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2 17:38:23

M4 (105)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미군 기갑차량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808000> 제2차 세계 대전
미군기갑차량
전차 <colbgcolor=#808000> 경전차 M1, M2(A1/A2/A3/A4), M3(A1/A3), M5(A1), M22 로커스트, M24
중형전차 M2A1, M3 (A1, A2, A3, A4, A5, A6), M4, M4A1 "터틀백", M4A1 (76) W, M4A1E8, M4A1E9, M4 "컴포지트 헐", M4A2, M4A2 (76) W VVSS, M4A2E8, M4A3, M4A3E4, M4A3 (76) W, M4A3E8, M4A3 (75) W HVSS, M4A4, M4A6
중전차 M6, M26 퍼싱, T26E4-1(M26A1E2) 슈퍼 퍼싱
장갑차 차륜 장갑차 M8 경장갑차, M20 유틸리티 카, M3 스카웃 카, M3A1 스카웃 카, 포드-오스트레일리아 S1 스카웃 카, T18 보어하운드, T24 스카웃 카, M5 중형장갑차, T27 장갑차
궤도형 장갑차 M39 AUV
반궤도 장갑차 M2, M3, M5, M9
상륙장갑차 LVT, LVT(A)-4
자주포 자주박격포 M4 MMC, M4A1 MMC, M21 MMC
돌격포/돌격전차 M8 HMC "스콧", M4 (105) VVSS, M4A3 (105) VVSS, M4 (105) HVSS, M4A3 (105) HVSS, T26E2 시제 중전차P
자주곡사포 M7 HMC M12 GMC, M40 GMC, M43 HMC
대전차 자주포 M6 파고, M3 GMC, M10 GMC, M10A1 GMC, M18 헬캣, M36 GMC, M36B2 GMC, M36B1, M8A1 GMC
자주대공포 M13 MGMC, M14 MGMC, M15 CGMC, M15A1 CGMC, M16 MGMC, M17 MGMC, M19 더스터
차량 CCKW, 윌리스 MB, 포드 GPA, DUKW, 스튜드베이커 US6, M4 포병트랙터, M29 위즐, 인터내셔널 하베스터 M24 1톤 트럭, M25 드래곤 웨건
모터사이클 할리 데이비슨 WLA, 할리 데이비슨 ELA, 인디언 640B, 인디언 741, 인디언 340, 인디언 M1, 인디언 841
프로토타입 T1, T1 경전차, M1, T2, T7, M7, M3A2, M4A1 (T1), M4A4E1, T14, T20, T21, T22, T23, T25, T28,
T29, T30, T32, T34, T40, T49, T67, T92, M38 울프하운드, T55E1 GMC
노획 차량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신포탑 치하S, 하고S, 4식 포전차 호로S, 치누S,5식 중전차 치리S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1호 전차 C형E, 2호 전차 F형, 2호 전차 G형,3호 전차, 4호 전차, 5호 전차 판터E, 6호 전차 티거E, 티거 2E,M3 하프트랙E, T-34-76E, T-26E, 7TPE, BT-7E, KV-2E, 르노 FTE, 소뮤아 S35E, 세모벤테 90/53E, 세모벤테 149/40E, 4호 구축전차 (A)E, 게쉬츠바겐 티거E, 로이머 SE, 판터IIE, 세모벤테 149/40E, Sd.Kfz. 231 8 räd, 6호 중구축전차 야크트티거E, Sd.Kfz. 251/8E, Sd.Kfz. 250/9E
기술교류파일:소련 국기.svg T-34 1941년형, KV-1 1941년형
파일:영국 국기.svg 마틸다 II, M4A3 17 Pdr, 처칠 III, 크루세이더 III
※ 윗첨자S: 태평양 전선에서 노획.
※ 윗첨자E: 유럽 전선에서 노획.
※ 윗첨자P: 전시 중 프로토타입으로 생산되었으나 전후 제식화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

Medium Tank, M4
M4 M4A1, M4 컴포지트 헐 M4A2 M4A3 M4A4 M4 (105)
기타 형식
운용국 미디어
파일:M4_105_Thumbnail.jpg
M4 (105)
1. 개요2. 제원3. 내부4. 개발사5. 형식
5.1. M4 (105)
5.1.1. 초기형5.1.2. 후기형
5.2. M4A3 (105)
5.2.1. 초기형5.2.2. 후기형
5.3. M4 (105) 컴포지트 헐
6. 파생형
6.1. 미국
6.1.1. 결합 개조 파생형
6.1.1.1. USA 30103950번차
6.1.2. 장비 추가 파생형
6.1.2.1. M4 (105) 셔먼 도저6.1.2.2. POA-CWS-H56.1.2.3. M4A3 (105) (T121)6.1.2.4. M4A3 (105) '포큐파인'
6.2. 이스라엘
6.2.1. 현대화 개수형6.2.2. 무장 교체 파생형
6.2.2.1. 크루프 셔먼
6.2.3. 비무장 개수 파생형
6.2.3.1. 셔먼 사격표적차량
6.3. 독일연방공화국
6.3.1. 비무장 개수 파생형
6.3.1.1. M4A3 관측차
6.4. 스웨덴
6.4.1. 결합 개조 파생형
6.4.1.1. 셔먼 IB/II
7. 평가
7.1. 장점7.2. 단점7.3. 총평
8. 실전
8.1. 대전기
8.1.1. 제2차 세계 대전
8.1.1.1. 서부전선
8.1.1.1.1. 오버로드 작전8.1.1.1.2. 벌지 전투8.1.1.1.3. 이탈리아 전선8.1.1.1.4. 독일 본토 진격전8.1.1.1.5. 오스트리아 전선
8.1.1.2. 태평양 전쟁
8.1.1.2.1. 필리핀 탈환전8.1.1.2.2. 오키나와 전투
8.2. 냉전
8.2.1. 인도네시아 독립전쟁8.2.2. 중동전쟁
8.2.2.1. 이스라엘 독립전쟁
8.2.3. 6.25 전쟁
8.2.3.1. 창녕·영산전투8.2.3.2. 인천 상륙 작전
8.2.4. 니카라과-온두라스 국경분쟁8.2.5. 니카라과 혁명8.2.6. 이란-이라크 전쟁
8.3. 현대전
8.3.1. 이라크 전쟁
9. 운용국
9.1. 아메리카
9.1.1. 북아메리카
9.1.1.1. 미국
9.1.2. 남아메리카
9.1.2.1. 니카라과
9.2. 유럽
9.2.1. 서유럽
9.2.1.1. 영국9.2.1.2. 프랑스9.2.1.3. 네덜란드
9.2.2. 북유럽
9.2.2.1. 스웨덴
9.3. 아시아
9.3.1. 서아시아
9.3.1.1. 이스라엘9.3.1.2. 이란9.3.1.3. 이라크
9.4. 아프리카
9.4.1. 남아프리카
9.4.1.1. 남아프리카 공화국
10. 미디어
10.1. 게임
10.1.1. 워 썬더10.1.2. Steel Division 시리즈
10.1.2.1. Steel Division: Normandy 410.1.2.2. Steel Division 2
10.1.3.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시리즈
10.1.3.1.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10.1.3.2.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3
10.1.4. 메탈슬러그 시리즈
11. 모형
11.1. 프라모델
11.1.1. 아카데미과학
11.2. 브릭
11.2.1. 브릭매니아
12. 참고 문헌13. 둘러보기

1. 개요

자유 프랑스 육군 소속 M4 (105) "모그랜" 기동영상
"M4 (105)"M4, M4A3 셔먼 중형전차를 기반으로 하여 1944년부터 제작된 M8 스콧의 후속 돌격포 시리즈를 말한다.

M4 (105), 일명 105mm 셔먼은 제2차 세계 대전에 개발된 돌격포로서, 냉전시기까지 활발히 사용된 M4 셔먼의 방계 중 하나이다.

해당 파생형은 전차대대 HQ와 각 전차 중대, 기갑보병대대에 3량씩 돌격포소대로 편제되어 사용되었으며, 주로 보병지원 임무 및 연막으로 적의 시야를 가리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2. 제원

<colbgcolor=#808000> Assault Tank, M4 (105)
제원
개발 기관 미 육군 병기부
개발 연도 1943년
생산 기관 디트로이트 탱크 조병창
생산 연도 1944년 2월 ~ 1945년 3월
생산 댓수 M4 (105): 1,641대
M4A3 (105): 3,039대
도합 4,680량
운용 국가 미국 포함 도합 10여개국 사용
운용 연도 1944년 ~ 현재[1]
전장 6.09m
전폭 2.62m
전고 2.74m
탑승 인원 5명 (전차장, 조종수, 포수, 장전수, 부조종수)
전비 중량 31.7t
전면 장갑 전면 46도 경사장갑 63mm
전면 하부 변속기 커버 장갑 101.6mm~114.3mm
측/후면 장갑 측,후면: 38.1mm
상/하부 장갑 엔진 데크, 차체 상판, 바닥: 25.4mm
포탑 장갑 포탑 전면 76.2mm
측후면 50.8mm
포신 가드 88.9mm
포방패 50.8~76.2mm
현가 장치 초기형: 수직 벌류트식 서스펜션
후기형: 수평 벌류트식 서스펜션
엔진 초기형: 콘티넨탈 R-975-C1 9기통 엔진
후기형: 포드 GAA V8 엔진
최고 출력 초기형: 400hp
후기형: 500hp
사용 연료 가솔린
출력비 초기형: 12.6hp/t
후기형: 15.77hp/t
항속 거리 193km
최고속력 전진: 42km/h, 후진: 6km/h
주무장 105mm 곡사포 M4 (66발) 1문
부무장 대공용 M2HB 1정
M1919A4 기관총 2정

3. 내부

파일:M4A3_105_sherman_HVSS_Cutaway.png
M4A3 (105) HVSS 내부 상세도
"M4 (105)" 시리즈의 대략적인 내부는 상단의 도면과 같다.

