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X M4 |
[Clearfix]
1. 개요
2차대전 전후 개발된 프랑스의 페이퍼플랜 중전차 프로젝트.2. 역사
ARL-44를 설계, 생산한 프랑스였지만 ARL 44는 근본적으로 30년대 설계인 르노 B1의 차체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카탈로그상으로는 괜찮아 보여도, 시대의 흐름에 따라가지 못한 부족한 전차라는 것을 프랑스가 깨닫는 것은 얼마 걸리지 않았다.[1]프랑스 국방부는 ARL 44의 개발을 지속하는 한편 ARL 44를 대체할 목적으로 신규 중형전차 제작 프로젝트에 착수하여 NOM 141[2]이라는 새로운 전차 개발을 시작했다. 그러나 프랑스 침공으로 설계의 공백이 생긴 탓에 자국의 전차 설계기술은 다른 열강에 비해 턱없이 뒤떨어지는 수준이었고, 국산 전차 산업을 급하게 부활시키고자 참고한 것이 제2차 세계 대전 때 큰 인상을 준 독일 전차였다.
처음에는 ARL 44의 첫 설계안보다도 장갑이 얇은 30mm대의 장갑을 갖춘 30톤대 중형전차로 개발이 시작되었는데, 30mm(출처)로는 방어력이 약할 수 밖에 없어서 장갑 두께를 더 늘리도록 계획이 바뀌었다. 동시에 중량 제한도 50톤급으로 올라갔고, 이에 따라서 전면 장갑의 두께가 90mm로 강화되었다.
설계 당시 서스펜션도 3가지 방식이 고려되었다. 2차 대전기에 독일이 사용하던 오버랩 구조의 토션바 방식, 르노 B1과 ARL-44에 사용된 코일 스프링 방식, 그리고 르노 R35에 사용된 코일 스프링 보기(bogey) 방식(#)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이 중에서 AMX M4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건 토션바 방식밖에 없었다. [3] 그 밖에도 독일 전차들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특히 티거 2의 영향을 크게 받은 정도가 아니라 일부 부품도 호환되었다. 다만 상층부의 요구로 독일 전차들과는 다르게 변속기 모듈을 후방에 배치하였다.
무장으로는 ARL 44처럼 90mm 장포신 주포를 탑재하여 중전차급 화력을 확보한 중형전차로서 당시의 세계적인 시류에 따라갈 수 있었으며, 개발명도 '중형전차 M4'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이후 무게 47톤, 700마력 엔진, 90mm 주포를 탑재한 설계가 나왔는데, 몇번의 수정을 거치면서 예상 중량은 50t 정도로 늘어났다. 늘어난 중량에 대응하기 위해서 엔진으로는 스위스제 1000마력 MP.65 Sauer 엔진이 고려되었지만, 엔진 조달 문제로 인해 취소되었다. 이후 프랑스 국방부는 2차 대전기에 E-50과 E-75 전차를 위해 개발이 시작된 마이바흐 HL230 엔진의 개량형인 HL234 엔진 프로젝트로 눈을 돌렸고, 2차 대전 종전까지 미완성 상태로 남았던 해당 엔진을 가져와 손 본 다음에 쓰기로 결정했다. 이렇게 프랑스군은 대전기 당시에 HL234 개발에 참여한 독일의 엔지니어들과 협력하여 HL234의 설계를 토대로 대형화한 HL295를 완성하였으며, 이를 M4에 탑재하기로 결정했다.
