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8 12:35:03

르완다 내전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장.svg 콩고민주공화국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CDD09;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07fff> 콩고 위기
,1960 ~ 1965,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르완다 내전
,1990 ~ 1994,
파일:르완다 애국전선 당기.png 르완다 애국전선
부룬디 내전
,1993 ~ 2005,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제1차 콩고 전쟁
,1996 ~ 1997,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1997-2003).svg 콩고-자이르 민주 해방 연합군 파일:르완다 국기(1962-2001).svg 르완다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ADF 반란
,1996 ~ 현재,
파일:연합민주군기.svg ADF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제2차 콩고 전쟁
,1998 ~ 2003,
파일: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당기.svg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키부 분쟁
,2004 ~ 현재,
파일:M23.png 3월 23일 운동
}}}}}}}}} ||

파일:프랑스 국장.svg 프랑스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전쟁·전투 교전국
<colbgcolor=#ed2939> 백년전쟁
1337 ~ 145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왕국(플랜태저넷 왕조)
제1차 이탈리아 전쟁
1494 ~ 1498
파일:나폴리 왕국 국기(1442-1516).svg.png 나폴리 왕국
제2차 이탈리아 전쟁
1499 ~ 1504
파일:나폴리 왕국 국기(1442-1516).svg.png 나폴리 왕국 파일:Flag_of_the_Duchy_of_Milan_(1450).svg.png 밀라노 공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3차 이탈리아 전쟁
1508 ~ 1516
파일:베네치아 공화국 국기.svg 베네치아 공화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4차 이탈리아 전쟁
1521 ~ 1526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5차 이탈리아 전쟁
1526 ~ 1530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6차 이탈리아 전쟁
1536 ~ 1538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7차 이탈리아 전쟁
1542 ~ 1546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8차 이탈리아 전쟁
1551 ~ 1559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네덜란드 독립전쟁
1568 ~ 1648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30년 전쟁
1618 ~ 1648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파일: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국기.png 폴란드-리투아니아
프랑스-스페인 전쟁
1635 ~ 1659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상속 전쟁
1667 ~ 1668
파일:스웨덴 국기(1663-1815).svg 스웨덴 제국
프랑스-네덜란드 전쟁
1672 ~ 1678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파일:네덜란드 공화국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9년 전쟁
1688 ~ 1697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왕국 파일:네덜란드 공화국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701 ~ 1714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합스부르크 제국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1701-1750).svg.png 프로이센 왕국 파일:네덜란드 공화국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파일:포르투갈 왕국 국기(1707-1816).svg.png 포르투갈 왕국
사국 동맹 전쟁
1718 ~ 1720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
1733 ~ 1735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합스부르크 왕조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1701-1750).svg.png 프로이센 왕국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1740 ~ 1748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합스부르크 제국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7년전쟁
1754 ~ 1763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1750-1801).svg.png 프로이센 왕국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Flag_of_Hanover_1837-1866.svg.png 하노버 선제후국 파일:포르투갈 왕국 국기(1707-1816).svg.png 포르투갈 왕국 파일:이로쿼이 연맹기.png 이로쿼이 연맹
미국 독립 전쟁
1775 ~ 1783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프랑스 혁명 전쟁
1792 ~ 1802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파일:포르투갈 왕국 국기(1707-1816).svg.png 포르투갈 왕국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네덜란드 공화국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1793-1844).svg 오스만 제국
나폴레옹 전쟁
1803 ~ 1815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 제국
제1차 프랑스-멕시코 전쟁
1838 ~ 1839
파일:700px-Flag_of_Mexico_(1823-1864,_1867-1893).svg.png 멕시코 중앙집권공화국
벨기에 혁명
1830 ~ 183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연합왕국
태평천국의 난
1850 ~ 1864
파일:태평천국 국기.svg 태평천국
제2차 아편전쟁
1856 ~ 1860
청나라
코친차이나 원정
1858 ~ 1862
파일:external/www.worldstatesmen.org/vn_tonki.gif 대남국
제2차 프랑스-멕시코 전쟁
1861 ~ 1867
파일:Bandera_Histórica_de_la_República_Mexicana_(1824-1918).svg.png 멕시코 제2연방공화국
시모노세키 전쟁
1864
파일:모우리 가몬.svg 조슈 번
병인양요
1866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1870 ~ 1871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북독일 연방
청불전쟁
1884 ~ 1885
파일:청나라 국기(1862-1889).svg 청나라
프랑스-시암 전쟁
1893
파일:태국 국기(1855).svg.png 시암
파쇼다 사건
1898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의화단의 난
1900 ~ 1901
파일:의화단 기.svg의화단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파일:극동 공화국 국기.svg 극동 공화국
튀르키예 독립 전쟁
1919 ~ 1923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대국민의회
프랑스-시리아 전쟁
1920
파일:시리아 아랍 왕국 국기.svg 시리아 아랍 왕국
리프 전쟁
1925 ~ 1926
파일:Flag_of_the_Republic_of_the_Rif.svg 리프 공화국
스페인 내전
1936 ~ 1939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제2공화국 파일:스페인국 국기(1936-1938).svg 스페인 국민전선
제2차 세계 대전
1939 ~ 1945
<colbgcolor=#ed2939><colcolor=#fff> 서부전선
1939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1943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1943~
북아프리카 전역
1940 ~ 1943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서아프리카 전역
1940 ~ 1942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1946 ~ 1954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민주 공화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알제리 전쟁
1954 ~ 1962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민족 해방 전선
바밀레케 전쟁
1955 ~ 1964
파일:300px-Cm-upc1.png 카메룬 인민연합
제2차 중동전쟁
1956
파일:이집트 국기(1953-1958).svg.png 이집트
이프니 전쟁
1957 ~ 1958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가재 전쟁
1961 ~ 1963
파일:브라질 국기(1960-1968).svg 브라질
서사하라 전쟁
1977 ~ 1978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카반 작전
1979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 제국
리비아-차드 분쟁
1986 ~ 1987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르완다 내전
1990 ~ 1994
파일:Rwandan_Patriotic_Front_Flag.svg.png RPF
보스니아 전쟁
1992 ~ 1995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진달래 작전
1995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코소보 전쟁
1999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20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탈레반 정권
제1차 코트디부아르 내전
2002 ~ 2007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FNCI
차드 내전
2005 ~ 2010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진자위드
제2차 코트디부아르 내전
2010 ~ 2011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군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COJEP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FPI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사헬 내전
2011 ~ 현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파일:보코 하람 엠블럼.png 보코하람 파일:안사루 깃발.svg 안사루
말리 내전
2012 ~ 2022
파일:아자와드 국기.svg MNLA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내전
2012 ~ 현재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셀레카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반 발라카
제2차 이라크 내전
2014 ~ 2017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차드 내분
2016 ~ 2025
차드 반군 그룹
홍해 위기
,2023,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아스피데스 작전
,2024,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
르완다 내전
La guerre civile rwandaise
Rwandan Civil War
파일:330px-RwandaTerritoryAfterFeb1993.png
기간
1959년 ~ 1994년 7월 18일
장소
르완다, 부룬디
교전 국가 및 세력[1]
[[르완다 애국전선|
파일:르완다 애국전선 당기.png
]] 르완다 애국전선
[[르완다|
파일:르완다 국기(1962-2001).svg
]] 르완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자이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자이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자이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990)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지휘관
[[르완다 애국전선|
파일:르완다 애국전선 당기.png
]] 폴 카가메
[[르완다|
파일:르완다 국기(1962-2001).svg
]] 쥐베날 하뱌리마나
1. 개요2. 분쟁의 시작3. 증오의 연쇄4. 르완다 학살5. 르완다 애국전선(RPF): 본대와 합류 후, 수도 함락6. 유엔군의 행적
6.1. 벨기에: 병력 파견6.2. 프랑스: 학살 조장
7. 처벌
7.1. 배후자7.2. 가해자
8. 이후 상황
8.1. 벨기에: 병력 철수8.2. 유엔: 병력 감축
8.2.1. 평화유지군의 활약
9. 르완다 학살 이후10. 대중매체