우선 설명할 주무장인 M4 곡사포는 미 육군이 사용하던 M2 / M101 계열 105mm 곡사포주퇴복좌기 스프링을 간소화하고 전차 차체에 실을 수 있도록 경량화한 모델로서, 기존의 화력은 계보상 형인 M7 프리스트와 동일하였으며, M1 고폭탄과, M84 연막탄 이외에도 M67 대전차고폭탄을 사용 가능하였는데, 대구경인 만큼 맞출 수 있다면 적의 기갑차량에도 매우 효과적이었겠지만 포구초속이 낮았기에 적을 정확히 맞추기는 어려웠다.

구동계는 초기에는 M4 셔먼의 컨티넨탈 9기통 성형엔진을 사용하였으나 M4A3의 차체를 유용하며 포드 GAA 엔진을 사용하면서 출력과 항속거리가 증가하였으며, 추가로 M4A3를 운용하는 부대에서 동류전환으로 수리가 가능했기에 정비성이 좋아지는 장점도 얻을 수 있었다.

다만 전후 개량 이전에 M4 (105)는 엔진에서 포탑으로 이어지는 동력전달장치가 없어 난전 시 애로사항을 겪기도 하였으며, 해당 단점은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해결되었다.

또한 105mm 셔먼은 보병지원에 특화되어 있다는 특성 상, 공병전차로도 굉장히 유용했는데, 이 덕분에 수많은 105 셔먼이 개수되어 공병전차로도 활용되었다.

4. 개발사

파일:m4a4_35.jpeg.jpg
M4A4E1
M4 (105) 시리즈의 시조는 M4A4를 베이스로 하여 1943년 개발된 "M4A4E1"에서 시작하였다.

해당 파생형은 시험용으로 제작된 이후,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셔먼 차체에 105mm 곡사포를 사용해도 무리가 가지 않으며, 임무 수행을 충분히 해낼 수 있다는 결론을 확인하게 되어 이후 M4(105)와 M4A3 (105)가 제작되는 데에 가교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당시 M8 스콧이 이미 있었던데다, 미 군부에서는 이에 미지근한 반응을 보여 양산허가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가 75mm M3 포의 위력 부족 및 대보병 화력의 증강이 필요하다 판단하여 M4 셔먼 차체에 105mm 곡사포를 장착한 보병지원용 돌격포의 생산을 허가하게 되었으며, 1944년 8월 경 M8 스콧의 제작이 중지되고 해당 파생형이 생산되게 되었다.

5. 형식

5.1. M4 (105)

5.1.1. 초기형

파일:M4_105_1.jpg
M4 (105) VVSS
초기형인 M4 (105)는 1944년, M4를 베이스로 하여 만들어졌으며, M4A1과 동일한 9기통 성형엔진을 장착하였으나 차체 형식은 M4A2, M4A3와 같은 후기형식의 차체를 사용하였다.

총 생산대수는 800량이다.

5.1.2. 후기형

파일:105_Sherman_tank.jpg
M4 (105) HVSS
후기형인 M4 (105) HVSS형은 M4A3 (105) HVSS형이 생산되며 M4 (105)를 개수하며 HVSS 현가장치를 장착한 형식으로, 도합 841량이 생산되었다.

5.2. M4A3 (105)

5.2.1. 초기형

파일:Fort_bliss_M4A3_105.jpg
M4A3 (105) VVSS
M4A3 (105) VVSS는 기존의 컨티넨탈 9기통 엔진 대신 정비의 호환성을 위해 포드 GAA V8 엔진을 장착한 M4A3 형식으로 변환하여 생산한 형식으로, 생산 개시 이후 얼마 안가 하단의 후기형으로 생산이 전환되며 단종되었다.

총 생산 댓수는 500량이다.

5.2.2. 후기형

파일:M4A3 (105) W HVSS.jpg
M4A3 (105) HVSS
M4A3 (105) HVSS 기동 영상
후기형인 M4A3 (105) HVSS는 M4A3 (76) W HVSS가 생산되기 시작하며 동시에 기동성 개선을 위해 HVSS 현가장치를 장착한 형식이다.

2차 세계 대전 와중에 생산된 M4A3 (105) HVSS는 포탑 동력전달장치 및 주포 안정기가 없어 운용 인원으로부터 불만을 들었기에, 1945년 초에 생산 된 모델들은 이를 개선하였으나 전쟁이 종결되어 해당 개량형들은 한국전쟁에 투입되었다.

M4 (105) 시리즈 중 가장 생산량이 많으며, 도합 2,539량이 생산되었다.

5.3. M4 (105) 컴포지트 헐

파일:M4105detroit.jpg
M4 (105) Composite Hull
"M4 (105) 컴포지트 헐"는 M4 컴포지트 헐을 베이스로 하여 제작된 M4 (105)의 프로토타입으로, 1량만이 시제로 제작되었으며 현재 디트로이트 시에 야외 전시 중에 있다.

6. 파생형

6.1. 미국

6.1.1. 결합 개조 파생형

6.1.1.1. USA 30103950번차
파일:attachment/m26_m4_(2).jpg
USA 30103950
"USA 30103950번차"는 90mm M3 전차포를 장착한 차량의 부족으로 해당 M4 (105)의 포탑을 T26E3의 포탑으로 교체한 시제 차량이다.

비록 테스트 결과는 괜찮았으나 이렇게 된다면 이미 생산이 개시된 M36 GMC와 포지션이 겹치는데다, 1945년 1월 이전에 유럽 전선으로 이송이 불가하다는 점 등이 겹쳐 생산이 취소되었다. 워 썬더에서 M4/T26이라는 명칭으로 구현되어있다.

6.1.2. 장비 추가 파생형

6.1.2.1. M4 (105) 셔먼 도저
파일:Sherman_Dozer_M1_105.jpg
M4 (105) Sherman Dozer
M4 (105) 셔먼 도저 기동 영상
"M4 (105) 셔먼 도저"는 그 특성 상 보병을 지원하기에 안성맞춤인 M4 (105), M4A3 (105)에 M1 도저블레이드를 장착하여 만들어진 공병전차로, 제2차 세계 대전부터 한국전쟁까지 공병대대에서 활발하게 사용되었다.
6.1.2.2. POA-CWS-H5
파일:M4A3 (105) POA-CWS-H5.jpg
POA-CWS-H5
"POA-CWS-H5"는 제2차 세계 대전 와중, 하와이에 주둔하던 미 해병대에 지급된 M4 (105)의 파생형으로 원래는 상륙 작전 시 일본군을 제압하기 위해 추가로 화염방사기를 장착한 파생형이다.

그러나 태평양 전쟁이 끝나며, 해당 파생형 또한 사용할 전장이 사라져 애물단지로 남았는데, 5년 뒤,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미 해병대 소속으로 편제되어 실전을 치를 수 있었다.
6.1.2.3. M4A3 (105) (T121)
파일:T121 (2).jpg
M4A3 (105) (T121)
"M4A3 (105) (T121)"는 M4A3 (105)에 T121 마운트를 부착한 파생형이다.
6.1.2.4. M4A3 (105) '포큐파인'
파일:M4A3_(105)_hozer.jpg
M4A3 (105) 'Porcupine'
"M4A3 (105) '포큐파인'"은 6.25 전쟁 당시, 미 해병대 측에서 원활한 통신을 위해 M4A3 (105) HVSS에 통신장치를 장착하여 만들어낸 파생형으로, 한국전쟁 주간 2~5량이 개조되어 통신전차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6.2. 이스라엘

6.2.1. 현대화 개수형

6.2.1.1. M-50
파일:M-50_Latrun.jpg
אם-5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50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1.2. M-51
파일:M-51_M4(105_.jpg
אם-5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51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2. 무장 교체 파생형

6.2.2.1. 크루프 셔먼
파일:Krupp_sherman.webp
קרופ שרמן
"크루프 셔먼"은 이스라엘 독립전쟁 시기, M4 (105)의 폐차를 구매한 이스라엘 방위군 측에서 무장을 복원하기 위해 부족한 수량의 M4 곡사포 대신, 스위스로부터 가져온 동일 구경의 크루프제 7.5cm 야포를 장착하여 만들어낸 파생형으로, 단 1대만이 제작되었다. #

해당 파생형은 언듯 보면 M4 (105)로 볼 수 있으나, 포신의 두께와, 포를 감싸고 있는 가드를 통해 M4 곡사포가 아닌 것을 알 수 있다.

