2000 ~ 2002,
파일:Sl_RUF.png RUF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20,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탈레반 정권
이라크 전쟁
,2003,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이라크 내전
,2014 ~ 2017,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시리아 내전
,2017 ~ 현재,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바트주의 시리아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홍해 위기
,2023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2024년 예멘 공습
,2024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

파일:프랑스 국장.svg 프랑스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전쟁·전투 교전국
<colbgcolor=#ed2939> 백년전쟁
1337 ~ 145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왕국(플랜태저넷 왕조)
제1차 이탈리아 전쟁
1494 ~ 1498
파일:나폴리 왕국 국기(1442-1516).svg.png 나폴리 왕국
제2차 이탈리아 전쟁
1499 ~ 1504
파일:나폴리 왕국 국기(1442-1516).svg.png 나폴리 왕국 파일:Flag_of_the_Duchy_of_Milan_(1450).svg.png 밀라노 공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3차 이탈리아 전쟁
1508 ~ 1516
파일:베네치아 공화국 국기.svg 베네치아 공화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4차 이탈리아 전쟁
1521 ~ 1526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5차 이탈리아 전쟁
1526 ~ 1530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6차 이탈리아 전쟁
1536 ~ 1538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7차 이탈리아 전쟁
1542 ~ 1546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8차 이탈리아 전쟁
1551 ~ 1559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네덜란드 독립전쟁
1568 ~ 1648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30년 전쟁
1618 ~ 1648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파일: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국기.png 폴란드-리투아니아
프랑스-스페인 전쟁
1635 ~ 1659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상속 전쟁
1667 ~ 1668
파일:스웨덴 국기(1663-1815).png 스웨덴 제국
프랑스-네덜란드 전쟁
1672 ~ 1678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파일:네덜란드 공화국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9년 전쟁
1688 ~ 1697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왕국 파일:네덜란드 공화국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701 ~ 1714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합스부르크 제국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1701-1750).svg.png 프로이센 왕국 파일:네덜란드 공화국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파일:포르투갈 왕국 국기(1707-1816).svg.png 포르투갈 왕국
사국 동맹 전쟁
1718 ~ 1720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
1733 ~ 1735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합스부르크 왕조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1701-1750).svg.png 프로이센 왕국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1740 ~ 1748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합스부르크 제국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7년전쟁
1754 ~ 1763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1750-1801).svg.png 프로이센 왕국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Flag_of_Hanover_1837-1866.svg.png 하노버 선제후국 파일:포르투갈 왕국 국기(1707-1816).svg.png 포르투갈 왕국 파일:이로쿼이 연맹기.png 이로쿼이 연맹
미국 독립 전쟁
1775 ~ 1783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프랑스 혁명 전쟁
1792 ~ 1802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파일:포르투갈 왕국 국기(1707-1816).svg.png 포르투갈 왕국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네덜란드 공화국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1793-1844).svg 오스만 제국
나폴레옹 전쟁
1803 ~ 1815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 제국
제1차 프랑스-멕시코 전쟁
1838 ~ 1839
파일:700px-Flag_of_Mexico_(1823-1864,_1867-1893).svg.png 멕시코 중앙집권공화국
벨기에 혁명
1830 ~ 183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연합왕국
태평천국의 난
1850 ~ 1864
파일:태평천국 국기.svg 태평천국
제2차 아편전쟁
1856 ~ 1860
청나라
코친차이나 원정
1858 ~ 1862
파일:external/www.worldstatesmen.org/vn_tonki.gif 대남국
제2차 프랑스-멕시코 전쟁
1861 ~ 1867
파일:Bandera_Histórica_de_la_República_Mexicana_(1824-1918).svg.png 멕시코 제2연방공화국
시모노세키 전쟁
1864
파일:모우리 가몬.svg 조슈 번
병인양요
1866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1870 ~ 1871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북독일 연방
청불전쟁
1884 ~ 1885
파일:청나라 국기(1862-1889).svg 청나라
프랑스-시암 전쟁
1893
파일:태국 국기(1855).svg.png 시암
파쇼다 사건
1898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의화단의 난
1900 ~ 1901
파일:의화단 기.svg의화단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파일:극동 공화국 국기.svg 극동 공화국
터키 독립전쟁
1919 ~ 1923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 대국민의회
프랑스-시리아 전쟁
1920
파일:시리아 아랍 왕국 국기.svg 시리아 아랍 왕국
리프 전쟁
1925 ~ 1926
파일:Flag_of_the_Republic_of_the_Rif.svg 리프 공화국
스페인 내전
1936 ~ 1939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제2공화국 파일:스페인국 국기(1936-1938).svg 스페인 국민전선
제2차 세계 대전
1939 ~ 1945
<colbgcolor=#ed2939><colcolor=#fff> 서부전선
1939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1943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1943~
북아프리카 전역
1940 ~ 1943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서아프리카 전역
1940 ~ 1942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1946 ~ 1954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민주 공화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알제리 전쟁
1954 ~ 1962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민족 해방 전선
바밀레케 전쟁
1955 ~ 1964
파일:300px-Cm-upc1.png 카메룬 인민연합
제2차 중동전쟁
1956
파일:이집트 국기(1953-1958).svg.png 이집트
이프니 전쟁
1957 ~ 1958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가재 전쟁
1961 ~ 1963
파일:브라질 국기(1960-1968).svg 브라질
서사하라 전쟁
1977 ~ 1978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카반 작전
1979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 제국
리비아-차드 분쟁
1986 ~ 1987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르완다 내전
1990 ~ 1994
파일:Rwandan_Patriotic_Front_Flag.svg.png RPF
보스니아 전쟁
1992 ~ 1995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진달래 작전
1995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코소보 전쟁
1999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20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탈레반 정권
제1차 코트디부아르 내전
2002 ~ 2007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FNCI
차드 내전
2005 ~ 2010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진자위드
제2차 코트디부아르 내전
2010 ~ 2011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군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COJEP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FPI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사헬 내전
2011 ~ 현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파일:보코 하람 엠블럼.png 보코하람 파일:안사루 깃발.svg 안사루
말리 내전
2012 ~ 현재
파일:아자와드 국기.svg MNLA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내전
2012 ~ 현재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셀레카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반 발라카
이라크 내전
2014 ~ 2017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홍해 위기
,2023,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아스피데스 작전
,2024,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

파일:튀르키예 국장_White.svg 튀르키예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e30a17> 튀르키예 독립전쟁
,1919 ~ 1923,
<colbgcolor=#f5f5f5,#191919>
제2차 세계 대전
,1945,
6.25 전쟁
,1950 ~ 1953,
키프로스 전쟁
,1974,
소말리아 내전
,1992 ~ 1995,
보스니아 내전
,1995,
코소보 전쟁
,1999,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14,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이라크 내전
,2014 ~ 2017,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
시리아 내전
,2011 ~ 현재,
제2차 리비아 내전
,2014 ~ 2020,
파일:리비아 국기.svg
국민의회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2020,
<rowcolor=#e30a17> ← 오스만 제국의 대외전쟁 }}}}}}}}}

파일:네덜란드 국장.svg 네덜란드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ff9900> 네덜란드 독립전쟁
1568 ~ 1648
<colbgcolor=#fff,#191919>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네덜란드-포르투갈 전쟁
1601 ~ 1661
파일:포르투갈 왕국 국기(1640-1667).svg.png 포르투갈 왕국
30년 전쟁
1618 ~ 1648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파일: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국기.png 폴란드-리투아니아
335년 전쟁
1651 ~ 1986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영국-네덜란드 전쟁
1652 ~ 1784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프랑스-네덜란드 전쟁
1672 ~ 1678
파일:프랑스 왕국 어기.svg 프랑스 왕국 파일:스웨덴 국기(1663-1815).png 스웨덴 제국
9년 전쟁
1688 ~ 1697
파일:프랑스 왕국 어기.svg 프랑스 왕국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701 ~ 1714
파일:프랑스 왕국 어기.svg 프랑스 왕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사국 동맹 전쟁
1719 ~ 1720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1740 ~ 1748
파일:프랑스 왕국 어기.svg 프랑스 왕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Flag_of_the_Kingdom_of_the_Two_Sicilies_%281816%29.svg.png 양시칠리아 왕국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1701-1750).svg.png 프로이센 왕국
미국 독립 전쟁
1775 ~ 1783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프랑스 혁명 전쟁
1792 ~ 1795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1공화국
나폴레옹 전쟁
1803 ~ 1815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국
벨기에 혁명
1830 ~ 1831
파일:벨기에 혁명기(1830).svg 벨기에 저항군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국민의 왕국
시모노세키 전쟁
1863 ~ 1864
파일:모우리 가몬.svg 조슈 번
제2차 세계 대전
1941 ~ 1945
<colbgcolor=#ff9900> 서부전선
1940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1943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1945 ~ 1949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트리코라 작전
1961 ~ 1962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소련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코소보 전쟁
1999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시리아 내전
2017 ~ 현재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