1. 개요

"다시는 투치 안 할게요! 살려 주세요!"
- 후투족 민병대에게 살해당한 어느 투치족 소년
1959년에서 1996년까지 아프리카르완다부룬디에서 벌어진 다수파 피지배계급 후투족과 소수파 지배계급 투치족의 부족 간 갈등이었다.

수십 년 동안의 끔찍한 학살질병기아 등으로 인해 수백만 명이 죽었고, 특히 1994년 4월~7월까지 단 100일 만에 대략 50~80만 명이 학살되는 참사가 벌어진 것이 매우 유명하다.

2. 분쟁의 시작

원래 르완다부룬디후투족투치족 둘로 나뉘지 않고 여러 부족들이 각자 살아가던 원시사회였다. 물론 당시에도 투치족이나 후투족, 트와족르완다 내 민족들 간의 구분이 없었던 건 아니었지만 양반-평민-천민처럼 영향력이 약한 신분제에 가까웠거나, 혹은 옆에 있는 부족 마을 정도로 취급했다. 가장 널리 알려진 건 후투족은 농경부족이고, 투치족은 염소를 기르는 반유목부족이었다. 거기다 이들은 언어[2] 및 문화와 풍습도 어느 정도 공유하여 이질감이 큰 다른 부족들끼리 묶이던 아프리카 여타 국가와 다르게 잘만 했으면 하나의 부족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질 수도 있었고, 더 나아가 르완다부룬디는 한 나라를 이루었을지도 몰랐다.

그런데 이 두 나라를 식민지로 병합한 벨기에 제국식민지 내 부족들이 한데 뭉쳐 저항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일부러 모호한 기준으로 부족들을 분류하고, 또한 이를 기준으로 차등 대우하여 분열과 재앙의 씨앗이 싹트기 시작했다.

분할통치(Divide and rule)는 옛부터 강대국들이 피지배민들을 이이제이시키는 고전적인 수법이었다. 즉, 특정 그룹에게 특혜를 몰아줘 여타 그룹은 소외시키거나 학대해 이들이 서로 싸우게끔 조장하여 설령 저항하더라도 각개격파하기 쉽도록 만드는 것이었다. 아프리카·중동·동남아시아·남아시아에서 일어난 수많은 내전과 민족/종교 간 분열은 대부분 19세기~20세기 초 이래 서방 제국주의 국가들이 식민지를 건설할 때 원활한 식민 통치를 위하여 이러한 저의로 이간질한 것에서 기인되었다.

벨기에가 부족을 구분한 기준은 바로 콧대 길이 혹은 재산으로, 제국주의자들의 부족 구분이 얼마나 쓸데없었는지를 알려 주는 좋은 사례다. 투치족이 후투족보다 키가 컸던 진짜 이유는 혈통이 달라서가 아니라 목축을 하는 투치족이 농사를 짓는 후투족보다 우유고기를 많이 섭취했기 때문이었다. 사실 이 방식은 잉글랜드 탐험가 존 해닝 스피크가 했었던 것이었다. 스피크는 당시 만연한 골상학 등 인종주의 이론을 겹쳐보면서 일지에 대다수가 상위층이던 투치족을 키도 크고 정치상으로 민첩하다고 적어 놨으며, 이후 귀국과 함께 르완다부룬디의 생활상을 유럽에 전했다. 그 뒤 점차 투치족은 우월한 부족, 후투족은 열등한 부족, 피그미 트와족은 반인반수의 이미지가 형성되었고, 이후의 식민통치에도 영향을 주게 되었다.