6.2.3. 비무장 개수 파생형

6.2.3.1. 셔먼 사격표적차량
파일:M4(105)_Sherman_Target_Tank.jpg
טנק שרמן "מפלצת"
"셔먼 사격표적차량"은 이스라엘에서 남아도는 M4 (105)를 베이스로 포탑을 탈거하고 상부를 막은 뒤, 양 측면에 표적기를 부착한 후, 큐폴라를 장착하는 개수를 거친 파생형이다.

해당 파생형은 전차 생도를 양성하는데 훈련용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퇴역하고 야드 라 시론 전차 박물관에 1량이 소장 중에 있다.

6.3. 독일연방공화국

6.3.1. 비무장 개수 파생형

6.3.1.1. M4A3 관측차
파일:M4A3 based fire control/observation vehicle.jpg
M4A3 Beobachtungs Panzer
"M4A3 관측차"는 주독미군이 운용하던 M4A3 (105) HVSS를 서독 측에서 인수하여 셔먼 VC의 무장이 제거된 포탑을 장착 후, 포수 좌석에 관측창을 추가로 증설한 뒤, 색을 새로 칠하는 개수를 거친 파생형이다.

6.4. 스웨덴

6.4.1. 결합 개조 파생형

6.4.1.1. 셔먼 IB/II
파일:Stridsvagn_Sherman_IB_II.jpg
Stridsvagn Sherman IB/II
"셔먼 IB/II"는 1947년과 1948년에 걸쳐 스웨덴군이 셔먼을 테스트하기 위한 목적으로 영국으로부터 셔먼을 수입하여 테스트 하던 와중, 75mm 셔먼에 대한 성능 테스트를 위해 셔먼 IB의 차체에다 셔먼 II의 포탑을 얹어 만들어낸 임시 파생형이다.

차체가 달라졌다는 점 이외에 차이점은 특이하게도 동축기관총구가 폐쇄되어 막혀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7. 평가

7.1. 장점

7.2. 단점

7.3. 총평

총평으로는 M7 프리스트, M8 스콧과 함께, 적의 벙커나, 토치카를 격파하기 힘든 상황에서 공군보다 더 가까히 있던 좋은 친구로 각인되었으며, 보병지원능력이 높았던 덕에 공병전차로도 활약하였고, 비교적 최근인 이란-이라크 전쟁에서도 이란군 측에서 보병지원용 자주포 개념으로 운용한 것을 근거로 해당 시리즈는 타 셔먼들에 비해 높은 보병지원능력을 토대로 오랫동안 사용될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다.

M4 (105) 시리즈는 비록 여러 단점이 있었지만, 세계 대전 종전 이후에는 전면에 나서서 싸우는 형태도 아니고, 공병전차나, 자주포 개념으로 운용되어 오래된 구식 전차라는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세계 각지에서 사용된 것으로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였다.

8. 실전

8.1. 대전기

8.1.1. 제2차 세계 대전

8.1.1.1. 서부전선
8.1.1.1.1. 오버로드 작전
파일:Normandy_1.jpg
오버로드 작전 당시의 미 육군 제7기갑사단 31전차대대 산하 B중대 소속 M4 (105) 19호차
노르망디 상륙 작전 직후, 1944년 8월에 전선에 투입되었으며, 프랑스 각 전역 및 벨기에에서 실전을 치렀다.

특히 선임이었던 M8 스콧에 비해 더 큰 구경과, 더 튼튼한 장갑을 지니고 있었기에 운용 인원들 및 보병들에게 굉장한 호평을 받았다.
8.1.1.1.2. 벌지 전투
파일:Battle_of_bulge_M4_105.jpg
벌지 전투 당시의 미 육군 제6기갑사단 산하 제15전차대대 소속 M4 (105) 16호차
벌지 전투 당시 제6기갑사단 산하 제15전차대대 소속으로 소수가 사용되었다.
8.1.1.1.3. 이탈리아 전선
파일:M4_105_Italy_1.jpg
이탈리아 전선 당시의 남아프리카 연방군 산하 제6기갑사단 프리토리아 연대 소속 셔먼 IB 소대
이탈리아 전선 당시, M4 (105)는 랜드리스의 일환으로 영국에 넘겨졌으나, 영국은 이미 자국산 전차를 개조한 근접 지원용 전차들이나, 센토어 전차 등의 전차들이 다수 있어 M4 (105)를 운용하지 않고 영연방군에게 넘겨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셔먼 IB라는 명칭을 부여하였다.

당시 남아프리카 연방군 소속으로 주 편제되었으며, 이탈리아 방면에서 알프스로 도망을 시도하던 독일군을 저지하고, 이탈리아 전역이 파시스트들의 손아귀에서 벗어나는데 공을 세웠다.
8.1.1.1.4. 독일 본토 진격전
파일:M4_105_1945_german.jpg
독일 본토 진격전 당시의 포격 지원 중인 미 육군 소속 M4A3 (105) HVSS
독일 본토 진격전 당시에도 다수의 차량들이 미군 소속으로 투입되어 포격 지원 임무를 수행하였으며, 결국 제3제국이 무너지는 데에 공헌하게 되었다.
8.1.1.1.5. 오스트리아 전선
파일:m4_105mm35.jpg
오스트리아 전선 당시의 미 육군 20기갑사단 산하 65기갑보병대대 소속 M4A3 (105) HVSS
오스트리아 전선 당시, 제20기갑사단 소속으로 다수의 M4A3 (105)가 투입된 기록이 남아있다.
8.1.1.2. 태평양 전쟁
파일:m4_105mm31.jpg
태평양 전쟁 당시의 미 육군 제763전차연대 소속 M4 (105) HVSS
태평양 전쟁 당시, M4 (105)는 상대적으로 투입될 기회가 적은 편에 속했는데, 이는 기존의 M4A2, M4A1등의 전차로도 충분히 일본군을 압박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미 해병대 소속으로 사용된 기록은 없으며, 대신 미 육군이 필리핀 탈환전과, 오키나와 전투 단 2개의 전역에서만 사용하였다.
8.1.1.2.1. 필리핀 탈환전
파일:pacific_M4_105.jpg
필리핀 탈환전 당시 견인 중인 미 육군 제775전차대대 소속 M4 (105)
필리핀 탈환전 당시 제775전차대대 소속으로 M4 (105)가 투입되어 마닐라 및 루손 섬 등 필리핀 도서지역을 해방하는데 공을 세웠다.
8.1.1.2.2. 오키나와 전투
파일:711th_M4 (105) HVSS.jpg
오키나와 전투 당시의 미 육군 제711전차대대 소속 M4 (105) HVSS
오키나와 전투 당시 제713전차대대 소속으로 M4 (105) W HVSS가 사용되어 포격 지원 및 전선돌파 등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8.2. 냉전

8.2.1.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파일:An M4A3(105) HVSS of the Netherlands Marines drives off an LCT onto the beach during a landing drill. Soerabaja, Indonesia, 1 May 1947..jpg
수라바야에 상륙하는 네덜란드 해병대 소속 M4A3 (105) HVSS[2]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당시 진압을 위해 네덜란드 해병대의 해병여단(Marinierbrigade)이 M4A3 (105) HVSS로 편성된 전차중대를 투입하였으나, 결국 패배하고 인도네시아의 지배권을 상실하였다.

8.2.2. 중동전쟁

8.2.2.1. 이스라엘 독립전쟁
파일:Israel_Sherman_M-4.jpg
이스라엘 독립전쟁 당시의 이스라엘 방위군 소속 M-4 셔먼
이스라엘 독립전쟁 직전, 이스라엘은 전력 증강을 위해 세계 각지에서 전차를 사들이고 있었는데, 이 중에는 M4 (105) 3대 또한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해당 폐차들은 전후, 미국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구동륜 및 주포를 손상시켜둔 상태였던지라, 이스라엘에서는 구동계는 어찌 복원이 가능하다 치더라도 무장을 복원하는 것에 난항을 겪었는데, 이 중 2대의 경우 M4 곡사포를 가져와 복원하는데에 성공하였지만 나머지 1대는 포가 부족하여 동일 구경의 크루프제 함포를 가져와 복원하였다.[3]

해당 전차들은 시나이 북부와 네게브 전투에 참여하여 손실 없이 혁혁한 공을 세웠으며, 전후 이스라엘 측 또한 M4 (105)를 30대를 추가로 들여오는데에 성공하였으나 이웃 국가인 이집트가 전력을 증강하며 해당 전차들로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 M4 (105)들을 일선에서 퇴역시켰다.

8.2.3. 6.25 전쟁

8.2.3.1. 창녕·영산전투
파일:창녕_오봉리_T-34.jpg
창녕·영산전투 당시 오봉리의 미 해병대 제1전차여단 소속 M4A3 (105) HVSS "43번차"
창녕·영산전투 당시 미 해병대 제1여단 소속으로 M4A3 (105) HVSS이 투입되어 클로버 고지를 사수하기 위해 전투를 치렀던 기록이 남아있다.
8.2.3.2. 인천 상륙 작전
파일:US-army_105sherman.jpg
인천 상륙 작전 당시의 미 해병대 제1전차여단 소속 M4A3 (105) HVSS
인천 상륙 작전 당시에도 미 해병대 소속으로 다수가 투입되었다.