파일:벨기에 국장.svg 벨기에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000;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ED2939> 벨기에 혁명
,1830 ~ 183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연합왕국
제1차 세계 대전
,1916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 헝가리-제국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제2차 세계 대전
,1940 ~ 1945,
서부전선
,1941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한국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콩고 위기
,1960 ~ 1965,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2003-2006).svg 콩고 공화국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코소보 전쟁
,1999,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

파일:이탈리아 국장.svg 이탈리아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ED2939>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1895 ~ 1896,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에티오피아 제국
의화단의 난
,1900 ~ 1901,
파일:의화단 기.svg 의화단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이탈리아-튀르크 전쟁
,1911 ~ 1912,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파일:극동 공화국 국기.svg 극동 공화국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1935 ~ 1936,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에티오피아 제국
스페인 내전
,1936 ~ 1939,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스페인 공화국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알바니아 침공
,1939,
파일:알바니아 왕국 국기(1934-1939).svg 알바니아 왕국
제2차 세계 대전
,1940 ~ 1945,
<colbgcolor=#ED2939> 프랑스 침공
,1940,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북아프리카 전역
,1940 ~ 1943,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망명 정부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연방 파일:자유 프랑스 국기.svg 자유 프랑스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파일:이집트 왕국 국기.svg 이집트 왕국
동아프리카 전역
,1940 ~ 1941,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그리스 침공
,1940 ~ 1941,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유고슬라비아 전역
,1941 ~ 1943,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왕국 파일: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깃발.svg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파일:150px-Chetniks_Flag.svg.png 체트니크
독소전쟁
,1941 ~ 1943,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태평양 전쟁
,1941 ~ 1943,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이탈리아 전역
,1943 ~ 1945,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자유 프랑스 국기.svg 자유 프랑스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망명정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캐나다 자치령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연방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인도 제국 국기.svg 인도 제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코소보 전쟁
,1999,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아스피데스 작전
,2024,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

파일:태국 국장.svg 태국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a51931> 9군 전쟁
,1785 ~ 1786,
파일:꼰바웅 왕조 국기.png 꼰바웅
타보이 전쟁
,1787,
파일:꼰바웅 왕조 국기.png 꼰바웅
탈랑 침공
,1809 ~ 1812,
파일:꼰바웅 왕조 국기.png 꼰바웅
라오스-시암 전쟁
,1826 ~ 1828,
비엔타인 왕국 참파삭 왕국
시암-베트남 전쟁
,1831 ~ 1834,
파일:external/www.worldstatesmen.org/vn_tonki.gif 대남국
시암-베트남 전쟁
,1841 ~ 1845,
파일:external/www.worldstatesmen.org/vn_tonki.gif 대남국
켕퉁 전쟁
,1849 ~ 1855,
파일:꼰바웅 왕조 국기.png 꼰바웅
프랑스-시암 전쟁
,1893,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1차 세계 대전
,1917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프랑스-태국 전쟁
,1940 ~ 1941,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제2차 세계 대전
,1941 ~ 1945,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대만 국기.svg 중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라오스 내전
,1959 ~ 1975,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테트라오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베트남 전쟁
,1967 ~ 1972,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말레이시아 공산반란
,1968 ~ 1989,
파일:Flag_of_the_Communist_Party_of_Malaya.svg 말레이시아 공산당
베트남의 태국 국경 습격
,1979 ~ 1989,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캄푸치아 인민공화국 국기.svg 캄푸치아 인민 공화국
태국-라오스 국경 분쟁
,1987 ~ 1988,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걸프전쟁
,1990 ~ 1991,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 ||

파일:필리핀 국장.svg 필리핀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CD116;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CE1126> 필리핀 혁명
,1896 ~ 1898,
<colbgcolor=#f5f5f5,#191919>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스페인 제국
미국-필리핀 전쟁
,1899 ~ 1902,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미국
제2차 세계 대전
,1941 ~ 1945,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베트남 전쟁
,1964 ~ 1969,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마라위 전투
,2017,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 호주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12169> 제2차 보어 전쟁
,1899 ~ 1902,
[[트란스발 공화국|
파일:트란스발 공화국 국기.svg
트란스발 공화국]]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독일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오스만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러시아 내전
,1918 ~ 1920,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 [[극동 공화국|
파일:극동 공화국 국기.svg
극동 공화국]]
제2차 세계 대전
,1939 ~ 1945,
<bgcolor=#012169> 태평양 전쟁
,1941 ~ 1945,
[[일본 제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태국|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
태국]]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1945 ~ 1946,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1948 ~ 1960,
[[말레이시아 공산당|
파일:Flag_of_the_Communist_Party_of_Malaya.svg
말레이시아 공산당]]
6.25 전쟁
,1950 ~ 1953,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
,1963 ~ 1966,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베트남 전쟁
,1964 ~ 1972,
[[베트남 민주 공화국|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걸프 전쟁
,1990 ~ 1991,
[[이라크|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 [[쿠웨이트|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20,
[[아프가니스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탈레반 정권]]
이라크 전쟁
,2003 ~ 2017,
[[이라크|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시리아 내전
,2017 ~ 현재,
[[시리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 [[알카에다|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

파일:그리스 국장.svg 그리스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D5EAF> 그리스 독립 전쟁
,1821 ~ 1829,
<colbgcolor=#fff,#191919>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그리스-오스만 전쟁
,1897,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제1차 발칸 전쟁
,1912 ~ 1913,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제2차 발칸 전쟁
,1913,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제1차 세계 대전
,1917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파일:극동 공화국 국기.svg 극동 공화국
튀르키예 독립전쟁
,1919 ~ 1923,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대국민의회
제2차 세계 대전
,1940 ~ 1945,
그리스 침공
,1940 ~ 1941,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키프로스 전쟁
,1974,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아스피데스 작전
,2024,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

[[뉴질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 뉴질랜드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12169> 제2차 보어 전쟁
,1899 ~ 1902,
[[트란스발 공화국|
파일:트란스발 공화국 국기.svg
트란스발 공화국]]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독일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오스만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제2차 세계 대전
,1939 ~ 1945,
<bgcolor=#012169> 태평양 전쟁
,1941 ~ 1945,
[[일본 제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태국|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
태국]]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1948 ~ 1960,
[[말레이시아 공산당|
파일:Flag_of_the_Communist_Party_of_Malaya.svg
말레이시아 공산당]]
6.25 전쟁
,1950 ~ 1953,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
,1963 ~ 1966,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베트남 전쟁
,1964 ~ 1972,
[[베트남 민주 공화국|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걸프 전쟁
,1990 ~ 1991,
[[이라크|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 [[쿠웨이트|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이라크 전쟁
,2003 ~ 2017,
[[이라크|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시리아 내전
,2017 ~ 현재,
[[시리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 [[알카에다|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

파일:에티오피아 국장.svg 에티오피아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CDD09;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FCDD09>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1894 ~ 1895,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1935 ~ 1936,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제2차 세계 대전
,1942 ~ 1945,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제1차 수단 내전
,1955 ~ 1972,
앵글로-이집트 수단
에리트레아 독립전쟁
,1962 ~ 1991,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인민해방전선
오가덴 전쟁
,1977 ~ 1978,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에티오피아-에리트리아 전쟁
,1998 ~ 2000,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소말리아 내전
,2009 ~ 현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2020년 에티오피아-수단 분쟁
,2020 ~ 현재,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 ||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장.svg (구) 남아프리카 연방/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01489>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colbgcolor=#f5f5f5,#191919>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파일:극동 공화국 국기.svg 극동 공화국
제2차 세계 대전
,1939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그리스 내전
,1944 ~ 1948,
파일:그리스 공산당기.png 그리스 공산당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
,1966 ~ 1990,
파일: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당기.svg SWAPO 파일:앙골라 해방인민운동 당기.svg MPLA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아프리카 국민회의 당기.svg ANC 파일:잠비아 국기(1964-1996).svg 잠비아
앙골라 내전
,1975 ~ 1990,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인민 공화국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당기.svg SWAPO 파일:아프리카 국민회의 당기.svg ANC }}}}}}}}}