19세기 중후반에 이르러 르완다와 부룬디 간의 갈등을 이용하여 독일 제국이 그 지역을 식민지로 삼았다. 독일 제국은 르완다와 부룬디가 풍요로운 자원을 보유하고 있음을 알아채어 이 지역을 정복하기로 결정했으나, 르완다와 부룬디는 나미비아, 탄자니아, 토고, 카메룬과 같은 독일의 다른 식민지와는 다르게 내륙 지역에 위치했기 때문에 점령과 자원 획득이 어려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일 제국은 특정 부족들을 구분하여 현지 족장이나 왕에게 지원을 제공하고 상징적인 건축물을 세워주며, 이를 기반으로 자원을 얻는 방식하에 해당 지역을 통치했다. 다만, 독일 제국벨기에에 비해 한쪽을 차별하는 정책을 펼치지는 않았다.[3]

그러나 1918년 이후 제1차 세계 대전의 패전국이 된 독일 제국 대신 벨기에르완다와 부룬디 지역위임통치하기 시작했다. 벨기에는 이른바 함족 이론을 내세워 투치족 왕들을 앞세우고 후투족 족장을 강제로 폐위시켜 왕국을 없애고 토지 개혁의 명목으로 땅을 몰수했다. 분열 차별 정책을 통해 소수의 상류층 투치족과 다수 하류층 후투족을 분열시켜 르완다부룬디 지역을 유효하게 지배했다. 게다가 식민지배가 고착화되면서 벨기에에 붙은 부역자들도 생겨나 강제노동 정책과 무거운 세금, 가혹행위, 사법 집행들이 투치족의 이름으로 실시되었지만 이에 반발하는 투치족은 딱히 없었다. 특히 투치족 족장들이 후투족 근로징발의 대리인으로써 상술한 행위들에 대한 권한을 거의 무제한적으로 벨기에로부터 제공받으면서 후투족에 대한 착취를 주관하고, 부족 공동체를 식민지 통치 체제에 복속시켰으며, 투치족의 자식들은 벨기에가 세운 서구식 학교에 다니며 얻은 지식들로 행정과 정치 분야를 독식하면서 벨기에의 식민지 통치에 협조하여 대를 이어 부역했다. 덤으로 투치족이 르완다의 독립을 외친 것도 그 실제 목적은 외세에 부역하며 얻은 자신들의 기득권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서였다.

당시 많은 젊은 후투족들은 강제노동에 시달리느라 농사에 힘을 쏟을 수 없게 된 상황속에서 높은 세금과 (비옥한 토지에도 불구하고) 기아까지 발생하자 이에 벗어나려고 우간다로 이주도 했지만, 우간다도 헬게이트였다. 벨기에는 1935년 투치족, 후투족, 트와족, 귀화한 외국인을 식별하는 카드를 도입해 계급 간의 이동을 막았으며, 이렇게 쌓인 서로에 대한 편견과 증오는 외양으로 구분된 부족 사이의 선을 고착화시키고, 이러한 감정은 독립 후에도 이어졌다.

3. 증오의 연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르완다에서는 독립 기운이 무르익으면서 후투족 해방 운동이 성장했고, 기존에 투치족이 가지고 있었던 권력을 후투족이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 거세졌다.

1959년 르완다 왕국이 세워졌지만 후투족의 반투치 감정이 촉발되면서 투치족과 후투족 사이의 내전이 일어났다. 이때도 후투족과 투치족의 소규모 학살이 있었으나 잘 알려지지 않았다. 우스운 점은 그동안 투치족을 우대하던 벨기에는 이제 와서 후투족을 지원하여 투치족 정권을 전복시키려 했다는 점이다. 결국 투치족이 후투족에게 밀려나면서 국왕 키겔리 5세는 폐위되어 망명을 했고 1961년 1월 르완다는 공화국을 선포했다. 그리고 1962년 7월 르완다부룬디가 갈라졌고, 벨기에가 독립을 승인하면서 두 나라는 완전한 독립을 달성했다.

독립 후에 많은 투치족이 외국으로 쫓겨났고 1963년 이웃나라 부룬디의 투치족이 르완다를 기습 공격하여 후투족을 학살하고 이에 대한 후투족들의 복수로 르완다의 투치족이 피해를 입었다. 이 사건도 당대 영국의 유명 학자였던 버트런드 러셀
"나치의 유대인 말살 정책 이후, 가장 끔찍하고 조직적인 대량 학살"
이라고 표현했을 정도로 국제적인 파장이 컸다. 쫓겨난 이들 중 군주제를 지지하던 투치족은 끈질기고 아무리 죽여도 없어지지 않는다는 의미로 스스로를 '바퀴벌레'라고 부르며 반후투 게릴라 활동을 했고, 이후 바퀴벌레는 르완다, 부룬디 등 두 아프리카 신생국에서 투치족에 대한 멸칭으로 굳어지게 되어다.

그러다가 1966년에 부룬디에서도 왕정이 뒤엎어졌으나 부룬디는 대체로 투치족들이 득세하는 양상이었다. 한편 르완다에서는 1973년 후투족의 쥐베날 하뱌리마나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잡고 투치족 지도자들을 살해했다. 이때 살아남은 투치족들은 이웃 나라인 우간다로 도망쳐 1987년 르완다 애국전선(RPF; Rwandan Patriotic Front)을 결성했다.

1990년, 대다수가 투치족 난민들로 구성된 RPF가 우간다의 지원을 받으며 르완다 북부로 침입했다. 프랑스프랑코포니 아프리카의 지원을 받는 후투족 정권과 우간다의 지원을 받는 RPF 간에 벌어진 르완다 내전으로 인해 르완다 국내의 인종간 긴장이 높아지고 후투 파워(Hutu Power)의 등장을 가져왔다. 이데올로기로서의 후투 파워는 투치족이 후투족을 노예로 만들려하고 있으니 무슨 수를 써서라도 저항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사실 197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의 르완다는 경제 성장으로 동시기 아프리카 국가 가운데서 사정이 아주는 아니라도 꽤 좋은 나라였지만[4], 이 경제 성장이 커피 등 일부 작물의 수출에 의존한 것이다 보니 원래부터 고도성장과 마이너스성장을 번갈아갈 정도로 경제 상황이 불안정했던 데다가 1980년대 후반 들어서부터 커피값이 폭락하자 외화 수입이 급속히 줄어들기 시작했고, 1987년부터 1991년까지 1988년 한 해를 제외하면 4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으며[5], 1993년에는 -8.1% 성장을 기록했다. 폭발적인 인구 증가로 인한 민둥산의 확산으로 농업 상황이 나빠지면서 르완다의 경제적인 쇠퇴에 쐐기를 박았다.[6] 이로 인해 빈민층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했는데 후투족 기득권층은 빈민층으로 전락한 후투족들의 불만을 투치족들에게 돌리려는 목적으로 후투파워라는 프로파간다를 널리 보급했다.[7] 당시 후투족 촌락에는 투치족을 죽여야 한다는 프로파간다가 하루 종일 방송되었다고 한다.