1945년에 완성된 초기 설계는 티거 2와 판터에게 받은 영향으로 이들과 비슷한 형상의 전면 장갑을 갖추는 등, 모양이 이들과 비슷하게 생겼다. 하지만 차체 전방에 변속기가 위치한 독일군 전차들과 달리, AMX M4에서는 무리하게 세로배치 구동계를 유지하면서도 변속기를 차체 뒤쪽으로 밀어 넣게 설계를 바꿨기 때문에 포탑이 소련의 IS-2처럼 차체 앞으로 심하게 쏠렸다. 이 바람에 차체 앞쪽 공간이 부족해져서 운전수와 무전수의 탑승구가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설계의 차이가 대전기 독일군 전차들과 AMX M4 사이의 몇몇 주요 차이점 중 하나이며[4], 이외에도 2차 대전 이전에 개발하던 AMX Tracteur C를 참조한 포탑 설계에 의해 전차장 큐폴라가 포탑의 오른쪽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티거 II와 차이점을 보였다. [5]
1946년 들어서는 프랑스 국방부가 ARL-44를 운용한 경험들을 바탕으로 AMX M4 프로젝트에 개선할 점들을 제시하였는데, 이런 개선 요구사항에 따라서 차체의 각종 설계가 반영되어버린 결과 1947년에 나온 설계안에서는 이전 설계안과 비교해서 많은 부분이 바뀌게 되었다. 1947년에 제시된 새로운 차체 설계는 이전보다 차체가 길어진 덕분에 다시 조종수와 무전수용 탑승 해치를 차체 앞쪽 지붕에 배치할 수 있게 되었으며, 동시에 외측 보기륜이 한쌍 더 추가되었다. 그리고 무게 대비 방어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면부 모서리 부근에 새로운 가로방향 경사가 추가되었고, 포탑도 새롭게 설계되면서 전차장 큐폴라가 왼쪽으로 이동하였다. 여기서도 방어력을 더 키우려는 계획이 있었는지 전면 장갑 두께를 120mm까지 늘리기 위한 시도도 제안되었지만, 이는 중량 및 무게 중심의 문제로 무산되었다.
1949년 즈음을 해서 차체의 대략적인 형태가 갖춰지게 되는데, 여전히 전면부의 기관총구는 남아있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서 무게를 줄이기 위해 차체 전면 장갑의 두께를 80mm로 줄이는 대신에 차체 기관총구를 삭제한 신규 중장갑 설계이 제안되었다.[6] 다만 방어력이나 차체의 무게중심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있었고, 아예 방어력과 무게 중심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차체 전면 장갑에 280mm 장갑을 추가하여 차체 전면 장갑을 360mm[7]까지 강화해버린 시험적 설계안도 튀어나왔다.[8]
이러던 와중에 1949년 설계안[9]에다가 AMX-13에 적용된 것과 비슷한 요동 포탑을[10] 달고 연사력을 높이기 위해 자동 장전 장치를 탑재한 90mm 주포를 적용하는 방안으로 AMX M4의 설계가 확정되었다. 새로 만든 요동 포탑은 그간 AMX M4에 탑재되었던 재래식 포탑과 무게가 비슷했으나, 자동 장전 기능 덕분에 연사력에 의한 순간 화력은 훨씬 강력했다.
이후 AMX M4 개발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게 되고, 1950년이 되자 프로젝트 명칭이 AMX-50으로 변경되며 AMX-50으로 개발이 이어지게 되었다.
3. 종류
3.1. 1945년식
3.2. 1949년식
AMX M4 1949년식 제원 | |
전장 | 6.76 m (차체), - m (전체) |
전폭 | 2.72 m |
전고 | 3.33 m |
장갑 | 차체: 전면 80mm, 측면 45mm 후면 35mm |
주무장 | 90mm SA45(계획) 90mm SA46(실제)[11] |
부무장 | 7.5 mm 기관총 ×2 |
승무원 | 5명 (조종수, 무전수, 탄약수, 전차장, 포수) |
엔진 | 마이바흐 HL 295 1000마력 |
중량 | 55t |
항속거리 | - km |
최고속도 | 40 km/h |
3.3. AMX-65t
AMX-65t 구축 전차 제원 |
- 중량: 51.2t
- 전장: 8.25m (차체), 10.??m(전체)
- 전폭: 3.74m
- 전고: 3.73m
- 승무원: 5명
- 주무장: 100mm 전차포
- 부무장: MG 151
- 장갑: 최대 80mm
- 엔진: Maybach HL 295 ???