파일:북한 국장.svg 북한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ed1c27> 서부전선 교전
194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개성 인근 교전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개성 송악산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포천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옹진-은파산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양양 돌입 사건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춘천 682고지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UN기.svg 유엔군
진주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한반도 비무장지대 분쟁
1966 ~ 1969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베트남 전쟁
1967 ~ 1969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남베트남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21 사태
196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EC-121 격추 사건
1969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제4차 중동전쟁
1973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앙골라 내전
1975 ~ 1980년대
파일: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당기.svg 앙골라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파일:앙골라 민족해방전선 당기.svg FNLA 파일:카빈다 월경지 해방전선기.svg FLEC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3.23 완전작전
198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우간다 내전
1980 ~ 1986
파일:우간다 국기.svg 민족저항군
판문점 총격사건
198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199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제1연평해전
199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일본 순시선 괴선박 격침 사건
2001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제2연평해전
200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대홍단호 사건
2007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Flag_of_Edward_England.svg.png 소말리아 해적
대청해전
200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연평도 포격전
20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시리아 내전
2011 ~
파일:시리아 국기.svg 자유 시리아군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20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서부전선 포격 사건
20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0년 5월 GP 총격 사건
20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024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파일:소련 국장.svg 소련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d700;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d700> 전쟁 교전국
1924년 에스토니아 쿠데타 시도
,1924,
<colbgcolor=#f5f5f5,#191919>
봉소전쟁
1929
스페인 내전
1936 ~ 1939
에스토니아-소련 국경분쟁
,1938,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공화국
소련-일본 국경분쟁
1938 ~ 1939
<colcolor=#ffd700> 하산 호 전투
1938
할힌골 전투
1939
제2차 세계 대전
1939 ~ 1945
폴란드 침공
1939
겨울전쟁
1939 ~ 1940
베사라비아-북부코비나 침공
1940
발트 3국 점령
1940
대조국전쟁
1941 ~ 1945
계속전쟁
1941 ~ 1944
페르시아 침공
1941
소련-일본 전쟁
1945
이저사변
1944 ~ 1949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그리스 내전
1944 ~ 1948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6.25 전쟁
1950 ~ 1953
1953년 동독 봉기
1953
라제즈드노이호 사건
1953
헝가리 혁명
1956
U-2 격추 사건
1960
베트남 전쟁
1960 ~ 1975
소모전
,1967 ~ 1970,
프라하의 봄
1968
소련-중국 국경분쟁
1969
앙골라 내전
1975 ~ 1991
파일:앙골라 민족해방전선 당기.svg
FNLA
파일:카빈다 월경지 해방전선기.svg
FLEC
오가덴 전쟁
1977 ~ 1978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1979 ~ 1989
나고르노 카라바흐 전쟁
1988 ~ 1994
리투아니아 독립 무력 진압 시도
1991
라트비아 독립 무력 진압 시도
1991
← 러시아 제국의 대외전쟁
→ 러시아의 대외전쟁
}}}}}}}}}

파일:중국 국장.svg 중화인민공화국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EE1C25><colcolor=#FFFF00> 국공내전
,1946 ~ 1950,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UN기.svg 유엔군
티베트 침공
,1950,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하이난 상륙작전
,1950,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1954 ~ 1955,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이장산 전투
,1955,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진먼 포격전
,1958,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베트남 전쟁
,1955 ~ 1975,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베트남 공화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중국-버마 국경작전
,1960 ~ 1961,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중인전쟁
,1962,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1967년 인도-중국 국경 분쟁
,1967,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중소 국경분쟁
,1969,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라셀 군도 점령
,1974,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베트남 공화국
중월전쟁
,1979,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1995 ~ 1996,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2017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
,2017,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2020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
,2020,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2022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
,2022,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

파일:북한 국장.svg
북한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주요 역사적 사건
<colbgcolor=#ccc,#333><colcolor=black,white> 김일성
시대
해방 (1945) ·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설치 (1945) ·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 설립 (1946) · 북조선인민위원회 설립 (1947) · 제1기 북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1948)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 (1948) · 북·남조선로동당 합당 (1949) · 6.25 전쟁 (1950~1953) · 박헌영-리승엽 간첩 사건 (1953~1955) · 8월 종파사건 (1956) · 중국 인민지원군 철수 (1958) · 재일교포 북송 (1959~1984) · 조소동맹조약 (1961) · 조중동맹조약 (1961) · 갑산파 숙청 사건 (1967) · 1.21 사태 (1968)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1968)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 7.4 남북 공동 성명 (1972) · 사회주의헌법 제정 (1972)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1976) ·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1983) ·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1987) · 제13차 평양세계학생축전 (1989) · 남북기본합의서 (1991) · 남북 유엔 동시 가입 (1991) · 북일수교협상 (1991~1992) · 제1차 북핵 위기 (1993~1994) · 서울불바다 발언 사건 (1994) · 김일성 사망 (1994)
김정일
시대
남북정상회담 무산 (1994) · 고난의 행군 (1994~2000) · 북미 제네바 합의 (1994) ·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 심화조 사건 (1997~2000) · 제1연평해전 (1999) · 남북정상회담 (2000) · 조미 코뮤니케 (2000) · 제2연평해전 (2002) · 새로운 경제관리개선조치 (2002) · 북일정상회담 (2002~2004) · 6자회담 (2003~2009) · 제1차 핵실험 (2006) · 남북정상회담 (2007) · 제2차 핵실험 (2009) · 화폐개혁 (2009) · 천안함 피격 사건 (2010) · 연평도 포격전 (2010) · 김정일 사망 (2011)
김정은
시대
제3차 핵실험 (2013) · 장성택 처형 사건 (2013) · 5.30 조치 (2014) · 제4차 핵실험 (2016) · 제5차 핵실험 (2016) · 김정남 피살 사건 (2017) · 제6차 핵실험 (2017) · 김성일 사건 (2017) · 남북정상회담 (평양공동선언) (2018) · 북미정상회담 (2018, 2019) ·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 (2020) · 반체제 정당 조직 적발 사건 (2021) · 코로나 대유행 (2022) · 연평도 해역 포격 사건 (2024) · 지린성 북한 노동자 폭동 사건 (2024) · 반체제 세력 출현 사건 (2024) · 오물 풍선 살포 사건 (2024)2024년 북러정상회담 (2024)북한 외교관 연쇄 탈북 사건 (2024)주러시아 북한 관전무관 폭사 사건 (2024)평양 무인기 대북전단 살포 사건 (2024)북한의 경의선·동해선 남북 연결도로·철도 폭파 사건 (2024)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2024)
역사왜곡*
항일무장투쟁 타도제국주의동맹 (1926) · 카륜회의 (1930) · 명월구회의 (1931) · 조선인민혁명군 (1932) · 민생단 사건 (1932~1936) · 남호두회의 (1936) · 미혼진회의 (1936) · 동강회의 (1936) · 조국광복회 (1936)
6.25 전쟁 전쟁 발발 책임 · 승패 인식
백두혈통
우상화
김응우 (제너럴 셔먼호 사건) · 김형직 · 강반석 · 김정숙 · 김정일 출생지 왜곡
관련 서적 미제와 일제의 조선침략 죄행 · 백두혈통 우상화 교과서 · 세기와 더불어 · 조선력사
* 괄호 안의 연도는 북한의 주장에 근거한 연도이며, 실제 역사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단체 및 사건이거나 실제와는 다른 연도일 수 있음.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한국전쟁기 국군 및 유엔군의 기갑차량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파일:UN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한국전쟁 시기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대한민국 국군 / 파일:UN기.svg 유엔군기갑차량
전차 경전차 <colbgcolor=#fff,#1c1d1f>M24 채피, M41 워커 불독
중형전차 M4A1, M4 컴포지트 헐, M4A3 (76) W VVSS, M4A3 (76) W HVSS, A27M 크롬웰, A34 코멧, M26 퍼싱, T-34-85C
돌격전차 M4 (105), M4A3 (105), M4 (105) HVSS, M4A3 (105) HVSS, M4 (105) 셔먼 도저, POA-CWS-H5, M4A3 (105) "포큐파인", M45 중형전차
주력전차 센추리온 Mk.3, M46 패튼, M47 패튼
중전차 A22 처칠 크로커다일, A22 처칠
구난전차 M32 TRV
장갑차 차륜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 BA-64AC
반궤도 장갑차 M3A1 하프트랙
궤도 장갑차 M39 AUV, M44, M75, 유니버설 캐리어 Mk.I/II
상륙장갑차 LVT-3, LVT(A)-4
구난 및 견인차량 92식 8톤 견인차 니쿠?/IJA/R, M32B1A1, M32B1A2
대전차 자주포 M18 헬캣, M36 GMC, M36B2, M10 GMC, M10 아킬레스, SU-76MC
자주포 M7B1/B2 프리스트, M37 자주곡사포, M40 GMC, M41 고릴라
차량 차량 윌리스 MB, 닷지 M37
트럭 CCKW, 닛산 180IJA, 토요타 BM, GAZ-51C, GAZ-63C, ZIS-150C
자주대공포 M16 MGMC, M19 더스터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 전시 중 사용 여부가 불확실하고 일부 자료에만 등장하는 차량이거나 사용 기록 실증이 되지 않은 차량.
※ 윗첨자IJA: 일제 패망 후 남겨진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 운용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 운용무기·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 운용무기 ·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캐나다군 운용무기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군 운용무기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군 운용무기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