계속되는 민족 갈등과 반군에 의해 상당수의 후투족이 르완다 북부에서 밀려나고, 투치족이 남부에서 조직적으로 학살당했음에도 불구하고 쥐베날 하뱌리마나 정부에 대한 압력의 결과 1993년 정전협정이 체결되고 아루샤 조약[8]이 소급 실시되었다. 하지만 이는 후투족 기득권층의 반발을 더욱 불러일으켰는데 이 조약을 준수하면 후투족이 독차지하고 있었던 르완다 정부와 군대의 고위직을 투치족과 나눠 가져야 하는 데다가 후투족 몫에서 또 여당인 MRND가 야당들과 나눠가져야 했기 때문이었다.

한편 남부의 부룬디에서는 반대로 투치족 독재정권 시대가 마무리되면서 민주선거가 치러졌고, 그 결과 후투족 출신의 멜키오 은다다예 정권이 들어서게 되었는데 은다다예는 복수심에 사로잡힌 막장은 아니라서 신중하게 정책을 펼쳐 투치족을 고위직에 임명하는 행보를 보였지만 이로 인해 의회와의 관계가 악화되었고, 한편으로는 투치족의 영향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군대 재편과 토지개혁 정책을 실행하면서, 후투족 난민을 귀환시키는 정책을 폈다. 하지만 이로 인해서 기득권을 잃을까봐 두려워한 투치족들과의 긴장관계는 더더욱 고조되어, 결국 투치족 장교들이 은다다예를 살해하는 쿠데타 미수사건이 터지게 되었다. 쿠데타가 진압되고 난 후 1994년에 시프리앵 은타랴미라가 대통령이 되면서 총리를 투치족으로 임명하는 화합정책을 계속 유지했지만 후투족과 투치족 사이의 갈등은 위험수위로 올라갔다.

한편, 르완다에서는 아루샤 조약이 범과도정부를 요구했으나 과도정부는 성립되지 않았고, 후투족 내에서의 강경파와 온건파 사이의 갈등이 심화되던 와중에 1994년 4월 6일 후투족 출신의 르완다 대통령인 쥐베날 하뱌리마나부룬디 대통령인 시프리앵 은타랴미라가 비행기 요격 사건으로 수도 키갈리 근처에서 사망했다. 이 암살 사건으로 인해 르완다와 부룬디의 위기는 걷잡을 수 없는 수준으로 흘러가기 시작했다. 이 사건의 진범은 오랫동안 오리무중 상태였다가 2012년 프랑스 조사단의 조사 결과 후투족 극단주의자들의 소행인 것으로 밝혀졌다. 참모총장 테오네스테 바고소라[9]는 대통령 암살 후 대책위를 조직하고, 즉시 투치족을 죽이라는 명령을 내리기 시작했다.[10]

4. 르완다 학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르완다 학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르완다 학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르완다 학살#|]][[르완다 학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르완다 애국전선(RPF): 본대와 합류 후, 수도 함락

한편 아루샤 조약에 따라 수도 키갈리에 주둔하고 있었던 RPF는 비행기 사고가 일어나자마자 곧 공격받기 시작했다. 이들은 가까스로 포위망을 뚫고 북부의 본대와 합류했다.

1994년 7월 4일, RPF는 반격을 개시하여 키갈리를 함락하고 외부로 통하는 유일한 통로를 차단했다. 이에 키갈리에 갇힌 후투족 민간인 60,000명이 투치족이 주축이 된 RPF의 보복이 두려워 탈출하기 시작했고, RPF가 르완다 제2의 도시인 부타레와 후투족 최후 거점인 기세니까지 진격하자 남아있던 후투족들이 피난을 떠났다.

그동안 르완다 및 세계의 구호 기구들은 미국 정부 및 유엔의 개입을 요청했다. 학살이 일어나기 전에 Mouvement Démocratique Républicain de Parmehutu라는 단체에서 고위층에 속하는 후투족 남성이 유엔과 미국에 학살에 관련된 문서를 팩스로 송부했다. 이 문서에는 학살에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이 들어 있었지만 무시당했다. 미국은 모가디슈 전투 이후 여론의 반발 때문에 움직이기 어려웠고, 유엔도 서양 국가들의 눈치를 보느라 돕지 못했다.

6. 유엔군의 행적

이때 르완다에는 유엔 평화유지군이 주둔했지만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소속 국가들[11]이 반대한 탓에 제대로 활동할 수 없었다. 유엔의 '캡스톤 원칙'(Capstone Doctrine)에 따라 유엔 평화유지군은 폭력 사태를 저지하는 데는 재량권이 있었지만 강제력을 행사할지를 결정하는 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정이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총 15명의 유엔군 장병들이 순직했는데, 이는 밑에도 언급된 10명의 벨기에인 장병들에 가나인 3명, 세네갈인 1명, 우루과이인 1명을 합친 숫자였다. 벨기에군을 제외한 5명의 순직자 명단은 다음과 같다.

6.1. 벨기에: 병력 파견

한편 벨기에는 여러 다국적 군대로 구성된 유엔 평화유지군을 파병해서 르완다의 혼란을 수습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그러나 다른 국가들은
"르완다와 부룬디, 자이르 등 옛 식민지 출신 아프리카 국가들을 이렇게까지 생지옥으로 만든 장본인이 무슨 생각으로 평화유지군을 보내자는 뻔뻔한 소리를 하시는 겁니까?"
라고 비아냥거렸고, 결국 벨기에는 전세계의 냉담한 반응 속에 단독으로 병력을 르완다에 보냈다.