8.2.4. 니카라과-온두라스 국경분쟁

파일:Onduras_Nicaragua_sherman_1957.jpg
니카라과-온두라스 국경분쟁 당시의 니카라과 육군 소속 M4A3 (105) HVSS
1957년 니카라과-온두라스 사이에서 발발한 국경분쟁 당시 니라카과 육군 소속으로 투입되었다.

8.2.5. 니카라과 혁명

파일:Nicaragua_civill_war_M4A3_105.jpg
니카라과 혁명 당시의 니카라과 국가근위대 소속 M4A3 (105) HVSS "4호차"
니카라과 혁명 당시에도 국가근위대 소속으로 투입된 기록이 남아있다.

8.2.6. 이란-이라크 전쟁

파일:IranM36jackson.jpg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의 이란 육군 제151요새화대대 소속 M4A3 (105) HVSS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이란 육군 제151요새화대대 소속으로 M36B1, M36B2등과 함께 M4A3 (105)가 사용되었으며, 이 중에 5량의 M4A3 (105)들이 이라크군에게 노획되었다.

8.3. 현대전

8.3.1. 이라크 전쟁

파일:M4A3(105)_iraq.webp
이라크 전쟁 당시의 이라크 국경 수비대 소속 M4A3 (105) HVSS[4]
이라크 전쟁 당시 이라크 측에서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이란군에게 노획하였던 차량을 국경 수비대 소속으로 투입시켰으나 활약하지 못하고 외려 미군에게 역으로 노획당하였다.

9. 운용국

9.1. 아메리카

9.1.1. 북아메리카

9.1.1.1. 미국
파일:72662050_980607058953128_3589108627996147712_n.jpg
제2차 세계 대전 기갑 콜렉션 소장 미 육군 소속 M4A3 (105) HVSS 네임드 차량 "프레드"
원조 사용국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 당시 사용 후, 1958년에 타 셔먼들과 같이 퇴역처리를 밟았으며, 이후 세계 각지에 팔려나가 사용되었다.

9.1.2. 남아메리카

9.1.2.1. 니카라과
파일:Nicaraguan National Guard M4A3 105 W HVSS during clashes with Sandinista rebels in Estelí, 1979..jpg
니카라과 국가근위대 소속 M4A3 (105) HVSS
1950년대 총 4량의 M4A3 (105) HVSS를 공여받아 해당 차량들을 1957년 국경분쟁 및 1979년 니카라과 혁명 당시 사용했으며, 현재는 전량 퇴역하였다.

9.2. 유럽

9.2.1. 서유럽

9.2.1.1. 영국
파일:Armourgeddon_M4_105.jpg
포스워스 아마겟돈 박물관 소장 영국 육군 소속 셔먼 IB 네임드 차량 "아머겟돈"
미국으로부터 공여받은 차량들 중 VVSS 형식은 "셔먼 IB"를, HVSS 형식은 "셔먼 IBY"라는 명칭을 부여했으며, 소량만을 사용하고 나머지 차량들은 영연방, 그 중에서도 남아프리카 연방에 편제하였다.
9.2.1.2. 프랑스
파일:M4_(105)-french.jpg
개인 소장 프랑스 원정군 산하 제12아프리카엽병연대 소속 M4 (105) 네임드 차량 "모그랜"
오버로드 작전 당시 미국으로부터 다수의 차량을 공여받아 냉전시기까지 사용하였다.
9.2.1.3. 네덜란드
파일:M4_105_HVSS.jpg
네덜란드 해병 박물관 소장 네덜란드 해병대 소속 M4A3 (105) HVSS
종전 직후 미국으로부터 M4A1E9와 함께 다수를 공여받아 해병대 소속으로 편제하여 사용하였으며, 현재는 행사용으로 소수를 운용 중에 있다.

9.2.2. 북유럽

9.2.2.1. 스웨덴
파일:Arsenalen_M4(105).jpg
아르세날렌 전차 박물관 소장 스웨덴 육군 소속 셔먼 IB
1947년에 영국으로부터 셔먼 IB 1대를 구매해 테스트 용도로 사용하였으며, 75mm 셔먼의 테스트를 하기 위해 해당 차체에 M4A1 포탑을 얹은 임시 개조차량을 만들어 테스트를 진행하기도 했다. 현재는 테스트 진행 이후로 원복되어 아르세날렌 전차 박물관에 소장 중.

9.3. 아시아

9.3.1. 서아시아

9.3.1.1. 이스라엘
파일:Israeli_M-4.jpg
야드 라 시론 전차 박물관 소장 이스라엘 방위군 소속 M-4 셔먼
이스라엘 독립전쟁 직전, 다수의 폐차를 구매하여 사용하였으며, 해당 폐차를 수리하는데 필요한 M4 곡사포가 부족해지자, 서독으로부터 105mm 크루프제 곡사포를 들여와 급하게 개수하여 사용하기도 했다.

이스라엘 독립전쟁 이후에는 M4A4과 함께 M-50, M-51으로 개수되거나, M-1 셔먼 등을 수입하여 퇴역하였으며, 현재는 야드 라 시론 전차 박물관에 2량이 소장 중에 있다.

또한, 이스라엘에서는 셔먼을 칭할 때, 사용한 포에 따라 구분하였는데, 이 때문에 M-4 셔먼이라는 명칭을 붙여 사용하였다.
9.3.1.2. 이란
파일:Iranian_M4A3_105.jpg
캠프 부링 소장 이란 육군 제151요새화대대 소속 M4A3 (105) 네임드 차량 "럭키"[5]
이란 제국 팔레비 왕조 시절 M4A1, M36B2 등과 함께 다수를 공여받아 사용했으며, 이란-이라크 전쟁 이후로 퇴역하였다.
9.3.1.3. 이라크
파일:Iranian_M4A3_105_wtih_HVSS_captured_by_Iraq.jpg
포트 녹스 소장 이라크 국경 수비대 소속 M4A3 (105) HVSS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이란으로부터 노획한 5량을 사용하였다.

9.4. 아프리카

9.4.1. 남아프리카

9.4.1.1.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M4A3_(105)_south_africa.jpg
기갑 학교 박물관 소장 남아프리카 연방군 소속 셔먼 IB
이탈리아 전선 당시 미국으로부터 공여받은 차량들을 사용했으며, 종전 이후에도 소수를 본국으로 가져와 1970년대 냉전 시기까지 사용하다 현재는 전량 퇴역하였다.

10. 미디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M4 셔먼/미디어
,
,
,
,
,

10.1. 게임

10.1.1. 워 썬더

파일:GarageImage_M4A3_(105).jpg
파일:GarageImage_M4A3_(105)_(France).jpg
M4A3 (105) HVSS ◉M4A3 (105) HVSS
워 썬더에서 M4A3 (105) HVSS가 미국 중전차 트리와 프랑스 중전차 트리 배틀 레이팅 3.0에 중형전차로 등장하며, 유저들 사이에서는 "105셔먼", "배고셔먼", "배고밀셔먼"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운다.[6]

중국 트리의 57mm LVT나, 소련 트리의 ZiS-30과 같은 고관통 구축전차를 제외하고는 해당 레이팅에서는 정면에서 흠집조차 내기 힘든 엄청난 정면 장갑을 자랑하며, 이 덕에 제초기로 악명을 떨치고 있는 장비이기도 하다.

다만 탄약 배치가 분산되어 있는데다, 탄두도 커서 측면에 피격당하면 유폭당하기 쉬우며, 포탑의 회전속도도 낮은 편에 속해 난전 시 불리하다는 단점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전면에 나서 포탄을 버티면서 전진하며, 아군들을 보조하는 공병전차 개념으로 운용하는 편이 이롭다.
파일:GarageImage_M4-T26.jpg
M4/T26
M26 퍼싱의 포탑을 올린 시제차량, USA 30103950번차가 M4/T26이라는 명칭으로 인게임 B.R 6.0에 등장하였다.
파일:GarageImage_Sherman_III-IV.jpg
스트리드스방 셔먼 III/IV
스웨덴 트리에서도 B.R 3.7 프리미엄 전차로 셔먼 IB/II가 셔먼 III/IV로 등장하는데,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어째서인지 컨티넨탈 엔진을 얹은 차체인 셔먼 IB에다 M4A1의 포탑을 장착했던 현실과 완전 다르게 M4A3 (105) 차체와 M4A2 초기형 포탑을 장착한채로 등장하였다.