한국전의 북한군 및 인민지원군 기갑차량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한국전쟁
조선인민군, 인민지원군기갑차량
전차 경전차 <colbgcolor=#fefefe,#191919>공신호 전차CN, M5A1CN/?
중형전차 T-34-76X, T-34-85, M4A2 (76) WX
중전차 IS-2CN
화염방사전차 OT-34CN
장갑차 BA-64, BTR-40
자주포 SU-76M, LVT(A)-4 (ZiS-2)CN
다연장로켓 카츄샤 다연장로켓
차량 GAZ-51, GAZ-63, GAZ-64, GAZ-AA, ZiS-5, ZiS-6, ZiS-150
모터사이클 M-72
노획 차량 M24 채피, M4A3 (76) W HVSS, A27M 크롬웰NONE, M26 퍼싱, M19 더스터, M41 고릴라, 센추리온, M36 GMC, 옥스포드 캐리어, 와스프 IIC, M46 패튼, M18 헬캣
※ 윗첨자?: 사용 여부가 불확실하고 일부 자료(사진 등)에만 등장하는 차량이거나 증명이 되지 않은 차량
※ 윗첨자CN: 인민지원군이 사용
※ 윗첨자X: 소련에게 공여받은 차량이나 소수 만을 운용
※ 윗첨자NONE 전시 중 전량 유실
}}}}}}}}}


6.25 전쟁기의 대한민국 군경 보병장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한국전쟁 시기
대한민국 국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자동소총 M1918A2, M2 카빈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
권총 M1911A1, M1917, M10
지원화기 기관총 92식 중기관총, M1917A1, M1919A4/A6, M2 중기관총
대전차화기 M9, M20 로켓발사기, 57mm 무반동총, 75mm 무반동총
화염방사기 M2 화염방사기
박격포 M1 81mm 박격포, M2 60mm 박격포
유탄 Mk.2 수류탄, MK3A2 수류탄, M7 총류탄발사기
냉병기 군도 구군도, 신군도, 경찰도, 30년식 총검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6.25 전쟁기의 영연방군 보병장비
파일:영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한국전쟁 시기
영연방군보병장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개인화기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Rifle No.1 Mk.III*, No.4 Mk.I, No.4 Mk.I(T), No.5 Mk. I, P14, De Lisle Carbine
반자동소총 M1 Garand, M1 Carbine, M3 Carbine
기관단총 M1928A1, M1A1, Sten Mk.II, Mk.V, L2A1, Owen Mk.I
권총 Webley Mk.IV, Pistol No.2 Mk.I, M1911A1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Lewis Mk.III/IV, Bren Mk.I/II/III
중기관총 Vickers Mk.I, BESA, Browning M1919A4, Browning M2HB
대전차화기 PIAT
화염방사기 Flamethrower, Portable, No.2
박격포 Ordnance SBML 2 inch mortar, Ordnance ML 3 inch mortar
유탄 Mills No.36M
냉병기 Fairbairn-Sykes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캐나다 국기.svg · 파일:호주 국기.svg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6.25 전쟁의 북한군 및 인민지원군 보병장비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6.25 전쟁
조선인민군, 인민지원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30년식 소총,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7식 저격총, 99식 소총, 모신나강, 50식 보총, 한양 88식C, 24식 보총C, 81식 마병총C, Kar98kC, Vz.24C. 스프링필드 M1903C. M1917 엔필드C
반자동소총 SVT-40, SKS
자동소총 AVS-36C
권총 남부 권총, 나강 M1895, C96, TT-33, 발터 P38, 루거 P08C
기관단총 PPSh-41, 49식 기관단총, 50식 기관단총, PPS-43, 봉천 2형 기관단총C, 36식 기관단총C, M1921C, M1928A1C, M1A1C, MP34C, 스텐 기관단총C, 100식 기관단총C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1식 경기관총, 89식 기관총, 96식 경기관총, 99식 경기관총, DP-28, DPM, Vz.26, Vz.30
중기관총 92식 중기관총, 97식 중기관총, 24식 중기관총, PM M1910, DT, DTM, DShK, SG-43, KPV, MG34C
대전차화기 PTRD-41, PTRS-41, RPG-43, 52식 무반동포C
화염방사기 ROKS-3
박격포 27년식 척탄통C, 82-PM-37, 120-PM-43
유탄 F1 수류탄, RGD-33, RG-42
지뢰 목함지뢰, POMZ-1
※ 윗첨자C: 중공군이 사용
취소선 : 사용 여부에 논란이 있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군의 운용장비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254170> 파일:이승만투명.svg이승만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254170,#ddd> 일생 일생 · 평가 (긍정적 평가/부정적 평가) · 이승만/여담
가족 아버지 이경선 · 양아들 이강석 · 양아들 이인수 · 아내 프란체스카 도너
정책 대한민국 정부 수립 · 신문지법 · 농지개혁법 · 한미상호방위원조협정 · 한미상호방위조약 · 한미원조협정
발언 정읍발언 · 과도정부 당면 정책 33항
정당 자유당
역대 선거 제헌 국회의원 선거제1대 대통령 선거제2대 대통령 선거제3대 대통령 선거3.15 부정선거
저서 일본 내막기 · 만주의 한국인들 · 독립정신
사건사고 위임통치 청원 사건 · 단파방송 밀청사건 · 제주 4.3 사건 · 여수·순천 10.19 사건 · 국회 프락치 사건 · 6.25 전쟁 · 국민방위군 사건발췌 개헌 · 반공포로 석방 사건 · 암살 미수 사건 · 사사오입 개헌 · 진보당 사건 · 3.15 부정선거 · 4.19 혁명 · 부산정치파동
관련 독립운동 단체 독립협회 · 대한인국민회 · 대한민국 임시정부 · 한미협회 · 독립촉성중앙협의회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대한인동지회 · 흥업구락부
관련 신문 제국신문 · 매일신문 · 태평양잡지 · 협성회회보
관련 시설 돈암장 · 이화장 · 인하대학교 · 인하공업전문대학
관련 사상 일민주의 · 기독교입국론
기타 에버레디 계획
관련 창작물 국민 여러분 안심하십시오 · 이승만(야인시대) · 건국전쟁 · 기적의 시작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이승만 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이승만 정부 참고
}}}}}}}}}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CC0000> 파일:스탈린_투명.png이오시프 스탈린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생애 · 평가 · 매체
스탈린주의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CC0000>사상공산주의 · 스탈린주의,(반서방 · 반파시즘 · 공산주의 · 마르크스주의 · 레닌주의 · 군국주의 · 대러시아 · 소비에트 국가주의 · 일국사회주의 · 전체주의),
사건 · 사고 러시아 혁명 · 러시아 내전 · 소비에트-폴란드 전쟁 · 대숙청 · 봉소전쟁 · 라스쿨라치바니예 · 독소 불가침 조약 · 제2차 세계 대전(독소전쟁) · 6.25 전쟁
조직 및 국가 소련 공산당 · 몽골 인민당 · 독일 통일사회당 · 폴란드 통일노동당 ·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 헝가리 사회노동당 · 루마니아 공산당 · 불가리아 공산당· 알바니아 노동당 · 중국공산당 · 조선로동당 · 코민테른 · 코민포름
관련 인물
스탈린 가문 야코프 주가슈빌리 · 바실리 스탈린
외국 정상 아돌프 히틀러 · 윈스턴 처칠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 해리 S. 트루먼 · 마오쩌둥 · 장제스 · 김일성
공산당 블라디미르 레닌 ·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 레프 트로츠키 · 미하일 투하쳅스키 ·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 니콜라이 부하린 · 바실리 블류헤르 · 니키타 흐루쇼프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기타
기타 스탈린 선 · 명령 제227호 · 각국 정상들과의 관계 · 스탈린 전차 · 스탈린그라드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 파일:스탈린_투명.png 스탈린주의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E40001><tablebgcolor=#E40001> 파일:김일성투명.svg김일성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ccccc,#333333> 일생 생애 · 사망
정책 군면리 대폐합 · 공작기계새끼치기운동 · 남북기본합의서 · 조소동맹조약 · 조중동맹조약 · 조중변계조약 · 천리마 운동 · 청산리 방법· 3대혁명소조운동 · 4대 군사노선 · 7.4 남북 공동 성명 · 1980년대의 경제 정책 · 주체농법
우상화 사업 타도제국주의동맹 · 조선인민혁명군 · 조국광복회 · 보천보 전투 · 주체사상 · 구호나무 · 도서정리사업 · 김일성장군의 노래 · 압록강의 노래
관련 장소 만경대고향집 · 금수산태양궁전 · 대성산혁명렬사릉 · 화진포의 성
가족 가계도 · 증조부 김응우 · 조부 김보현 · 아버지 김형직 · 어머니 강반석 · 본처 한성희 · 이처 김정숙 · 삼처 김성애 · 남동생 김철주 · 남동생 김영주 · 아들 김정일 · 아들 김만일 · 아들 김평일 · 아들 김영일 · 아들 김현 · 딸 김경희 · 딸 김백연
사건사고 훙치허 전투 · 6.25 전쟁(평양시 학살 사건) · 8월 종파사건 · 갑산파 숙청 사건 · 베트남 전쟁 · 1.21 사태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 북한의 대남 수해지원 · 김포국제공항 폭탄 테러 · 김일성 사망 오보 사건 · 임수경 방북 사건 · 프룬제 군사대학 유학파 쿠데타 모의 사건
저서 세기와 더불어
어록 이밥에 고기국 기와집에서 비단옷
기타 조선로동당 · 인민대학습당 · 북조선인민위원회 · 김일성종합대학 · 김일성군사종합대학 · 김일성방송대학 · 김일성광장 · 김일성훈장 · 김일성상 · 김일성화 · 김일성 공원 · 김일성 암살설 · 김일성 가짜설 · 김일성 시계 · 4.15절 · 인간관계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 파일:조선로동당_로고.svg 주체사상
둘러보기