결국 총리 아가테 우윌링기이마나(Agathe Uwilingiyimana, 1953~1994)를 보호하던 평화유지군 소속 벨기에군 10명이 총리 부부와 함께 살해당하는 사건이 터졌다. 대통령 쥐베날 하뱌리마나가 사망하자 안전한 곳으로 피신하라는 주변 사람들의 권유가 있었지만 아가테는 이것을 거부하고, 유엔 평화유지군의 보호하에 국영 방송국으로 가서 정부가 상황을 통제하고 있으며, 평화조약을 준수하겠다는 내용을 방송해 상황을 안정시키려고 했다. 당연히 학살 주동자들에게는 절대 살려 두어서는 안 되는 인물이었다. 아가테 총리 부부에겐 4명의 자식들이 있었는데 총리가 자식들을 살리기 위해서 항복하자 대통령 경호대가 그 자리에서 총리 부부를 죽여버렸다. 그나마 다행으로 수색을 철저히 하지 않고 나가서, 숨어있던 네 자녀들은 모두 살아남았다. 벨기에군까지 죽인 것은 벨기에가 자기네 병사들의 피해를 감수해가면서까지 르완다에 개입할 리 없다는 후투 파워 지도부의 계산 때문이었고, 평화유지군의 중핵인 벨기에군이 철수한다면 유엔군도 나가서 자기네들이 마음대로 설칠 수 있으리라 여겼기 때문이었다.

살해당한 벨기에군은 공수부대 소속 박격포반 병사들로 총리를 보호하던 중 포로로 잡혀 산 채로 사지가 잘리고 거세당한 후 살해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것은 사실과 다르다. 아무리 후투족 민병대가 미쳐 돌아갔다지만 그렇게까지 하면 서방을 자극한다는 건 알고 있었다. 훗날 작성된 벨기에 상원 진상조사 위원회의 보고서 및 이것을 인용한 프랑스어 위키백과 내용을 보면, 이들은 풀어주겠다는 말을 믿고 르완다군 부대로 끌려갔으나 우선 4명이 칼(마테체)로 즉시 살해당했다. 물론 그렇다고 난도질하면서 죽인 건 아니고 그냥 죽였다고 한다. 이에 나머지는 중위 로탱의 지휘하에 주변 건물로 들어가 저항했으나 이 병사들을 압도하는 후투족 민병대의 공세에 전원 전사하고 말았다. 이와 달리 거세 운운하는 이야기의 출처는 영어 위키백과에 인용된 미국 국적의 작가 스콧 피터슨(Scott Peterson)의 책《Me Against My Brother》(2001)인데 피터슨은 여기서 실제로는 중위(Lt.)와 상병(Cpl.)이었던 희생자들을 모두 이등병(all of them privates)이라고 적었으며 그 출처도 전혀 명시하지 않아 신뢰하기 어렵다. 또한 미국 국적의 또다른 작가인 키스 리치버그(Keith B. Richburg)도 자신의 책 《Out of America》(2009) 서문에서 피터슨의 책을 인용한 바 있으나 이것은 이러이러한 소문을 믿지 않았는데, 내가 직접 와서 참상을 보니 다 사실인 듯하다는 취지에 불과하다.

하지만 당시 평화유지군 사령관으로 파견된 캐나다군의 로메오 달레르 중장은 최초 보고를 받고 영안실에 가서 벨기에군의 시신을 확인했을 때, 이들의 시신이 처참하게 훼손(mutilated)당했다고 기록했다. 이에 너무 충격을 받아서 10구의 시신을 2번이나 거듭 셌음에도 11구로 잘못 셌을 정도였다. 총도 아니고 칼로 죽였으니 곱게 죽지 못한 것은 맞는 듯.

벨기에군 희생자 명단은 다음과 같다.

6.2. 프랑스: 학살 조장

르완다 대학살은 20세기 후반 인류사 최악의 비극이었다.
1994년 4월부터 6월까지 약 100일 동안 후투족 정규군과 민병대 "인테라함웨" 에 의해 당시 르완다 전체 인구의 20%에 육박하던 100만 명의 투치족들이 학살당했다.

그 100일 동안, 르완다의 카게라 강과 나바롱고 강에는 밤낮으로 마체테에 잘린 희생자들의 머리와 손발이 수없이 둥둥 떠다니는 지옥도가 펼쳐졌다.

이 학살에 쓰인 마체테 50만 자루는 1993년부터 1994년까지 중국이 수출한 것이었고, 그 대금은 프랑스 정부가 빌려준 돈으로 지불된 것이었다.

우간다로 피난했던 투치족들로 결성된 르완다 애국전선이 7월에 반격해와 전세가 역전되었지만 프랑스는 그때까지도 잔존해 있던 후투족 살인마들에게 계속 무기를 공급했다.

그리고 정권이 바뀐 후 르완다 신정부는 살인 정권의 각종 무기 구입에 든 10억 달러가 넘는 외채를 고스란히 넘겨받아야 했다. 어머니의 목을 베고, 동생의 손발을 토막치는 데 사용된 마체테의 구입 자금을 유족들더러 갚으라는 소리였다. 신정부가 부채를 탕감해달라고 호소했지만, 국제통화기금과 세계은행이 주도한 채권단은 이 요구를 묵살하면서 여차하면 르완다를 재정적으로 고립시키겠다고 협박했다.

기적적으로 목숨을 구한 르완다의 살아남은 농민들은 이제 동포, 이웃, 가족을 죽이는 데 든 비용을 프랑스 은행에 갚기 위해 오랫동안 굶주림에 시달려야 했다.
-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19> - 르완다 대량학살 사건 이후 #
프랑스 사회당프랑수아 미테랑[12] 정권도 르완다에 파병하긴 했는데 이들은 학살을 말리는 게 아니라 되려 학살을 조장하는 수준이었다. 애초에 후투 파워의 무기 공급을 도와준 것이 프랑스였고, 심지어 민병대 훈련도 시켜 주었으며, 한술 더 떠 학살당한 투치족이 세운 르완다 신정부에게 후투족이 동족들을 죽일 때 쓴 마체테 값을 대신 지불하라고 협박했다. 이것이 훗날 폴 카가메 치하의 르완다가 반프랑스 노선을 걷는 원인이 되었다. 르완다 정부에서 이에 대한 진실을 밝히려고 미국 로펌에 의뢰한 것이 2017년에 나온《뮤즈 보고서》였다.