10.1.2. Steel Division 시리즈

보병에게 매우 강력한 주포를 사용하며 대전차포도 순식간에 잡을 수 있다. 그러나 전차 상대로는 대전차고폭탄의 장거리 명중률이 낮아서 약한 편이다. 일반 셔먼들과 섞어서 전진하며 적 대전차포를 빠르게 처치해 주는 용도로 쓰인다.
10.1.2.1. Steel Division: Normandy 4
파일:Second_Wave_Unit_Img_034.webp
Steel Division: Normandy 44에 등장한 미 육군 소속 M4 (105)
미 육군 소속으로 M4 (105)가 등장한다.
10.1.2.2. Steel Division 2
파일:SD2_Armory_F247.webp
Steel Division 2에 등장한 미 육군 소속 M4 (105)
미 육군 소속으로 M4 (105)가 등장한다. 자유 프랑스군에서도 공여받아서 등장한다. 2km까지 포격해서 대전차포와 보병들을 갈아버릴 수 있다. 전차부대에 소수 섞어서 빠르게 적 대전차포를 처리해 주는 역할이다. HEAT탄을 발사해서 중형전차도 잡아볼 수 있지만 명중률이 낮다.

10.1.3.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시리즈

10.1.3.1.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
파일:20190428_204033.jpg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에 등장한 미군 소속 M4A3 (105)
미군 기갑 중대 전용 콜인 유닛으로 등장한다, 다사다난한 패치의 역사 끝에 라디오 넷이 몰수되고 장사정 고폭탄 포격 스킬을 받은 기갑 중대 전용 콜인 유닛이다.
10.1.3.2.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3
파일:1배고밀677335605831.jpg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3에 등장한 미군 소속 M4A3 (105)
도저 삽날을 장착한 M4A3 (105) 셔먼이 미군 진영의 유닛으로 등장한다.

10.1.4. 메탈슬러그 시리즈

파일:di-cokka-88.webp
모덴군 소속 2식 전차 디-코카
메탈슬러그에 등장하는 모덴군 소속의 전차 디-코카의 모티브 중 하나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11. 모형

11.1. 프라모델

11.1.1. 아카데미과학

파일:U.S MEDIUM TANK M4A3 SHERMAN 105mm HOWITZER & M1 DOZER BLADE.jpg
U.S MEDIUM TANK M4A3 SHERMAN 105mm HOWITZER & M1 DOZER BLADE
아카데미과학에서 한국 전쟁 중 창녕-영산 전투 당시 투입되었던 미 해병대 소속 M1 도저 장착형을 출시하였다.

11.2. 브릭

11.2.1. 브릭매니아

파일:M4(105) Sherman Allied Assault Tank.jpg
M4(105) Sherman Allied Assault Tank
브릭매니아에서 1종을 출시하였다.

12. 참고 문헌

1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84c> 파일:기네스 세계기록 로고.svg기네스
세계 기록
}}}
Highest rate of tank production
(가장 빠른 탱크 생산 속도)
<rowcolor=#fff> 대상 기록 장소 등재 시일
<rowcolor=#000,#fff>
M4 셔먼
총 48000량
미국
기네스 세계 기록 설명 페이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25285A><tablealign=center><tablebgcolor=#25285A>
파일:Chrysler Logo.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colbgcolor=#25285A> 소형차 - 선빔 · 입실론
준중형차 - 호라이즌 · 어벤저 · 네온 · PT 크루저 · 델타
중형차 - 200 · 세브링 · 시러스 · E클래스 ·
레 바론(GTS) · 새러토가(6세대) ·
알파인 · 코르도바 · 헌터
준대형차 - 180 · 300M · 300
대형차 - 로얄 · 로얄(호주형) · 에어플로우 · 윈저 ·
임페리얼 · 임페리얼 레 바론 · 에어스트림 · 뉴포트 ·
뉴요커 (14세대 · 스페셜)· 새러토가(1~5세대) · 밸리언트 ·
바이 크라이슬러 · 300 레터 시리즈 ·
300 논 레터 시리즈 · 피프트 애비뉴 · 콩코드 · LHS
그랜드 투어러 - TC 바이 마세라티
스포츠카 - 컨퀘스트 · 레이저 · 프라울러 · 크로스파이어
SUV - 아스펜 · 퍼시피카(2003)
MPV 퍼시피카 · 보이저 TE밴 · 그랜드 보이저/타운 & 컨트리
콘셉트 카 ME 4-12 · 파이어파워 · 에어플로우(2022) · 임페리얼(2006) · 터빈 카
전차 M1 에이브람스 M3A3 스튜어트 · M3 리 · M4A4 ·
M4 (105) VVSS · M4 (105) HVSS ·
M4A3 (105) VVSS · M4A3 (105) HVSS
·
M45 중형전차 · M48 패튼 · M103 전차 · M60 전차
플리머스의 차량
드 소토의 차량
램 트럭스의 차량
닷지의 차량
지프의 차량
임페리얼의 차량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영국군 기갑차량
파일:영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기갑차량
전차 탱켓 <colbgcolor=#fefefe,#191919>L3/35C
경전차 M2A4, 경전차 Mk.I, 경전차 Mk.II, 경전차 Mk.III, 경전차 Mk.IV, 경전차 Mk.V, 경전차 Mk.VIA, ,경전차 Mk.VIB, 빅커스 Mk. ET, 테트라크 I/CS, 해리 홉킨스, 하고C, 2호 전차 L형 '룩스'C
순항전차 순항전차 Mk. I (A9), 순항전차 Mk.II (A10), A13 Mk.I, A13 Mk.II, A13 "커버넌터", 순항전차 Mk.VIA 크루세이더 I/II/II CS/III (A15), 카발리어 (A24), 순항전차 Mk.VIII 센토어 I/II/III/IV/V/VI/VII/VIII/CS (A27L), 순항전차 Mk.VIII 크롬웰 I/II/III/IV/V (A27M), 챌린저 (A30), 코멧 I (A34)
보병전차 빅커스 미디엄 Mk.II, 보병전차 Mk. I "마틸다" I (A11), 보병전차 Mk.II "마틸다II" I/II/IIA/III/IV/IV CS (A12), 보병전차 Mk. III "밸런타인" I/II/III/IV/V/VI/VII/VIII/IX/X/XI, 보병전차 Mk.IV "처칠" I/II/III/IV/V/VI/VII(A22)
중형전차 그랜트 I/II/III/IV/V/VI/VII/VIII/IX, 셔먼 IC/IC 하이브리드/셔먼 VC, Pz.Kpfw. T-34/85 747(r)C, 3호 전차C, 4호 전차 D/G형C
중전차 Mark VC, Mark VIC
렌드리스 차량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스튜어트 I/II/III/IV/V/VI, 채피, 리 I/II/III/IV/V/VI/VII/VIII/IX, ,셔먼 V, 셔먼 I, 셔먼 III, 셔먼 IV, 셔먼 I 하이브리드, 셔먼 II, 셔먼 IIA, 셔먼 IIAY, 셔먼 IB, 셔먼 IBY, M10 Mk.I, M10 Mk.II, T26, T26E3, "튤립" 파생형 전차 및 장갑차(M4 셔먼, 크롬웰 문서 참고.), 그레이하운드 파일:소련 국기.svg German Heavy Tank,Mark V
시험 차량 인디펜던트 (A1E1)), TOG I, TOG II*, A39 토터스, A33 엑셀시어, A38 발리언트, A7 전차, A41 센추리온A, A43 블랙 프린스
대전차 자주포 알렉토 I/II/III/IV, T48 GMCL, M10 Mk.IL, M10 Mk.IIL, M10 IC 아킬레스L/M, M10 IIC 아킬레스L/M, Mk.I 아처, AEC Mk.I 건 캐리어 디콘
보병지원용 조명전차 셔먼 CDLL/M, 마틸다 CDL, 그랜트 CDL
구난전차 크루세이더 ARV, 처칠 ARV, 그랜트 ARV
해변용 구난전차 셔먼 BARV, 그랜트 BARV
공병전차 처칠 AVRE
화염방사전차 처칠 크로커다일
지뢰제거전차 셔먼 III 크랩, 셔먼 V 크랩, 그랜트 스콜피온 III/IV, 밸런타인 스콜피온
가교전차 처칠 가교전차, 밸런타인 가교전차, 커버넌터 가교전차
자주포 섹스턴, 프리스트L, 비숍
장갑차 롤스로이스 장갑차, AEC Mk.I/II/III 장갑차, 스탠다드 비버레테, 카든-로이드 Mk.VI, 유니버설 캐리어 Mk.I, 유니버설 캐리어 Mk.II, 컨벤트리 장갑차, 다임러 AC 장갑차,
가이 장갑차, 험버 장갑차, 마몬-헤링턴 장갑차, 캥거루 APC, 란체스터 6x4 중장갑차, 테라핀 수륙양용 장갑차, ACV-IP 장갑차, M2 하프트랙, M3 하프트랙, M5 하프트랙, M9 하프트랙L, 화이트 스카웃 카L,디어하운드L,
정찰 차량 다임러 딩고, 험버 LRC, 모리스-커머셜 LRC, 모리스-커머셜 CS9, T17E1 스태그하운드
차량 AEC "도체스터" ACV 4x4/6x6 장갑지휘차, 베드포드 QL 다목적 트럭, 베드포드 OX/OY 다목적 트럭,
오스틴 K2/Y 중 의무후송트럭(앰뷸런스), 오스틴 K3/YF 다목적 트럭, 오스틴 K5 다목적 트럭,
모리스-커머셜 C8 쿼드 FAT 포병 트랙터, 쉐보레 CMP FAT 전장전개형 포병 트랙터, 모리스-커머셜 CDSW 6x4 포병트랙터, 모리스-커머셜 C9/B 4x4 40mm 보포스 탑재형
AEC "마타도어" 포병용 중 트랙터/하프트랙, 레일랜드 리트리버 6x6 10톤 대형 수송트럭,
레일랜드 히포 MK.II 중형 다목적 트럭, 레일랜드 비버-얼(장갑화) 건트럭, GMC DUKWL, 윌리스 MBL, Sd.Kfz. 7C, Vauxhall B.T. Three-Quarter track Traclat, 스카멜 파이오니어
모터사이클 BSA M20, 로열 엔필드 WD/RE, 웰바이크
자주대공포크루세이더 AA Mk.I, 크루세이더 AA Mk.II, 크루세이더 AA Mk.III, 경형 AA Mk.I, AEC AA, T17E2 스태그하운드
기술교류파일:소련 국기.svg T-34-76, KV-1 1941년형
기타 전차 퍼니전차, A46, FV 시리즈, AT 시리즈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윗첨자A: 전후 도입
윗첨자C: 노획 차량
윗첨자M: 개조 차량
윗첨자L: 렌드리스 차량
윗첨자T: 훈련용 차량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남아프리카 연방군 기갑장비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남아프리카 연방 방위군기갑장비
전차 경전차 <colbgcolor=#fefefe,#393b42>크루세이더, M3 스튜어트
중형전차 셔먼 Mk.IV, 셔먼 IIA, 셔먼 V, 셔먼 VC, 셔먼 IB, 밸런타인 Mk.I
장갑차 SARC Mk.I, SARC MK.II, SARC Mk.III, SARC Mk.IV, SARC MK.V, SARC Mk.VI(2파운더), SARC MK.VI(6파운더), SARC MK.VII, SARC MK.VIII, 유니버설 캐리어 Mk.II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연방ㆍ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자유 프랑스군 기갑장비
파일:자유 프랑스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color=#001489> 제2차 세계 대전
자유 프랑스군기갑차량
장갑차 <colbgcolor=#fefefe,#393b42>
경전차 H35/H39, 르노 R35
랜드리스 브렌건 캐리어, 크루세이더 Mk.II, 크루세이더 Mk.III, 밸런타인 Mk.IV, 센토어 Mk.VII, M3A3 스튜어트, M5 스튜어트, M2, M2A1, M3, M3A1, M5, M5A1, M9, M9A1 하프트랙, M8 그레이하운드, M20 스카웃 카, M4A2, M4A3, M4A3(76), M4A3E8, M4A1, M4A4, M8 스콧, M4 (105), M4A3 (105), M10 GMC, M7 프리스트, M36 GMC, M24 채피
노획차량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Sd.Kfz. 251, 4호 전차, 3호 돌격포, 마르더, 헤처, 4호 구축전차, 야크트판터, 5호 전차 판터, 6호 전차 티거, 티거 2, B1 bis, S35, Skoda 76,2mm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치하, 하고, 치로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