김일성 | 김정일 | 김정은
}}}}}}}}} ||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ee1c25> 파일:마오쩌둥 투명.svg마오쩌둥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생애 · 평가 · 창작물 · 마오주의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ee1c25> 주최 운동 삼반오반운동 · 반우파 투쟁 · 대약진 운동 (제사해 운동 · 토법고로 · 인민공사 · 치수사업) · 양탄일성 · 문화대혁명 (악영향)
사건 대장정 · 국공합작 · 중일전쟁 · 국공내전 · 6.25 전쟁 · 암살 음모 사건 · 베트남 전쟁 · 중소 국경 분쟁 · 9.13 사건 · 데탕트
마오쩌둥 가문 증조부 모조인 · 조부 모은보 · 아버지 마오이창 · 어머니 원쑤친 · 남동생 마오쩌민 · 남동생 마오쩌탄 · 이처 양카이후이 · 삼처 허쯔전 · 사처 장칭 · 아들 마오안잉 · 아들 마오안칭 · 손자 마오신위
선전물 선전물 틀 참조
관련 문서 관련 도서 · 마오쩌둥 어록 · 모주석기념당
관련 틀 마오주의 틀 · 공산주의 틀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 파일:마오주의 깃발.svg 틀:마오주의 }}}}}}}}}

<keepall>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6ba4, #0084c9 33%, #0084c9 67%, #006ba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방향
남한 주도 흡수통일 · 북진통일
남북합의 평화통일 · 남북연합
북한 주도 적화통일 · 고려연방
기타 영구분단 · 제3국 주도(한미합방 · 한중합방) · 북한 분할
영향
남북통일의 이점
과제
경제
(통일 비용)
군사 정치 행정 및 사법
(행정구역·치안)
외교 교육 인프라
(교통·남한)
스포츠
위화감 수도
(후보지)
급변사태
노력
정상회담 2000년 · 2007년 · 2018년(1차 · 2차 · 3차)
남북합의 7.4 남북 공동 성명 · 남북기본합의서 · 6.15 남북공동선언 · 10.4 남북공동선언 · 판문점 선언 · 9월 평양공동선언
관련 인물 통일운동가
관련 문서
한반도기 · 남북관계 · 6.25 전쟁 · 통일반대론(근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징 <colcolor=#000,#fff>국기 · 국장 · 국호 · 노동자 마르세예즈 · 인터내셔널가 · 소련 찬가 · 낫과 망치 · 붉은 별
정치 정치 전반 · 소련 공산당 · 소련 공산당대회 · 크렘린 · 레닌 영묘 · 크렘린 벽 묘지 · 소련 최고회의 · 소련 장관회의 · 헌법
블라디미르 레닌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유리 안드로포프 · 콘스탄틴 체르넨코 · 미하일 고르바초프
최고지도자(서기장) · 국가수반 · 대통령
군사 소련군(장비 · 소련 육군 · 소련 해군 · 소련 공군 · 소련 방공군 · 소련 전략로켓군) · 스타프카 · 소련 국방장관 · 스페츠나츠 · 정치장교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열병식
소련의 핵개발(RDS-1 · 차르 봄바 · 세미팔라틴스크) · 소련군 vs 미군 · 소련군 vs 자위대 · 대외전쟁
치안 체카 · NKVD · KGB
경제 경제 · 경제사 · 소련 루블 ·
인문 민족 · 언어 · 종교
역사 역사 · 러시아 혁명 · 러시아 내전 · 신경제정책 · 대숙청 · 독소 폴란드 점령(카틴 학살) · 대조국전쟁 · 소련-일본 전쟁 · 냉전(6.25 전쟁 · 스푸트니크 쇼크 · 쿠바 미사일 위기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1980 모스크바 올림픽)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소련 존속 여부 국민투표 · 8월 쿠데타 · 소련 붕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외교 외교 · 미소관계 · 소련-유고슬라비아 관계(티토-스탈린 결별) · 중소관계(중국-소련 국경분쟁 · 중소결렬) · 나치 독일-소련 관계(독소 불가침조약) · 독러관계 · 북소관계 · 한소관계 · 소련-일본 관계 · 소련-몽골 관계 · 소련-대만 관계 · 친소 · 소비에트 제국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인테르코스모스
문화 문화 · 사회주의 리얼리즘 · 사미즈다트
막심 고리키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미하일 숄로호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스트루가츠키 형제
블라디미르 비소츠키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DDT(밴드) · 키노
교육
요리
공휴일
과학 우주 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 · 반작용 추진 연구 그룹 · 세르게이 코롤료프 · 블라디미르 첼로메이 · 유리 가가린 ·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 알렉세이 레오노프
스푸트니크 · 소유즈 우주선 · 보스토크 계획 · 보스호드 계획 · 살류트 프로그램 · 미르 우주정거장
기초 소련의 기초과학 · 토카막 · 러더포듐 · 더브늄 · 시보귬 · 보륨
표트르 카피차 · 레프 란다우 · 이고르 탐 · 그리고리 마르굴리스 · 안드레이 사하로프 · 파벨 체렌코프
스테클로프 수학 연구원 · 레베데프 물리 연구소 · 란다우 이론물리학 연구원
}}}}}}}}} ||