프랑스의 미테랑 정권은 학살에 참여한 르완다군과 경찰을 훈련시키는 한편, 투치족 살해 대상자 명단을 작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고, 고위 프랑스 관리들은 투치족에 대한 비방에 참여하여 집단학살 논리를 가다듬는 데 이바지했다고 한다.《뮤즈 보고서》에서는 프랑스가 이런 짓을 저지른 이유로 르완다에 대한 영국과 미국의 영향력 확대를 배제하고, 자국의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해 학살을 자행한 당시 르완다 임시정부를 지원한 것으로 지적했다. 이쯤되면 농담이 아니라 르완다 학살의 진정한 원흉은 프랑스라고 봐도 무방한 수준이다.[13]

이후,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2019년 5월에 발족시킨 조사위원회는 르완다에서 80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비극에 프랑스가 개입했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를 담은 보고서에서 프랑스의 "무겁고도 중대한 책임"이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학살에 공모했다는 증거는 찾지 못했다고 결론지었다. # 2021년 4월에 기밀문서를 공개하기로 했다. #

프랑스 정부가 르완다 학살을 예측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 일도 안 해 결과적으로 80만 명 이상의 대량 학살을 가능하게 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르완다 정부가 펴냈다. #

7. 처벌

7.1. 배후자

배후자인 대령 투야하가는 후에 체포되어 벨기에에서 20년 형을 선고받았다.

2020년 세계 10대 현상범으로 꼽힌 적이 있는 돈줄 펠리시앵 카부가가 체포되었다. 카부가는 당대 르완다의 유명 부호이자 이 사건의 핵심 주동자 중 한 명으로서 르완다의 거의 유일한 라디오 방송인 RTLM을 통해 "투치족이 후투족을 강간한다!", "오늘도 투치족이 후투족을 때려죽였다!" 같은 방송을 시키며 혐오를 부추겼고, 투치족 학살에 이용된 무기들을 사 오는 데 돈을 대 주었다. 골때리는 건 각각 케냐와 스위스에서 두 번이나 진작 체포할 기회가 있었으나 케냐 경찰은 뇌물을 받고 정보를 누설하는 바람에 놓쳤고, 스위스는 관리 소홀로 그를 못 알아본 채 입국/출국을 허가했다.

7.2. 가해자

실제로 르완다 학살은 가해자들의 처벌이 상당히 제한되었다. 학살에 가담한 가해자들 중 대다수가 평범한 후투족들이었고, 그 수가 엄청났기 때문이었다. 이들의 숫자는 전체 르완다 인구의 거의 1/3 정도로 추산되는데[14] 수치가 이 정도 되면 처벌하고 싶어도 처벌하기 힘든 수준이다. 이들을 일일이 잡아다가 처벌하면 기껏 내전이 끝나 평화가 정착되었던 르완다에 다시 내전이 재발하여 영영 돌이킬 수도 없을 것이었다. 그래서 내전 종식 이후에 르완다의 대통령이 된 폴 카가메는 본인이 투치족 출신임에도 국가 통합을 위해 대부분의 가해자들에 대해서는 테오네스트 바고사라, 베르나르 투야하가, 펠리시앵 카부가 등 학살을 선동하고, 주도했던 몇 명을 제외하면 그냥 조용히 관용을 베풀고 넘어갔다.

그나마 잡힌 이들도 내전의 여파로 인해 경찰도 법원도 박살난데다가, 경찰이나 판사 같은 이들도 일부는 학살당하거나 난민이 되었고, 아예 그들 자신이 학살에 가담한 일도 많았기에 재판을 할 여지가 되지 않아 그냥 풀어주는 일도 있었다. 교도소도 관리가 안 되긴 마찬가지였으나, 의외로 교도소에 갇힌 죄수들은 매우 얌전했고 죄수 폭동 같은 것도 없었다고 한다. 실질적인 처벌은 후투족 지도자 일부로 끝났고 나머지는 가볍거나 형식적인 형벌을 받는 수준에 그쳤다.

실형을 선고한 관리들 중 다수는 말리쿨리코로에 있는 교도소에 수감되었다.

8. 이후 상황

8.1. 벨기에: 병력 철수

이 사태를 만들었다고 볼 수 있는 벨기에는 국내 여론이 나빠졌다는 이유로 벨기에군 병력을 철수시켰다.

8.2. 유엔: 병력 감축

거기에 더해서 평화유지군의 병력은 270명으로 감축되었다. 이렇게 되자 평화유지군 총지휘관인 중장 로메오 달레르(Roméo Antonius Dallaire)는 그나마 남아 있었던 네덜란드, 가나, 캐나다인 평화유지군을 모아서 '안전지대'를 형성하는 데 주력했다. 당시의 경험을 회고한 저서인《악마와의 악수》(Shake Hands with the Devil)가 있다. 그리고 중장 달레르는 이때의 경험으로 인해 PTSD를 앓고 있다.

8.2.1. 평화유지군의 활약

이런 최악의 상황에서도 평화유지군은 사람들의 목숨을 구해냈다.