냉전기의 미군 기갑장비
파일:미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냉전기
미군기갑차량
기타전차 <colbgcolor=#fefefe,#191919>M4A1R, M4R, M4A2R, M4A3R, M4A4R, T-34-85C/R, M26 퍼싱R, M103R,
T42, T95, T57, T110, T54, T69, 크라이슬러 K, TV-8
MBT 1세대 M46 패튼R, M47 패튼R, M48 패튼R, M48A1 패튼R, M48A2 패튼R, M48A3 패튼R, M48A5 패튼R
2세대 M60, M60A1, M60A2, M60A3 TTS
3세대 XM815P · XM1P · IPM1 · M1 에이브람스, M1A1 (HA · HC) 에이브람스, MBT-70
경전차/공수전차 경전차 M24 채피R, M41 워커 불독R, T49, HSTV-L
공수전차 T71, T92, RDF/LT, M551 셰리든
장갑차 차륜형 장갑차 V-100, V-150, LAV-25, XM800W
궤도형 장갑차 LVT(A)-4R, LVT(A)-5R M113(A1 ~ A3), M114(A1 ~ A2)R, M59, M75, M2 브래들리, M3 브래들리, AAV-7A1, LVTP-7, LVTP-5(A1), LVTH-6R, LVT-6, XM800T, COMVATP
차량 소형 M151, 험비, M1009 CUCV
트럭 건 트럭, M602, M35, M37, M39 M715, M809R, M939R, M977 HEMTT
자주포 자주곡사포 M37 자주곡사포R, M41 고릴라R, M44 자주포R, M52 자주곡사포, M53/M55,
M107, M108, M109(A1 ~ A5), M110(A1/A2), SU-76MC/R,
돌격포/돌격전차 M8 HMC "스콧"R, M4 (105)R, M4A3 (105)R, M4 (105) HVSSR, M4A3 (105) HVSSR, M4 (105) 셔먼 도저R, POA-CWS-H5R, M4A3 (105) "포큐파인"R, M45 중형전차R
자주박격포 M125A1, M106A2, LAV-M
대전차 자주포 SU-76MC/R, M50 온토스, M56 스콜피온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M42 더스터, M163 VADS, M6 라인베커, T249 비질란테, XM246, Phòng không T-34C
대공미사일 M1097 어벤저, M48 채퍼럴, XM975 롤랜드, MIM-46 마울러
다연장 로켓 M270 MLRS
※ 윗첨자R: 냉전 중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차P: 냉전 당시 프로토타입(냉전 이후 운용)
취소선: 도입 자체가 무산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