[1] 위에서 시계방향으로 장진호 전투 당시 후퇴하는 미국 해병대, 인천 상륙 작전, 미군 M46 패튼 전차 앞의 한국 피난민, 발도메로 로페즈 중위가 이끄는 미 해병대 (인천 상륙한 미 해병대), 미군 F-86 세이버 전투기.[2] 유엔군의 최대북진선의 경우 선 이남의 지역을 동시에 점령한 것이 아닌 단순히 최대 북진 지점을 연결한 선이다. 서부전선에서 초산까지 진격했을 때 동부전선에서는 이원까지 진격한 상황이었고, 동부전선에서 혜산청진까지 진격했을 때 서부전선에서는 중국 인민지원군의 개입으로 전선이 청천강 부근까지 내려온 상황이었다.[3] 1953년 7월 27일 22시부터 휴전 상태이다. 정전 협정 이후에도 몇 차례 군사 충돌이 있긴 했지만 현재 실질적으로 전쟁이 '진행 중'이라고 보기는 어려우며 대법원도 딱히 통일된 판단을 하지 않는다. 이런 관계로 만일 남북한 간에 직접적인 교전이 다시 벌어질 경우 이를 6.25 전쟁의 연장선으로 봐야 하는지, 아니면 새로운 전쟁으로 봐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현재까지도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4] 제주도, 울릉도, 독도에서는 섬은 물론이고 인근 해역에서도 교전이 없었다. 다만 대한해협 해전 등 본토 연안과 서해 5도, 거제도 등 도서 지역에서는 많은 전투가 있었다.[5] 인도네시아 독립전쟁이 끝난 직후 자원자에 한하여 참전했다.[6]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가 과거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에서 영국을 비롯한 연합국의 도움을 받아 이탈리아를 물리친 계기로, 황실의 친위대 소속 군인들도 포함된 칵뉴 대대가 창설되어 파병되었다.[7] 중국 인민지원군의 형식으로 참전하였다. 당대에는 중화민국(대만)이 국제사회에서 정통 중국으로 인정받으며 그에 따른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 현대에 중국이라고 일컬어지는 중화인민공화국은 국제사회에서 'Red China', 한국에선 '중공'으로 불리우는 등 정통 중국으로 인정받지 못하였다.[8] 군사 고문단 및 무기 지원, 극비리에 소련 공군 참전. 2024년 소련의 후신인 러시아 대통령 푸틴이 북한과의 정상회담에서 '전투비행'이 있었음을 언급하였고 소련 조종사들의 참전 보고서도 공개되며 공공연한 비밀이었던 소련의 참전 여부는 더이상 비공식이 아니게 되었다. 해당기사[B] 미국은 소련과 북베트남의 참전을 알면서도 모른 척했는데 이는 제3차 세계 대전으로 번질 우려 때문이었다.[10] 북베트남 내에 의용군을 차출하여 중공군 군복을 입고 위장시킨 후 중공군 소속으로 비밀리에 참전. 한월관계를 고려하여 베트남은 언급하지 않고 있다.[B] 미국은 소련과 북베트남의 참전을 알면서도 모른 척했는데 이는 제3차 세계 대전으로 번질 우려 때문이었다.[12] 이탈리아는 6·25전쟁 발발 5년 후인 1955년 12월 22일에 UN에 가입했지만 6·25전쟁 당시에는 유엔군의 이름으로 참전하였다. 링크. 병력도 파병했지만 전원 군의관간호장교뿐이며 전투병력은 없다.[A] 제3세계 중립국으로서 전투병력이 아닌 의무부대를 파견하였고 포로교환 감시단 역할도 하였다.[14] 서독 정부는 1953년 5월 80여 명 규모의 의료 지원단을 대한민국에 파견해 정전 이후인 1954년 5월부터 약 5년간 의료 지원 활동을 벌였다. 하지만 의료 지원 활동 시점이 정전 이후였다는 이유로 의료 지원국으로 인정받지 못했으나 2018년에야 대한민국 국방부는 공식적으로 독일을 6번째 의료 지원국으로 인정했다.# 이에 따라 전쟁기념관이나 UN 평화 기념관 등지에서 내용 수정 작업이 이루어졌다.[15] 동독은 1949년부터 1959년까지 서독과 같은 국기를 사용했다.[A] [17] 참전 및 의료지원국 제외[18] 당시에는 카스트로 정권 수립 전이어서 국군 측에 의료 및 물자 지원을 했다.[19] 물자 지원 이외에도 '멕시코와 미국 간 상대국 거주 자국민 병역에 관한 협정'에 따라 미국에 거주하던 멕시코 국적자들이 미군에 소속되어 참전했다. 6.25 전쟁/관련 기록 참조.[20] 당시 일본은 주권이 없고 미군 점령하에 있었기 때문에 물자 지원 이외에도 일부 일본인들이 기뢰제거에 동원되었으며 미군의 해상운송 등에 미군 점령하 일본인들이 동원되었고 일본의 군무원이 군인(미군 소속)으로 동원되어 일부가 전투에 참가한 기록도 있다. 6.25 전쟁/관련 기록 참조.[21] 쿠바와 마찬가지로 당시엔 사회주의 계열의 바트당이 정권을 잡기 전이라서 국군 측으로 의료 및 물자 지원을 했다. 또한 이 당시 UN 정회원국이 아니었다(1955년 UN에 가입했다.).[22] 헝가리 인민공화국은 제2세계에 소속되었지만, 당시 헝가리의 반소 감정이 컸기 때문에 양측을 모두 지원하였다. 결국 소련이 1956년 무참히 밟아버려 위성국으로 만들어버린다. 의외인 점은 당시 헝가리 서기장이 "작은 스탈린"이라 불릴 정도로 열렬한 스탈린주의자인 라코시 마차시였다는 점이다.[23] 3개 사단 파병을 결정하며 참전 의사를 밝혔으나, 확전을 우려한 미국의 반대로 참전하지 못했다. 그 대신 물자를 지원했다.[24] 유럽에서 가장 큰 규모의 병력을 파병하려 했으나 무산되었고, 그 대신 물자 지원을 했다.[25] 다비드 벤구리온 총리가 참전 의사를 밝혔으나, 이스라엘 노동당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그 대신 물자를 지원했다.[26] 참전국의 파병 책임자 및 통수권자는 볼드체로 표기. 북한 측 지휘관은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대한민국사연표에 근거함.[27] 에티오피아군 사령관으로, 최종 계급은 중장. 1974년에 공산 정권이었던 멩기스투 정권이 벌인 '60인 학살 사건' 당시 부르주아 및 황실과 연관되어 있다는 이유로 처형되었다.[28] 당시 일본은 주권이 없고 미국 점령하에 있었기 때문에 미군 소속으로 일본의 군무원들이 군인으로 전환되어 전투한 기록들이 있다. 또한 미군에 의해 일본 특별 소해대가 편성되어 원산, 군산, 인천, 해주, 진남포 등에서 기뢰제거 등 목적으로 1,450명이 동원되었다.#[29] 초기 인원. 전쟁중 계속 점령지에서 징집을 했기에 정확한 수는 알기 어렵다. 후지이 히데토(藤井秀人) 같이 국적이 일본인인데, 해방 후 대한민국에 남았다가 6.25 전쟁이 발발하고 조선인민군 징집 → 국군에 포로 → 한국군 편입 → 일본 귀국한 사람도 있다.[30] 중공군 개입 당시 중공군의 일원으로 파병한 병력으로 실제 파병 인원은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측된다.[31] 대한민국은 중동부 전선에서 대폭 북상한 반면 북한은 서부 전선에서 남하하며 기존의 삼팔선과 다른 분계선이 형성되었으며, 대한민국은 태봉국 철원성, 금성천, 금강산, 오성산 이남 지역을 수복하여 중동부 전선이 약 38km 북상했다. 북한은 개성시, 개풍군, 연백군, 강령&옹진반도를 점령하였다. (이후 이 지역들을 신해방지구로 북한에 편입). 결과적으로 남한이 수복한 영토가 북한에 뺏긴 영토보다 더 많아 전쟁 전의 삼팔선 대치 시기보다 남한 면적이 4,000km² 더 증가했다. 한반도 전체를 먹으려던 북한은 결국 남한에게 땅만 더 내어 준 꼴이 된 것이다. 안보적으로도 삼팔선보다 방어가 더 유리한 편이라는 의견도 많다. 하지만 관광이나 문화유산은 삼팔선이 더 낫다는 의견이 많다. 옹진은 금광과 온천이 있었는데, 속초보다도 큰 도시였다. 연백은 옹진보다 인구가 많으며 한반도 최대의 염전이 있었다. 무려 개성은 고려의 수도라 가옥이나 관광거리가 많다. 북한도 이를 알기에 관광지로 만들어놨다. 다만 38선 기준으로 개풍(개성의 교외지역), 연백 전 지역이 남한 영토였던건 아니다.[32] 또한 일본 특별 소해대는 1950년 11월 15일엔 원산 앞바다에서 예인선 LT-636호가 침몰해 일본인 선원 22명 사망한다. GHQ와 외무성 간에 교류된 통신기록 등 자료에서 알게 된 일본인 선원의 사망자는 최소 57명에 이른다.[33] 이대근, 현대한국경제론: 고도성장의 동력을 찾아서, 경기: 한울 아카데미, 2008, p.60[34] 공산군의 경우 누락된 수치가 많기에 정확한 수치 추산은 힘들다. 그래서 자료를 보면 온갖 추측이 다 있다. 