9. 르완다 학살 이후

피난을 떠난 후투족들은 키갈리에서 서남쪽으로 30km 떨어진 임시정부의 잠정 수도인 기타라마로 가거나 국경을 넘어 탄자니아, 콩고민주공화국, 부룬디, 우간다 등 이웃한 아프리카의 국가들로 피난을 갔다. 피란 중 후투족 난민이 300만 명이나 발생했고, 식량 부족과 콜레라 등의 전염병으로 많은 피난민이 죽었다. 또한 이 피난민들 사이에 르완다 학살 사건 때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르완다군 탈영 장병들과 인테라하므웨 등 후투족 민병대원들이 섞여서 난민촌을 병영화시켰다. 이것은 내전이 종결된 후 르완다와 콩고민주공화국(옛 이름은 자이르) 간에 벌어진 국경 분쟁의 원인이 되었으며, 1998년에 일어난 아프리카의 세계 대전이라는 별명이 붙은 제2차 콩고 전쟁의 불씨 중 하나가 되었다. 물론 근본 원인은 르완다가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콩고 민주공화국의 불안정화를 의도하여 외부 개입의 가능성을 차단하려는 것이었지만. 이렇게 콩고 민주공화국으로 도피한 후투족 전범들은 연합하여 르완다 해방군(ALiR)을 결성했고, 이 르완다 해방군은 훗날 르완다 해방을 위한 민주군(FDLR)으로 재편되어 지금까지도 르완다 복귀를 거부하고, 콩고 민주공화국의 북동부에 눌러 앉아 지방 토호들의 후원을 받는 용병 겸 지역 유지 집단이 되어 키부 분쟁 등 여러 콩고 내전에 숟가락을 얹으며 현지 민간인들을 위협하고 있다.

한편 RPF는 7월 말에 전투 중지를 선언했고, 국제사회의 지지를 받고자 후투족을 향한 사사로운 보복을 금지시켰다. 후투족 난민은 1996년 말과 1997년 초에 르완다로 돌아왔다. 이 과정에서 수도 키갈리에 있는 호텔 밀 콜린스의 지배인이었던 폴 루세사바기나(Paul Rusesabagina)가 난민 1,200여 명을 100일 동안의 학살 속에서 보호하는 업적을 이루어냈으며, 이후 <호텔 르완다>라는 영화로 각색되었다.

피그미족이라 불리는 트와(Twa)족은 이 전쟁통에 애꿎게 30,000명 중 10,000명(전체의 1/3)이 학살당하는 비극을 겪었다. 이 트와족이 학살되었다는 것 때문에, 후투와 투치의 민족 문제보다 경제 문제가 더 큰 것 아니었냐는 반응도 있다. 실제로 지방에서의 학살은 대부분 마을 사람들 간, 심지어 친족들 사이에서도 일어났다. 왜냐하면 학살 뒤에는 죽은 사람이 가지고 있었던 재산(농사 지을 땅, 가축 등)의 분배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르완다 학살을 맬서스 트랩의 극단적인 형태로 보는 입장도 있다. 르완다는 아프리카 최고의 인구 밀집 농업국가였기 때문이다.[16]

비슷한 시기에 부룬디에서도 대학살이 벌어졌었다. 차이가 있다면 르완다에서는 후투족이 투치족을 일방적으로 학살했다면, 부룬디에서는 후투족 극단주의자들의 학살을 시작으로 투치족 군대가 보복하는 피의 보복전이 벌어졌다는 것이다. 부룬디는 이미 1970년대에 투치족 군부에 의해 후투족 20만 명이 학살되었는데 20년이 지나 다시 25만 명 이상이 학살로 서로 죽어 나갔다. 그 때문에 르완다와 부룬디의 학살로 죽은 사람의 수를 합하면 적게 잡아도 1주일 내에 백만 명으로, 이것은 킬링필드로 유명한 캄보디아 학살과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당시 서파키스탄인들에 의한 동파키스탄인 학살에 이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있었던 학살 중 3위에 해당한다.

이 학살 이후, 르완다는 아프리카에서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성평등한 나라가 되었는데, 내전과 학살로 남성들이 죄다 죽어나가는 바람에 여성이 가계를 이끌어야 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여성의 경제활동 확대로 인해 발언권이 강해졌고, 내전 종식 이후 집권한 파스퇴르 비지뭉구 전 대통령과 그 뒤를 이은 폴 카가메 현 대통령이 여기에 호응했기 때문이다. 물론 아직까지 사회문화적으로는 가부장적인 성차별이 심하게 남아있다.
파일:르완다 국기(1962-2001).svg 파일:르완다 국기.svg
2001년까지 사용된 국기 현재 국기
이 사건으로 인해 르완다의 국기도 교체되었는데, 이전 국기에 새겨진 빨간색이 내전 당시의 유혈 학살을 연상시킨다는 것과 분노를 조장한다는 이유로 국기에 대한 변경 및 수정 여론이 커져 2001년 현재의 국기로 교체되었다. 다만 르완다와 비슷하게 후투족과 투치족의 종족 갈등이 내전으로 이어졌고 내전 당시 학살과 전쟁범죄로 피를 흘렸던 부룬디는 현 자국 국기에 빨간색이 들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기를 교체해야 한다는 의견이나 움직임은 나오지 않고 있다.

르완다 정부는 학살에 연루된 프랑스 관리들에 대한 공식 조사에 착수하기로 했다. #

2017년 3월 20일, 바티칸을 방문한 르완다 대통령 폴 카가메와 만난 교황 프란치스코는 르완다 내전 당시 학살에 가담한 로마 가톨릭교의 일부 성직자의 잘못을 사과했다. #

2020년 5월 16일 르완다 대학살의 배후이자 자금줄이었던 펠리시앵 카부가[17]가 도피 25년 만에 프랑스에서 체포되어# 유엔 전범재판소 잔여업무처리기구[18]로 이송되었다. #

2020년 8월 31일 <호텔 르완다>의 주인공이었던 폴 루세사바기나가 르완다 당국에 의해 테러 혐의로 체포되었다. # 루세사바기나의 폴 카가메 정권 비판 때문에 표적이 된 것으로 보인다. 두바이에서 납치되어 르완다로 이송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 가족이 벨기에 정부에 도움을 요청했으나 # 결국 기소되었다. # 루세사바기나는 자신의 체포가 르완다 당국에 속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 폴 루세사바기나는 결국 유죄 선고를 받았다가, # 다행히 2023년에 석방되었다.