파일:미국 국기.svg 현대 미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7408b> 미군 (1975~현재)
United States Armed Forces
전차 <colbgcolor=#27408b> 주력전차 M1A1 SA, M1A2 SEP(v2 · v3), M1A3, XM1202 MCS, M1A2 SEP v4 (M1A2D), {M1E3}, {DLP}, T-72OpFor
공수전차 M551 셰리든R, XM8 AGS, M10 부커
경전차 M24C/R, M10 부커
장갑차 차륜장갑차 M8 LACC/R, LAV-25, M93A1 폭스, M1126~35 스트라이커, M1296 드래군, M1117 가디언, AGMS, LAV-II 바이슨, {ACV}
궤도장갑차 AAV-7A1, M2 · M3 브래들리, M113(A1 ~ A3), AMPV, FCS MGV, EFV, {XM30 MICV}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9(A6 팔라딘/A7), XM2001 크루세이더, XM1203 NLOS-C, M1299 아이언 썬더, {호크아이 105}, {브루투스 155}
자주박격포 M1064, M1129, {M1287 MCV}, XM1204 NLOS-M, LAV-EFSS
돌격전차 M4A3 (105) HVSSC/R
대전차 자주포 M18 헬캣C/R, M36C/R, M36B1C/R
다연장로켓 M270 MLRS, M142 HIMARS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M163 VADSR, 센추리온 LPWS, M247 서전트 요크
단거리 대공미사일 M6 라인배커R, LAV-AD, AN/TWQ-1 어벤저, SGT 스타우트 , NASAMS, 아이언 돔, {MML}, XM975, MIM-146 ADATS
중장거리 대공미사일 MIM-23 호크R, MIM-104 패트리어트, MIM-401 THAAD, GBI
수송 차량 소형 험비, L-ATV, MRAP, M-ATV, M1224 맥스프로, M1288 GMV 1.1, M1161/3 그라울러 ITV, IFAV,
LSSV 타호/실버라도, 하이럭스, DPV, GAARV, RSOV, MRZR, MRZR-D, M1030M1, 플라이어 72 · 60, 렌코 베어캣
트럭 2½톤R, M35R, M39 5tR, M939, FMTV(LMTV · MTV), MTVR, LVSR, 건 트럭, M977 HEMTT, M911 HET, M1070 HET
수륙양용차량 LARC-LX, LARC-V, LARC-XVR
지원 차량 구난차량 M984, M88A2 허큘리스, M1 ARV, XM1205 FRMV
교량차량 M60A1 AVLB, M104 울버린, M1074/M1110 JAB, M1975 DSB 런처, M1977 CBT
전투공병차량 M9 ACE, M1150 ABV, 버팔로 MPCV, M1 그리즐리, 캐터필러 D9
지휘차량 M577, M4 C2V
탄약보급차량 M992 FAASV, XM2002 RSV
UGV 드래곤 러너, PackBot 510, XM1216 SUGV, FirstLook 110, Warrior 710, TALON
MARCbot, ANDROS, R-Gator, SMSS, M160 MV-4, S-MET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및 타국에서 회수한 차량
※ 윗첨자OpFor: 대항군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현대 이스라엘 방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이스라엘 방위군 (1948~현재)
צבא ההגנה לישראל
기타전차 셔먼 VC/R, 셔먼 V 디젤C/M/R, M4A4(FL-10)C/R, M-1 셔먼R, M-1 슈퍼 셔먼R, M4A1 (FL-10)C/R, 셔먼 IIIC/R, 셔먼 III "메이어"UK/R, M-3, M4(75) "타마르"M/R, M-4 셔먼R, 크루프 셔먼M/R, M-50 (알레프, 유드, 베트)M/R, M-51 (알레프, 베트, 기멜, 달렛)M/R, 티란 T-34C/R, 4호 전차(G, H, J)C/R, M.13/40C/R, IS-3MC/R, A27M 크롬웰R
MBT 1세대 숏(Meteor)R, 숏 칼(알레프, 베트, 기멜, 달렛)R, 센추리온 전차C/R, TariqC/R, M47 패튼C/R, 마가크-1/2/3/5M/R, 티란-1C/R, 티란-4(S, Sh)C/M/R, 티란-2C/R, 티란-5(Sh)C/M/R
2세대 마가크-6(A, B, C)/7/갈 바타쉬M/R, 티란-6(6S, 6Sh)C/M/R, 메르카바 Mk.1R/2
3세대 메르카바 Mk.3
3.5세대 메르카바 Mk.4
경전차 르노 R35C/R, M22 로커스트C/R, 호치키스 H39R, 경전차 Mk.VIBC/R, AMX-13-75R, PT-76BC/R/88대대 개량형M/R
장갑차 차륜장갑차 BTR-152AC/R, BTR-40C/R,IAI RBY Mk.1R, IAI RAM Mk.2000R, 에이탄 AFV
궤도장갑차 OT-62 TOPASR, 바델라스 · 젤다, M548 알파M, 나메르, 나그마혼M, 아흐자리트C/M, 자흘람 M3 (알레프, 베트, 기멜, 달렛, He, Waw)R, 브렌건 캐리어C/UK/R, 셔먼 응급 수송 차량M/R
차량 소형 M151R, M325R, 험비, 지브, AIL 스톰, MDT 다비드, 샌드캣, 오토카르 아크렙
트럭 M35, M977 HEMTT, 벤츠 우니모크 437, AIL 아비르, FMTV
자주포 자주곡사포 2호 자주포C/R, M7 프리스트R, 쏠탐 M-68M/R/*, M109A5+ Doher, M110A2R 숄레프, ATMOS 2000E, 로엠
자주평사포 M107R
자주박격포 마크맛, 스피어E, {크로스보우}
대전차 자주포 M-50 (M10)M/R, M10 아킬레스R, SD-100C/R, 3호 돌격포 G형C/R, ISU-152C/R, Mk.I 아처C/R, ST-I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호벳, 마흐벳M, ZSU-23-4 쉴카C, ZSU-57-2C/R, T10E2R
단거리 대공미사일 드라콘R
레이저 아이언 빔
다연장로켓 MAR-240M/R, MAR-290M/R, LAR-160, M270 메나테츠, 링스E, 라하브
구난전차 M32 ARVR, M74 ARVR
기타 캐터필러 D9 두비 장갑 불도저, 캐터필러 966 로더,
캐터필러 굴착기, 나메르 CEV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UK: 영국군이 남기고 간 차량을 수습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E: 수출용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개조된 셔먼 차체에 Soltam社 의 155mm 곡사포를 올린 자주포.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이란 국기.svg 현대 이란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5px -0px -11px;"
<colbgcolor=#99cc99,#336633> 이란 이슬람 공화국군(1979~현재)
ارتش جمهوری اسلامی ایران
기타 전차 M4A1 (76) WL/R/이란 제국, M4A3 (105) HVSSL/R/이란 제국
MBT <colbgcolor=#99cc99,#336633> 1세대 T-54, T-55, 59식 전차, M47, M48
2세대 FV4201 치프틴 Mk.(2K, 3, 5), 모바레즈M, M60, 천마호 가형, 69식 전차, 사피르-74M*, T-72(M1/S), Sabalan, 줄피카-1/2
3세대 줄피카-3, KarrarM
경전차 M24 채피, FV101 스콜피온, Tosan
장갑차 차륜장갑차 BRDM-2, BTR-40, BTR-60PB, BTR-82, EE-9 Aghareb, Rakhsh, Sarir, Haweize
궤도장갑차 BTR-50PK, OT-62B, BMP-1 · Boragh, BMP-2, M113, FV107 시미터
차량 소형 M38R, KM410, KM414, M151R, Safir
트럭 MAZ-543, Ural-4320, ZiL-130 · 131 · 135, M548, KrAZ-5233
벤츠 악트로스 · L 시리즈, Neynava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7, M110, M109A3, 알-라으드 2, 곡산포, 2S1, 알-라으드 1
자주박격포 Boragh 자주박격포형
대전차 자주포 M18 헬캣L/R/이란 제국, M36B2L/R/이란 제국, A-36L/R/이란 제국
대공 차량PADAJA 자주대공포 ZSU-57-2 · Bahman, ZSU-23-4 쉴카, 판치르-S1
단거리 대공미사일 Herz-9, Shahab Saqeb · Ya Zahra
다연장로켓 63식 다연장로켓, BM-11, BM-21, BM-13, BM-24, M-1989, Fajr-3/5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참자PADAJA: 이란 이슬람 공화국 방공군 소속 차량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윗첨자L: 공여 차량
*: 59식 전차, T-54, T-55의 현대화 개수 모델.
※ 윗첨자이란 제국: 1979년 이전까지 이란 제국에서 운용한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미사일 전력 }}}
}}}}}}