다만 중국과 북한과는 다르게 소련 측 자료는 확실한데, 소련군 사망자는 299명, 335대의 각종 군용기 손실.[35]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에치슨 라인은 스탈린의 남침 허락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고도 한다.[36] 소련 문서는 매우 파편적이고 제한된 기록이기에 6·25 전쟁의 기원을 해명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37] 김태우, "한국전쟁 연구 동향의 변화와 과제,1950-2015." 『한국사학사학회』, 32권, 2015, pp. 325-364[38] 다만 북한은 전통적인 '양반'이 드문 지역이었다. 대신 현대 한국과 비슷하게 경제적인 격차만 있었는데 이들이 숙청의 표적에 포함된다. 이런 숙청을 피해 한국에 온 사람들이 세운 기업이나 학교 등이 현재도 남아 있다. 함석헌이나 황순원 같이 북한의 이러한 숙청을 목격한 경우 북한에서는 머슴 같은 사람들의 권력욕을 부추겨서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들을 처리하였음을 주장하였고, 심지어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신의주 반공학생사건이라고 하여 탱크와 항공기가 시위 진압에 동원되기도 했다. 함석헌은 "김일성의 무리가 계급 갈등이 적은 이북에 '어거지 혁명'을 일으켰다"며 분개했다. 《카인의 후예》라는 작품에서도 개판이 된 북한의 모습이 등장한다. 여기서 트라우마에 시달린 사람들이 제주 4.3 사건에 가담하는 등 북한의 정국은 대단히 혼란스러웠으며, 이는 북한에서도 정당한(?) 계급투쟁으로써 인정하고 있다.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세계적으로도 상당한 대가를 치르지 않고는 고위층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을 제거할 수 없었다.[39] 서로 말이 다르긴 하다.[40] 문제는 이 형식적인 재판이라는 것도 말이 재판이지, 사실상 사람 하나 죽이려고 몰아가는 마녀사냥의 느낌이었다.[41] 이미일,〈6·25 전쟁 중 한국 민간인 납북 문제에 대한 전후 처리 현황과 과제〉[42] 1949년 8월 5일 〈연천주재지사업보고서〉"…반동분자들을 분열.와해시키고 납치함으로써 국토완정의 결정적 역할을 높일 임무…" 1950년 8월 17일〈북조선 군사위원회 결정사항 제18호〉"서울시임시인민위원장은 각 부 각 청의 요구에 맞추어 북조선의 농업 및 산업 현장으로 50만 명을 후송하도록 한다."[43] 브루스 커밍스, 조행복(역),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전쟁』, 현실문화, 2017, p.256~262를 참조[44] 그나마 라스쿨라치바니예 같은 부농도 탄압하는 정책이 북한과 비슷하기는 하지만, 이런 정책은 훗날 비판을 자국에서도 받을 수는 있었다. 게다가 북한 쪽에서 농업개혁에 동원된 사람은 사회주의 이론에 무지한 사람들이 많았고, 봉건적 계급제를 악용하여 복수심을 불러일으키고자 문맹이나 빈농을 타락시킨 경우가 많았다. 괜히 스탈린조차 김일성이 너무 나간다고 주장한 것이 아니었다.[45] 국민당의 토지개혁을 공산당도 이어받다가, 훗날 대륙을 석권하고 몇 년 지나서야 국유화를 시킨 것이었고 그런 정책도 덩샤오핑 이후 철회될 수 있었다.[46] 아예 북베트남에 통일된 남베트남 쪽은 적절한 합의점을 못해 농업 집산화를 추진하지 잘 못했을 정도나, 인민군이 점령한 남한 땅에서는 그렇지 않고 총칼로 이를 강제했다.[47] 인민재판 문서에 나오듯, 특히 초창기 북한군의 점령지 관리는 그야말로 개판이었다.[48] 전쟁 범죄를 저지른 아군을 처형하기도 했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6.25 회고록을 보면 중국군을 꽤 고평가한 장군들이 있다. 그런데 학살이나 약탈을 명령하지 않았는데, 자기들 마음대로 하면 처벌하는 게 일반적 군대라 딱히 특별한 건 아니다.[49] 어떤 중년의 미군은 젊은 중공군 병사가 몰래 풀어줘서 본대로 복귀할 수 있었는데, 중공군 병사가 풀어준 이유가 압권이다. (그 병사가 한 말) “난 어릴 적부터 항일 동지들이었던 미국인들을 만나보고 싶었다, 이제 그 소원을 이뤘으니 어서 여기서 떠나라.”[50] 미덕이기 이전에 생존을 위한 필요조건이다. 스탈린도 남 말할 처지는 아니지만 그가 그 "미덕"을 무시할 수 있었던 배경은 강력한 집권 체계와 전시 동원 체제가 완비된 다음이라 점령지 주민을 짓밟아도 전쟁을 수행하는 데 지장 없었기 때문이다.[51] 물론 중공군은 비뢰포 같은 빈자의 무기를 사용해서 직접 비교는 곤란하다.[52] 물론 항목에 들어가 보면 알겠지만 정말 아무 효용이 없는 것은 아니었다.[53] 1946년 2월 12일 미 육군에서 명예 제대하고 민간 버스 편으로 집으로 귀가하는 도중 화장실에 가고 싶어 휴게소 정차를 요구한 아이작 우더드 병장과 이를 거부한 버스기사 사이에 시비가 붙자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관들이 아이작 우더드 병장을 집단 구타 후 유치장에 불법 감금하고 부상당한 눈을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하여 실명에 이르게 한 사건으로 전미 유색인 지위 향상 협회(NAACP)에서 이 사건을 공론화하여 미국 정부의 흑백 분리 정책 철회를 이끌어냈다.[54] 당시에는 주요 전투 병력은 대부분 백인이었고 흑인황인종, 히스패닉등은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입대 자체가 힘들었다. 입대했더라도 대부분 비전투직에다 인종별로 나누었다. 지금이야 다민족국가의 대표 주자지만 이 시절만 해도 미국은 '백인의 나라'였다.[55] 아이러니하게도 당시 연대장 성씨가 화이트였다고 한다. 전쟁 전 한국 근무 경험이 있어서 백선엽하고도 안면이 있었다고 한다.[56] 지금처럼 피부색 따윈 상관없이 여러 인종의 병사들이 같은 참호와 막사에서 먹고 자며 부대끼는 풍경은 6·25 전쟁 당시에는 아주 생소한 모습이었으나 베트남전에 이르러서는 매우 당연시되었다. 물론 아직 인종 차별이 만연하던 시절이라 장교진은 대부분이 백인이었고 끼리끼리 어울리거나 패싸움을 하는 등 순탄치만은 않았다.[57] 그 유명한 마라카낭의 비극이 일어난 그 대회이다. 리우데자네이루 현지시각 기준 1950년 6월 24일 15시에 개막전이 열렸는데 리우데자네이루는 서울과의 시차가 12시간이지만 당시 대한민국은 서머타임을 실시하고 있었으므로 동시발생이 맞다.[58] 또한 본의 전 남자친구였던 타이거 우즈의 부친은 베트남 전쟁 참전 용사이다.[59] 그 때문에 작가의 어머니는 그 유엔군에게 고마워서 아프리카 고아를 입양하고 싶다고 말버릇처럼 말했고, 겨울만 되면 길가에 보이는 군고구마 장수의 모자를 보면 그 인민군이 생각나서 항상 고구마를 사 온다고 한다.[60] 콜 오브 듀티의 경우 몇몇 등장인물들의 배경으로 간간히 언급되었고 미래전을 다룬 어드밴스드 워페어에선 2차 한국전쟁 미션이 있기도 하다.[61] 전쟁 초기 낙동강 방어선으로 대한민국 국군이 밀려났을 때, 이승만 대통령이 측근으로부터 "제주도로 피난해야 한다"는 제안을 들었으나 이를 묵살했다고 한다. 월튼 워커 미8군 사령관은 아예 대한민국 정부서사모아로 이전하는 계획을 고려하기도 했는데, 이때 정부 이전 후보지 중에 제주도도 포함되어 있었다. 단, 제주도는 면적이 너무 좁고 농경, 식수 환경이 척박하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결국 후보지에서 제외되었다. 중공군이 전쟁에 개입하면서 1.4 후퇴로 대표되는 위기가 닥치자, 미국 합동참모본부유엔군사령부가 북한군과 중공군이 금강-소백산맥 방어선을 도달할 경우, 한국 정부를 제주도로 이전해서 차후 공세 전환의 거점으로 삼자는 구체적인 안건이 나왔지만 연합군이 서울을 재탈환하면서 백지화되었다.[62] 1930년대 중반 이후에 태어나 학도병으로 참전했던 이들도 21세기 기준으로 모두 70세 이상의 노인이 됐다. 젊고 건강한 청년들도 6월 하순의 더위와 땡볕 아래에서 야외 행사를 치를 경우 온열질환 관련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가 크다. 