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06 17:15:32

T55E1 GMC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미군 기갑차량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808000> 제2차 세계 대전
미군기갑차량
전차 <colbgcolor=#808000> 경전차 M1, M2(A1/A2/A3/A4), M3(A1/A3), M5(A1), M22 로커스트, M24
중형전차 M2A1, M3 (A1, A2, A3, A4, A5, A6), M4, M4A1 "터틀백", M4A1 (76) W, M4A1E8, M4A1E9, M4 "컴포지트 헐", M4A2, M4A2 (76) W VVSS, M4A2E8, M4A3, M4A3E4, M4A3 (76) W, M4A3E8, M4A3 (75) W HVSS, M4A4, M4A6
중전차 M6, M26 퍼싱, T26E4-1(M26A1E2) 슈퍼 퍼싱
장갑차 차륜 장갑차 M8 경장갑차, M20 유틸리티 카, M3 스카웃 카, M3A1 스카웃 카, 포드-오스트레일리아 S1 스카웃 카, T18 보어하운드, T24 스카웃 카, M5 중형장갑차, T27 장갑차
궤도형 장갑차 M39 AUV
반궤도 장갑차 M2, M3, M5, M9
상륙장갑차 LVT, LVT(A)-4
자주포 자주박격포 M4 MMC, M4A1 MMC, M21 MMC
돌격포/돌격전차 M8 HMC "스콧", M4 (105) VVSS, M4A3 (105) VVSS, M4 (105) HVSS, M4A3 (105) HVSS, T26E2 시제 중전차P
자주곡사포 M7 HMC M12 GMC, M40 GMC, M43 HMC
대전차 자주포 M6 파고, M3 GMC, M10 GMC, M10A1 GMC, M18 헬캣, M36 GMC, M36B2 GMC, M36B1, M8A1 GMC
자주대공포 M13 MGMC, M14 MGMC, M15 CGMC, M15A1 CGMC, M16 MGMC, M17 MGMC, M19 더스터
차량 CCKW, 윌리스 MB, 포드 GPA, DUKW, 스튜드베이커 US6, M4 포병트랙터, M29 위즐, 인터내셔널 하베스터 M24 1톤 트럭, M25 드래곤 웨건
모터사이클 할리 데이비슨 WLA, 할리 데이비슨 ELA, 인디언 640B, 인디언 741, 인디언 340, 인디언 M1, 인디언 841
프로토타입 T1, T1 경전차, M1, T2, T7, M7, M3A2, M4A1 (T1), M4A4E1, T14, T20, T21, T22, T23, T25, T28,
T29, T30, T32, T34, T40, T49, T67, T55E1 GMC, T92, M38 울프하운드
노획 차량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신포탑 치하S, 하고S, 4식 포전차 호로S, 치누S,5식 중전차 치리S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1호 전차 C형E, 2호 전차 F형, 2호 전차 G형,3호 전차, 4호 전차, 5호 전차 판터E, 6호 전차 티거E, 티거 2E,M3 하프트랙E, T-34-76E, T-26E, 7TPE, BT-7E, KV-2E, 르노 FTE, 소뮤아 S35E, 세모벤테 90/53E, 세모벤테 149/40E, 4호 구축전차 (A)E, 게쉬츠바겐 티거E, 로이머 SE, 판터IIE, 세모벤테 149/40E, Sd.Kfz. 231 8 räd, 6호 중구축전차 야크트티거E, Sd.Kfz. 251/8E, Sd.Kfz. 250/9E
기술교류파일:소련 국기.svg T-34 1941년형, KV-1 1941년형
파일:영국 국기.svg 마틸다 II, M4A3 17 Pdr, 처칠 III, 크루세이더 III
※ 윗첨자S: 태평양 전선에서 노획.
※ 윗첨자E: 유럽 전선에서 노획.
※ 윗첨자P: 전시 중 프로토타입으로 생산되었으나 전후 제식화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



미국의 대전차 자주포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2em"
파일:GMCM6누끼.png 파일:GMCM3누끼.png 파일:T48_GMC_누끼이미지_1.png
M6 GMC "Fargo" M3 GMC T48 GMCLR
파일:GMCM10누끼.png 파일:GMCM18누끼.png 파일:GMCM36누끼.png
M10 GMC / M10A1 GMC M18 GMC "Hellcat" M36 GMC / M36B2 GMC
파일:M36B1_누끼.png 파일:SPRRM50누끼.png 파일:SPATM56누끼.png
M36B1 GMC M50 Ontos M56 SPAT
※ 윗첨자LR: 미 본토에서 사용한 차량이 아닌 렌드리스로 타국에 공여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
파일:T55E1-motor-carriage-haugh.jpg
T55E1 3-inch gun motor carriage

1. 개요2. 제원3. 개발사4. 장점5. 단점6. 평가7. 형식
7.1. T557.2. T55E1
8. 미디어9. 모형10. 참고 문헌11. 둘러보기

1. 개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에서 개발된 차륜형 8륜 대전차 자주포이다.