냉전기의 이라크군 기갑차량
파일:이라크 국기.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냉전기
이라크군(1958~2003) 기갑차량
기타전차 T-34-85CZ, M4A3 (105) HVSSC, 처칠~1958
MBT 1세대 센추리온~1958, T-54, T-55(QM/M1/M2/이니그마)M, 59식 전차, M47 패튼C, M48 패튼C
2세대 빅커스 MBT Mk.1C, FV4201 치프틴C, M60C, 69식 전차(69-2식/QM/M1/M2)/이니그마M, T-62, T-72M1/아사드 바빌, M-84(AB/BN/BK)C
경전차 M24 채피~1958, PT-76, FV101 스콜피온C
장갑차 차륜장갑차 OT-64-(C/2A), BRDM-1, BRDM-2, BTR-60,
BTR-152, BTR-40, AMX-10(P · SAO), FV601 살라딘, LAV-300C,
EE-9/EE-11, 파나르 M3, PSzH-IV, PSzH D-442 FÚG, AT105C 색슨,
V-150S, Fhad, AML-(60/90)
궤도장갑차 M113A1C/R, BMP-1 · 사담, BMP-2, BMD-1, OT-62 TOPAS, MT-LB
M113, AMX-VCI, YW531 · YW750, OT-M60, PTS-2
자주포 자주곡사포 2S1 그보즈디카, 2S3 아카치야, M109A5, M110, M-1978 (S-23)C/M, AU-F1, 150mm sFH13/1(Sf) LrS
대전차 자주포 M36B1C, M36B2C, ISU-152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23-4 쉴카, ZSU-57-2, M53/59 프라가
대공미사일 9K31, 9K35, 9K33M, AMX-30 롤랜드2/FRR 롤랜드
다연장로켓 BM-11, BM-13, BM-16, BM-21, BM-27, BM-30,
63식 기반 MRL, M-87 오르칸, ASTROS II · Sajeel, 아바빌-100,
APR-40, 9K55 GRAD-1, 81 mm 테크니컬 MRL(GAZ-66 트럭 기반)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1958: 1958년 이전까지 이라크 왕국(Kingdom of Iraq)에서 운용한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현대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방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남아프리카 공화국군 (1961~현재)
Suid-Afrikaanse Nasionale Weermag
<colbgcolor=#007a11> 기타전차 셔먼 II AUK/R, 코멧UK/R, 셔먼 IBUK/R
MBT <colbgcolor=#007a11> 1세대 T-54C/R, 센추리온 Mk.(II · III · V)I
2세대 올리판트 Mk.1(A/B)M
3세대 올리판트 Mk.2M, TTD
장갑차 차륜장갑차 루이캇트, 라텔, RG-31 · 32 · 33, 맘바 Mk.3, 카스피르 MPV Mk.3,
AMV 뱃저, 사라센R, 버펠R, 마몬-헤링턴R, AML
차량 소형 랜드로버 디펜더, 토요타 랜드 크루저
트럭 새밀-20 · 50 · 100, SHE 카발로 8X8 트럭, 토요타 다이나, 이베코 30톤 트럭
자주포 자주곡사포 섹스턴 자주포R, G-6 레노스터, {T5-52}
대전차 자주포 M10 GMCUK/R
대공차량 단거리 대공미사일 크로탈R
다연장로켓 발키리 Mk.1, 베틀러 Mk.2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UK: 남아프리카 연방 시기 영국으로부터 공여받은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I: 전량 타차량으로 개수됨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프랑스 국기.svg 현대 프랑스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8080> 프랑스군 (1945~현재)
Forces armées françaises
중전차 6호 전차 티거G/R, ARL-44R, M4A3E2R
구축전차/대전차 자주포 야크트판터G/R, M10 GMCR, M36 GMCR, M36B2R, SD-100C/R
구난전차 M31 TRVR
중형전차 M4A1R, M4A1 (76) WR, M4A1E8R, M4A1 (CN-105-F1)M/R, M4A1 (FL10)M/R, M4A1E9R, M4A4R, M4A4TM/R, M4A4 (SA50)M/R, M4A2 (76) WR, 5호 전차 판터G/R, M26 퍼싱R, 4호 전차 G형G/R, T-34-85P/R, T-34-85CZC/R
경전차 M24 채피R, AMX-13R, AMX-13 (FL-11)R, AMX-13-90R, AMX-채피M/R, 치로R
MBT <colbgcolor=#008080> 1세대 M46 패튼R, M47 패튼R
2세대 AMX-30R
3.5세대 르클레르
장갑차 차륜장갑차 험버 피그R, 코번트리R, 페렛R,
E.B.R. (Mle.51/Mle.54/Mle.63/ETT)R, AML-90R, ERC-90 F1/F4 링스/사가이에R, VBC-90R, AMX-10 RC/RCR,
VBCI, VAB, EBRC 재규어, VBMR 그리폰
궤도장갑차 Sd.Kfz. 251G/R, 유니버설 캐리어R, T16R, LVT-4R, LVT(A)-4R, M113A1C/R, AMX-VCIR, AMX-VTTR, AMX-10P, VHM, BvS 10
차량 오토바이 폴라리스 스포츠맨 400 ATV, 야마하 XTZ660 Ténéré, 카기바 T4
소형 VBL, PVP, 푸조 P4, 랜드로버 디펜더, 포드 레인저, 포드 에베레스트, 르노 캉구 · 트래픽 III, 아라비스
트럭 포드 V3000G/R, 르노 케락스 · TRM 10000 CLD · GBC 180, VTL G290, CBH 385 막시 CLD,
ACMAT VLRA, 스카니아 R580, 시수 E-테크 480
자주포 자주곡사포 M8 스콧R, M40R, M41 고릴라R, AMX-105 Mk.61R, M4 (105)R, AMX Mk F3R, AU-F1, CAESAR
자주박격포 AML-60R, VTM-120, {그리폰 MEPAC}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LVT-4 BoforsR, AMX-13 Œil NoirR, VAB VDAA T20
단거리 대공미사일 크로탈 R-440, AMX-30 롤랑, 롤랑 CAROL
다연장로켓 LRU
페이퍼 플랜 및 프로토타입 FCM 12t, 바티뇰-샤티옹 12t, 바티뇰-샤티옹 25t, ELC 프로젝트, ERAC, MARS 15, 로르 RPX 시리즈
로르 VPX 시리즈, 벡스트라, FCM 50t, AMX-50, 소뮤아 SM, AMX M4, 로렌 40t, AMX-32, AMX-40
AMX CDC, 로렌 CA, 포슈, CDC 앙리, AMX-10M ACRA, MARS 15, AMX-13 DCA 40, AMX-30 자벨로, AMX-30 DCA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G: 2차 대전 당시 나치 독일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
※ 윗첨자C:노획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현대 네덜란드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네덜란드 왕국군 (1945~현재)
Nederlandse krijgsmacht
<colbgcolor=#ffffff,#191919> 기타 전차 <colbgcolor=#ffffff,#191919>89식 중전차 이고/치로C/R, 97식 경장갑차 테케C/R, M4A1E9R, 램 Mk.II, 셔먼 VR, 셔먼 V 크랩R, M4A3 (105) HVSS
MBT 1세대 센추리온 Mk.7R
2세대 레오파르트 1 NL · 1-VR
3세대 레오파르트 2(A1/A4/A5) NLR
3.5세대 {레오파르트 2A8} | 레오파르트 2(A6S/A7) NL
경전차 M3A1 스튜어트R, M3A3 스튜어트R, M24 채피R, AMX-13 FL-(12/15)R
장갑차 차륜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R, XA-188R, PWV 복서, LGV 페넥, 부쉬마스터
LSV, 훅스 1 CBRN, YP-408R, YP-104R
궤도장갑차 CV9035 NL, YPR-765KMar/R, Bv 206, BvS 10,
M113A1KMar/R, AMX-PRIR, LVT-4R
차량 오토바이 BMW R650 GSR, 트라이엄프 3TAR, KTM 400LS-E, 야마하 FJR1300AKMar
소형 벤츠 볼프 · G바겐KMar · 비토KMar · 스프린터KMar, 폭스바겐 아마록KMar, 벡터, {카라칼},
랜드로버 디펜더 109KMar/R, NEKAF M38R, 오펠 록스-e
트럭 DAF YA 328 · 2300KMar · 4440 · 4442,
스카니아 그리푸스 · 4 시리즈, 이베코 스트라리스, 벤츠 유니목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7R, M109(A3/A5) NLR, M110A2R, AMX-105 Mk.61R, PzH2000
자주박격포 YP-408 PWMTR, M106A1R, 페넥 MR, {묠니르}
대전차 자주포 M10 IIC 아킬레스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치타 PRTL(A1), M19 더스터
단거리 대공미사일 페넥 SWP, NASAMS, {NOMADS}
다연장로켓 M270R, PULS
무인 차량 UGV 테미스
지원 차량 구난차량 BPz 2R, BPz 3 뷔펠
전투공병차량 AEV 3 코디악
교량차량 비버, 레구안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KMar: 왕립 네덜란드 국가헌병대 (Koninklijke Marechaussee)에서도 같이 사용하는 차량들
※ 윗첨자C: 노획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파일:스웨덴 국기.svg 현대 스웨덴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5px -0px -11px;"
스웨덴군 (1945~현재)
Försvarsmakten
기타전차 <colbgcolor=#fefefe,#393b42>Strv m/41R, Strv m/42R, Strv 74(H/V)R, 셔먼 VX/R, 셔먼 VCX/R, 셔먼 IBX/R, 셔먼 IIIX/R, 처칠 Mk.IIIX/R, 코멧X/R, 1호 전차X/R, 5호 지휘전차 A형X/R, 티거IIX/R, Emil, Leo, Strv T-34-85X/R
MBT 1세대 Strv 81R | Strv 101(R)R | Strv 102(R)R
2세대 Strv 103(A/B/C)R | Strv 103DP | Strv 104R | Strv 105P | T-72X | UDES 15/16
3세대 Strv 121(A/B)S | Strv 122(A/B) | Strv 2000
3.5세대 Strv 122(C/D), {Strv 123A}
경전차 Pvstrv AMXX/R, CV90-105, UDEX XX-20X/R
장갑차 차륜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C/R, U-SH, Tgb m/42R, Patgb 180S · 202 · 203S, Patgb 360, Tgb 16, 피라냐 IIIC, {Patgb 300}
궤도장갑차 M113X/R, Strf 90(B/C), Pbv 302R, Bv 308/309, Bv 206, BvS 10, Bv 202R, Pbv 301R, Pbv 401· 4020, Pbv 501R, Pvrbv 551R
차량 소형 Ptgb 5, Tgb 11 · 13 · 21, CUCV, 볼보 TP 21R · L3304R, 샌드캣
트럭 볼보 FMX · TL31R, 스카니아 4시리즈 · SBA111R, Pltgb 903R, Tgb m/1941R
자주포 자주곡사포 Bkan 1(A/C)R, 아처
자주박격포 Grkpbv 90 묠니르
돌격포 Sav m/43R | Spj fm/43(43, 43-44)P | Stug III Ausf.(D/G)X
자주보병포 Ikv 72R | Ikv 73R | Ikv 102R | Ikv 103R | Ikv 91S/R
대전차 자주포 Pvkv m/43R | Pvkv IIP | Pvkv IIIP | Pvkv IVP | Pz.Jg 38(t)X | 마르더 IIX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Lvkv m/42P | Lvkv fm/43R | VEAK 40P | Lvkv 9040
단거리 대공 미사일 Tgb 21, Lvrbv 701R, Lvrpbv 4016R, EldE 98
지원 차량 구난차량 Bgbv 120
전투공병차량 ingbv 120
교량차량 M3, BroBv 120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X: 테스트용으로만 도입(외제)
※ 윗첨자P: 프로토타입(자체 개발)
취소선: 계획 되었으나 취소된 차량(설계안)
※ 윗첨자C: 노획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기갑차량 둘러보기
대전기(1914~1945) 냉전기(1945~1991) 현대전(1991~)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4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4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네덜란드에서 행사용으로 운용 중, 본국인 미국에서는 1959년 타 셔먼들과 함께 퇴역함.[2] 1947년 5월 1일 촬영된 사진이다.[3] 해당 단차는 이후 일명 "크루프 셔먼"이라고 칭해진다.[4] 해당 차량은 미군이 재노획해 포트 녹스로 이송되어 복원 작업에 착수했다.[5] 원래 해당 차량은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이라크군에게 노획되었다가, 이라크 전쟁 당시 미군에 의해 발견되어 HVSS였던 현가장치를 VVSS로 교체한 후, M113의 궤도를 부착한 뒤 럭키라는 이름이 부여되었다.[6] 105mm 구경의 활강포를 얹은 다른 파생형인 M-51의 경우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유대셔먼으로 칭하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