청년들보다 체력이 떨어지는 70대 이상의 노인들의 경우 온열질환 관련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몇 배나 더 높다.[63] 다른 하나는 일제강점기.[64] 비공식 참전국 포함[65] 일본계 미국인이었기에 당시 병역의무가 있어 징집되었다.[66] 훗날 학교에서 한국어를 배우던 쟈니스 소속 아이돌의 발음을 교정해주기도 했다.[67] 원서는 레이건 집권 초기인 81년에 나왔으나 한국어판은 페레스트로이카 이후에 나왔다.[68] 그렇다고 해서 웨더스비의 시각이 전통주의 시각은 아니다. 자세한 것은 6.25 전쟁/전쟁 발발참고.[69] 김학준은 주로 러시아학 관련 연구를 진행했다.[70] 베트남 전쟁에서의 미국과 엘리트들의 실수를 조명한 '최고의 인재들(The Best and the Brightest)'를 집필한 인물이기도 하다.[71] 참전 당시 끔찍한 기억을 증언하는 군인이나 학살이 일어난 지역의 주민 등[72] 한국전쟁 당시 글로스터 부대의 임진강 전투 에서 중공군의 포로가 됐고 석방 후 군에 남아 이후 대장까지 올라갔다. 한국에도 그의 회고록이 발간돼있다.[73] 이 영상의 심문 기록은 1급 군사기밀로 분류되어 미군은 일본인 당사자들에게 외부 발설을 금지하고 이 사실을 봉인해 왔다.[74] 호주국립대학교의 테사 모리스 스즈키 교수와 NHK에서 입수한 문서에 따르면 70명으로 나온다. 군무원 신분으로 통역/취사/수리/의무/운전 등을 담당했다.[75] 이들 중에 전사자도 나오게 되는데 하필이면 대전 전투[104], 다부동 전투[105] 등의 네임드급의 한국전쟁 주요 전투였다.[76] 일반적으로 전쟁의 명칭은 전쟁이 벌어진 돈바스 전쟁처럼 지역이나 펠로폰네소스 전쟁,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처럼 세력이나 국가의 명칭이 붙는 경우가 많다. 그도 아니라 기간이 긴 경우를 의미하고자 할 때는 백년전쟁이나 30년 전쟁처럼 전쟁이 일어난 기간을 넣기도 한다. 전쟁이 발발한 날짜를 넣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77] '인민공화국의 난리'란 뜻.[78] 물론 항왜원조의 조선은 옛 조선왕조라 오늘날의 남북한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 반면, 항미원조의 조선은 북한 한정이고 남한은 적의 입장에 있다. 정작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수도는 남한의 수도인 서울이다.[79] 고려청자 같은 고려시대 문화라도 일단 표현은 조선문화라고 한다.[80] 영국은 영일동맹이나 LON 시절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임을 공식 인정한 경력이 있어서, 일본과 원수가 된 뒤에도 조선의 독립이 껄끄러웠다.[81] 결정재상당시기사조선자유여독립. 상당한 시기에 조선을 자유 독립하도록 결정한다.[82] 영어 버전은 Korea이다.[83]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간행물 목록에서 확인 가능.[84]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자료 검색에서 확인 가능.[85] 하지만 이 견해는 The Korean War’라는 영어 표현에 대해서는 타당한 지적이지만 국문 명칭인 ‘한국전쟁’에 대해서는 약점이 있다. 한국(대한민국)이 수립된 후 벌어진 전쟁은 아직까지는 한국전쟁이 유일하기 때문이다.[86] 굳이 번역하자면 한국에서의 충돌, 한국 사태[87] Police Action(치안활동)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이 탓에 6.25 전쟁과 관련된 영문 유튜브 영상들에선 '한국전쟁이 이 정도로 규모가 큰 전쟁인 줄은 몰랐다'며 충격을 받는 미국인들의 댓글 반응을 종종 접할 수 있다.[88] 실제로 남한과 북한을 모두 표현할 때 남북이라는 표현을 쓴다.[89] 한국어 명칭으로, 정작 미국에서는 쓰이지 않는다. 미국은 남북전쟁을 그냥 미국 내전, 영어 표현으로는 American Civil War라고 자칭한다.[90] 대표적으로 베트남. 다만 이 쪽은 베트남 전쟁이라는 명칭이 따로 있다.[91] 다부동 전투 당시 방어 담당 구역을 제대로 지키지 않고 후퇴한 11연대 1대대 장병들에게 한 발언. 이 발언 직후 백선엽은 주머니 속 권총을 뽑아 사단장 일선 돌격을 감행한다. 참고로 김석원은 맨날 이런 짓 하다가 미군에게 일본군 출신답다고 찍혔다. 결국 누가 하느냐에 따라 인식이 다른 것이다.[92] 이는 정말로 가서 죽으라고 한 말이 아니라 원정군의 결의와 의지를 고취시키기 위한 상징적인 발언이다.[93] 미국이 주도하는 질서에 편입되고 국제적인 평판을 올리려는 계산도 있지만 1, 2차 세계대전에서 이탈리아가 침공하자 도움을 요청했음에도 끝내 무시당하고 이를 아득바득 간 자신의 경험에서 나온 것으로, 집단 안보를 실현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냈다고 볼 수 있다.[94] 보병, 기병, 포병, 저격병 중에서 최상위의 성적을 낸 초일류를 혹독하게 훈련시켜 구성된 부대로 창과 방패를 든 기병대가 기관총을 들고 온 이탈리아군을 여러번 깨부순 전적이 있으며 이탈리아군 내부에선 이 자들이 만나는 사람마다 성기를 자르고 다닌다는 헛소문이 돌았다. 6.25 전쟁에서는 스위스군의 훈련을 받은 황실 근위대말곤 별 다른 전력이 없었던 에티오피아의 상황을 고려하면 사실상 정예병 올인에 가까운 6,037명이 투입되어 253전 253승의 괴물같은 전적을 쌓았으며 중공군과 북한군 내부에서는 난생 처음보는 검은 귀신들사람을 잡아먹고 다닌다는 헛소문이 돌았다.[95] 한국전쟁 당시 프랑스는 인도차이나와 베트남 독립문제로 병력 대부분이 동남아에 주둔하고 있어 어쩔 수 없이 본국에서 대대급인 외인부대를 파견하는데, 당시 대대장에 위임하려면 중령이어야 했음으로 중장이던 그를 중령으로 강등시킨 후 위임시키는 방법밖에 없었다고 한다. 게다가 본국 프랑스에선 이미 2차대전 전쟁영웅인 그가 제발로 가려는 걸 만류하려는 의도도 있었다. 당시 국방차관인 막스 르젠이 "미군은 대대장이 중령인데 중장인 당신이 대대장을 하는 건 이치에 안 맞는다." 라는 식으로 만류했다. 하지만 위의 말을 남기며 스스로 강등을 자처하여 파병되었고 몇 개월 후에 본 계급인 중장 계급을 돌려받는다.[96] 1950년 10월 1일 대한민국 국군 제3보병사단이 강원도 양양에서 삼팔선을 넘어 북한 영토로 진격을 시작한 직후 한 발표.[97] 1950년 11월7일 피난 당시 만포진에 있는 소련대사관 파티에서 만취한 김일성이 박헌영 부수상과 전쟁에 대한 이견으로 언쟁할 때, 대리석으로 된 잉크병을 박헌영에게 던지며 한 말이었다.[98] 1950년 6월 28일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한국에 대한 군사적 개입 행위를 유엔의 경찰 행위라고 부를 수 있습니까?" 라고 질문한 기자에게 트루먼이 한 대답.[99] 1953년 7월 정전 협정이 체결된 이후 전쟁 승리를 자축하는 이른바 '전승열병식'에서 한 연설 내용 #[100] 6.25 전쟁과 관련이 깊지 않지만 정치인이나 외교관이 아닌 일개 변호사가 무서울 만큼 한반도의 중요성을 정확하게 통찰했다고 볼 수 있다. 이 발언을 한 후세 다쓰지는 6.25 전쟁 발발과 정전까지 모두 지켜보고 사망하였다. 이후 발칸반도에서도 구 유고 내전, 그리스와 마케도니아 연방의 대립, 키프로스 분쟁을 비롯한 수많은 문제들이 발생하고, 그것을 구 1세계 및 유럽권 전체가 떠안게 됨으로써 이 발언이 역으로 실행되기도 하였다. 뭐 이 발칸반도는 1차 대전의 원인으로써 지목된 것이고 구 유고 내전은 그렇게 전 세계에 충격으로 다가오지는 않았다.[101] 여야, 김대통령의 6.25 만주 폭격 발언 놓고 치열한 성명전[102] 김영삼대통령의 6.25만주폭격주장 회고 관련 안보 논쟁 가열 1996.6.26 kbs뉴스 김영삼 대통령 만주 폭격 발언 일파만파 여야 만주 폭격 공방 김영삼대통령의 6.25만주폭격주장 회고 관련 안보 논쟁 가열 1996.6.26 kbs뉴스 김영삼 대통령 만주 폭격 발언 일파만파 여야 만주 폭격 공방[103] 국군의 전투보병휘장은 오로지 50년대에 6.25 전쟁의 포상으로만 수여되고 폐지된 것으로 추정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