2. 제원

<colbgcolor=#808000> 3-inch Gun Motor Carriage T55E1
제원
개발 국가 미합중국
개발 기관 Cook Brothers Equipment Company
생산 기관 Allied Machinery Manufacturing
생산 연도 1943년
생산 대수 시제차 1대
전장 7.14m
전폭 2.7m
전고 1.93m
전비 중량 13.7t
탑승 인원 4명
엔진 캐딜락 수랭식 V8 엔진 2기
최고 출력 110hpx2 (220hp)
출력비 16.04hp/t
현가 장치 8X8
최고 속도 97km/h
주무장 3인치 M7 대전차포 1문 (90발)
부무장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1정 (400발)

3. 개발사

본 차량을 설계한 민간인 설계자 쿡 형제는 사막 환경에 적합한 특이한 차량을 개발했었다. 해당 설계는 각각 엔진이 달린 4륜구동 차대 2개를 이어붙인 구성으로 차체가 만들어졌으며 조향과 포구 회전은 앞쪽 차대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쿡 형제는 2차 대전에 참전한 미군에 납품하기 위한 자주포를 만들기로 하였고, 해당 차량 설계를 기반으로 뒤쪽에 엔진 두 개가 달린 대전차 자주포를 만들었다. 당시 미군에서 코드명 T55까지 붙이고 개발 계약을 맺을 만큼 관심이 많았다.

T55는 고속 전투차라는 목적에 맞게 도로에서 최대 80km/h, 야지에서 최대 60km/h로 주행하는 성능을 보여줬다. 뛰어난 기동력 덕분에 쿡 인터셉터(Cook Interceptor)라는 별명도 붙었다고 한다.

물론 고속 기동을 하는 차량답게 장갑방어력은 당시의 제식 소총용 탄환인 7.62×63mm .30-06 스프링필드 1발 정도를 간신히 막는 수준이고 조종수는 큰 시야를 얻기 위해서 전면장갑 대신 얇은 방탄 유리로 된 전면 차창이 설치되는 바람에 소총탄 몇 발 맞으면 유리창이 관통당해서 죽기 딱 좋으며 차체의 천정이 모두 개방된 형태라 포탄 파편이나 기총소사에 매우 취약했지만 그런 약점은 일단 고속 기동 대전차 자주포이므로 무시되었다.

테스트를 거치면서 시제차는 개량을 받고 T55E1로 재명명되었는데, 주요 변경점은 차체 형상을 조정하고 더미 주포 대신 실제 주포와 중기관총을 장착한 것이다.

그러나 무거운 실제 화포가 추가되면서 차량 무게중심도 많이 달라졌고, 그 결과 고속에서 직진할 때는 문제가 없어도 급하게 조향하면 차량이 순식간에 불안정해지면서 전복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이런 문제가 추가 테스트를 통해 드러났고, 더 많은 연구개발을 통한 문제 해결 없이는 채택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더구나 이 무렵에는 미군이 궤도형 대전차 자주포를 더 선호하기 시작하였고, 결국에는 T55E1은 취소되었다. 이후 쿡 형제는 다시 민수용 차량 튜닝 사업으로 복귀했다.

4. 장점

5. 단점

6. 평가

잠재성은 높으나 개발시기를 놓친 비운의 기갑차량이다.

나치 독일Sd.Kfz. 234 계열 차륜형 장갑차인 Sd.Kfz.234/2 푸마와 Sd.Kfz. 234/4를 보면 알 수 있듯이 8륜 구동 장갑차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나름대로 유용하게 사용되었고 어느 정도의 험지 돌파능력도 있으며 VK 16.02 레오파르트의 50mm 주포 장착 포탑을 경량화하면서 장착하거나 75mm PaK 40을 장착해서 대보병 화력도 챙기면서 대전차 능력도 훌륭했다.

연합군의 경우도 마찬가지라서 영국은 4륜 장갑차인 AEC 장갑차에서 Mk III에 QF 75mm 주포를 장착한 3인승 회전포탑을 장비했고 158마력의 엔진으로 66km/h의 속력을 달성한다. 4륜밖에 없어서 험지돌파능력이 8륜 구동 장갑차보다 떨어지는 것이 단점이었지만 상당히 쓸만했다.

이런 점을 생각한다면 T55E1 GMC에 회전포탑을 달아놓아서 정찰 장갑차대전차 자주포로 사용했으면 상당히 유용했을 것이며 향후 프랑스의 ERC-90이나 AMX-10RC같은 방향으로 발전도 가능했을 것이다.

하지만 개발 시기가 너무 늦은 것이 문제였다. 최소한 미국이 전쟁에 참가하기 전에 나스호른 같은 형태로 개조된 T55E1 GMC이 등장했다면 전장에 투입되며 실전에 맞게 개조되고 파생형이 등장했을 것이지만 1943년의 시점에서는 이미 경쟁자도 많은 상태고 투입 예정인 전장도 이동해버리면서 굳이 개발을 더 해야 하는가란 의문이 들 수 밖에 없었고 시제 차량에 문제가 발생하자 바로 포기당한 것이다.

7. 형식

7.1. T55

초기 시제차. 더미 주포를 달았다.

7.2. T55E1

개량된 시제차. 차체 형상이 변화되었고 실제 무장을 달았다.

8. 미디어

8.1. 게임

8.1.1. 워 썬더

배틀패스 차량으로 출시되었다.

9. 모형

10. 참고 문헌

11. 둘러보기

기갑차량 둘러보기
대전기(1914~1945) 냉전기(1945~1991) 현대전(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