- 출력비: 1,000 마력
- 속도: 40km/h
- 항속거리: 300km
,
3.4. AMX CDC
AMX M4를 기반으로 계획된 34톤 구축전차.4. 미디어
4.1. 게임
4.1.1. 월드 오브 탱크
4.1.2. 워 썬더
5. 둘러보기
기갑병기 둘러보기 | |||||
{{{#!folding [ 대전기 1914 ~ 1945 ] | {{{#!folding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 <tablewidth=100%><tablebgcolor=white,#191919> 연합국 | 동맹국 | ||
연합군 | 동맹군 | }}} | |||
{{{#!folding 제2차 세계 대전 1939 ~ 1945 | 연합국 | 추축국 | |||
대영제국 | 프랑스 | 나치 독일 | 이탈리아 왕국 | ||
미국 | 소련 | 일본 제국 | 헝가리 왕국 | ||
중화민국 | 폴란드 | 루마니아 왕국 | 핀란드 | ||
캐나다 | 호주 | 불가리아 왕국 | 유고슬라비아 왕국 | ||
체코슬로바키아 | - | - | - | ||
중립국 | |||||
스웨덴 | 스위스 | }}} | }}} | ||
{{{#!folding [ 냉전기 1945 ~ 1991 ] | {{{#!folding 냉전 세계 1945 ~ 1991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제1세계 | 제2세계 | 제3세계 | |
미국 | 소련 | 동독 | 이라크 | ||
- | 유고슬라비아 | 체코슬로바키아 | - |
{{{#!folding 한국 전쟁 1950 ~ 1953 | 남한 | 북한 | ||
유엔군 | 공산군 | }}} | ||
{{{#!folding 월남 전쟁 1955 ~ 1975 | 남베트남 | 북베트남 | ||
미군 및 다국적군 | 월맹 | }}} | }}} | |
{{{#!folding [ 근현대 1991 ~ 2019 ] | {{{#!folding 아메리카 | <tablewidth=100%><tablebgcolor=white,#191919> 북아메리카 | 미국 , 캐나다 | |
남아메리카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 | ||
{{{#!folding 유럽 | 동유럽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그리스 , 세르비아 , 루마니아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핀란드 , 덴마크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체코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 | ||
{{{#!folding 아시아 | 동아시아 | 한국 , 일본 , 중국 , 대만 , 북한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터키 , 이란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이라크 , 아랍에미리트 , ISIL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
동남아시아 | 싱가포르 , 베트남 , 인도네시아 , 태국 | }}} | ||
{{{#!folding 아프리카 | 아프리카 | 이집트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알제리 | }}} | |
{{{#!folding 오세아니아 | 오세아니아 | 호주 , 뉴질랜드 | }}} | }}} |
6. 관련 문서
[1] ARL 44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가 바로 현가장치를 비롯한 차체의 설계가 1930년대 전간기에 개발된 르노 B1의 설계에 기반한거다 보니 2차대전 전후 기준으로는 굉장히 구식이었다는 점이다.[2] AMX 45라고도 불렸다.[3] 월드 오브 탱크의 프랑스 정규 트리에 등장하는 7티어 AMX M4 45는 르노 R35의 코일스프링 보기 서스펜션을 사용한 설계를 보여준다. 홀스트만 현가장치와도 비슷하다.[4] 전면부가 공격을 받아서 차량 구동계가 망가지는 것을 막기 위해 설계를 바꾼 것으로 여겨진다.[5] 이러한 특징들은 월드 오브 탱크에 등장하는 프랑스 정규 트리 7티어 전차인 AMX M4 45의 스톡 포탑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6] 이것이 월드 오브 탱크에서 구현된 AMX M4 mle. 49에 가장 근접한다.[7] 경사장갑에 의한 LOS 수치가 아니라 수직 기준일때의 강판의 순수 두께에 해당한다.[8] 월드 오브 탱크에서 나오는 M4 1951과 M4 1954가 이런 시험 설계안들의 차체를 가져다 만들어 놓은 전차들이다. AMX M4의 개발은 1950년에 AMX-50으로 넘어가면서 모두 중단되었기 때문에 이름들은 당연히 그냥 워게이밍에서 만들어 갖다 붙인 것이다.[9] 여기서 차체 전면부의 기관총구는 폐지되었다.[10] 포탑 설계는 바티뇰-샤티옹 25t, 로렌 40t와도 공유하며 M4 시제차를 개조한 극초기형 AMX-50에도 이어졌다.[11] ARL 44에 탑재된 90mm SA45 포의 자동 장전 장치용 버전이다.[12] 원래는 전면 장갑이 45mm 수준에 중량이 50t 초반으로 맞춰지는 설계였지만, 장갑을 더 늘려서 65톤으로 중량이 늘어난 설계안도 존재했다.[13] 다만 9티어와 10티어의 경우 차체가 설계도상으로 존재한건 맞지만 포탑의 경우 AMX-50 Surbaissé에 쓰일 계획으로 50년대 중반에 설계된 TCB 120 포탑을 달아놓았기 때문에 사실상 반쯤은 워게이밍에 의해 창작된 전차다. 그리고 10티어 전차는 전면이 80+280mm로 360mm 두께를 가진 설계안을 모티브로 하나, 밸런스 문제 때문에 게임에서 표기되는 전면 장갑은 220mm로 실제 계획안보다 줄어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