2023년 9월 19일. 르완다 대학살에 가담한 것으로 알려진 르완다의 전직 고위 관리가 프랑스에서 체포되어 기소되었다. # 10월 3일에는 전직 육군 장교 피에르 클라베르 카랑와가 1994년 4월 무기나 대량 학살에 가담한 혐의로 네덜란드에서 체포되었다.#

2024년 4월 르완다 대학살 30주기를 맞아 카가메 대통령과 여러 나라의 전•현직 정상들이 참석한 가운데 추모식이 열렸다. #

10. 대중매체


[1] 아래 나와있는 세력들 외에도 수많은 무장 단체 및 반군들이 얽혀 싸웠다.[2] 비록 르완다부룬디가 원래부터 다른 나라로 독립하는 과정에서 분리되었기에 르완다어룬디어도 다른 언어로 분류되지만, 사투리 수준이라 의사소통에 있어서는 큰 지장이 없다. 또한 르완다부룬디프랑스어영어공용어로 지정했지만 타 아프리카 국가에 비해 식민지 언어로의 잠식 정도는 상대적으로 낮다.[3] 그 덕에 지금도 독일르완다부룬디 사이의 관계는 나쁘지 않다. 독일식민지 흑인들에 대해 벌인 가혹한 학살과 유혈 진압으로 식민통치한 탄자니아나미비아에서 반독 감정이 강한 것과는 대조된다.[4] 사실 하뱌리마나 집권 전 르완다는 미얀마를 제외하면 지구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였다. 이웃나라이던 부룬디모디보 케이타가 경제를 말아먹은 말리보다도 가난한 것은 물론이고 1인당 GDP가 50달러를 넘긴 것도 1970년(55.2달러)였으니... 1974년 69달러이던 게 1975년 124달러(뒤에서 7위)로 오른 후 1978년 세계 10대 빈국을 탈출하고 1981년 약 255달러로 뒤에서 14위를 기록했으며, 이후 성장세가 주춤해졌어도 1984년 세계 20대 빈국을 탈출하고 최전성기인 1988~1990년에는 약 345달러로 파키스탄보다 잘 사는 세계 27대 빈국으로 입지가 대폭 올랐다. 덤으로 1978~1990년에는(1985년 제외) 중국보다도 1인당 GDP가 높았다. 차라리 1990년에 사임하지 그랬어[5] 1987, 1989년에는 -0%대, 1990~1991년에는 -2%대를 찍었다.[6] 1990년 345달러이던 게 1991년 254달러(뒤에서 14위)로 폭락하고, 1992년 264달러(뒤에서 21위), 1993년 247달러(뒤에서 16위)로 제자리걸음을 걷는 상황이었다.[7] 의도적으로 외부의 적을 만들어 내부의 불만을 잠재우는 것도 고전적인 수법이다.[8] Arusha Accords, 조약이 체결된 탄자니아아루샤 시의 이름을 땄다.[9] Théoneste Bagosora, 1941~2021[10] 바고소라는 전쟁 무렵에 자이르, 카메룬으로 도피했다가 1997년에 집단 학살 등의 11가지의 국제 범죄 혐의로 재판에 회부되어 2008년 12월 18일에 종신형에 처해졌다. 그후 바고소라는 가석방 신청이 거절된 지 약 반년 뒤인 2021년 9월 25일에 향년 80세로 감옥에서 사망했다.[11] 비상임이사국 중 하나가 다름아닌 르완다였다.[12] 사후 르완다 내전에서 후투족 정부군이 벌인 투치족 학살에 무기를 지원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어 비판받았다. 다만 르완다 내전이 발생한 것이 1994년인데, 이때 프랑스는 여당이었던 사회당이 하원 선거에서 대참패를 겪고, 우파가 대거 당선되어 에두아르 발라뒤르를 중심으로 2차 동거정부가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미테랑에게만 책임을 묻기도 뭐하다. 실제 르완다 정부의 보고서에 따르면 에두아르와 다른 프랑스 공직자들이 연루되어 있었다고 한다. 물론 미테랑의 실권 여부를 떠나, 본인이 프랑스 대통령으로써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건 비판받을 여지가 있겠지만. 특히 국방, 외교 분야는 외치에 관한 것으로 대통령 본인 소관이다.[13] 짐바브웨구쿠라훈디 학살의 흑막이 북한인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14] 디만 2006년에 있었던 한 연구에 따르면, 내전 당시에 사람을 1명이라도 죽인 사람은 약 17.5만~21만 명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당시 후투족 성인의 7~8%, 후투족 성인 남성의 14~17%에 맞먹는 값이었다고 한다. 물론 이 수치도 당시 르완다 인구의 2.6~3.1%에 육박하는 엄청난 비율인 것은 마찬가지이지만.[15] 20만명 정도의 후투족 난민이 전쟁 전 실종되었는데 콩고 정부가 르완다를 자극하지 않으려고 이들을 르완다로 인도하려 하자 저항했고, 결국 답이 없자 전부 죽였다는 설이 유력하다.[16] 인구 밀도 320명/km2(27위)[17] 이 인물은 넷플릭스의 다큐멘터리 시리즈 <원티드: 세계 최악의 수배자들> 2화에서 소개된다. 다큐 제작 중에 체포되어 마지막에 실제 체포 장면이 나온다.[18] MICT, Mechanism for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s[19] 후투족 온건파 여성인 아닉(엘리안 우무하이어 분), 부모를 잃은 투치족 고등학생인 무테시(볼라 콜레오쇼 분), 후투족과 투치족의 혼혈인 수녀 자넷(샤메인 빙와 분), 미국인 자원봉사자 대학생인 페이턴(엘라 캐논 분) 등 4명이다.[20] 학생이 악의적으로 협박한 것은 아니고 '어떻게 사람으로서 그런 짓을 할 수 있느냐, 이러고도 진심으로 반성을 하긴 하는 거냐'라며 화를 냈다. 이 수위는 학생에게 자신의 경험담을 말할 때 두 여성의 사진들을 꺼내 보여주면서 '내 가족들인데 모두 죽고 나만 살아서 도망칠 수 있었다'라고 말한 적이 있었다. 그런데 사실은 그 수위가 르완다에서 살해한 여성들의 사진이었다.[21] 《서유기》의 손오공 일행이 서울 및 대한민국에 눌러앉으면서 겪게 되는 에피소드들로 이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