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r98k Mauser Karabiner 98 kurz 단축형 마우저 98식 기병총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볼트액션 소총 | ||
원산지 | [[나치 독일| ]][[틀:국기| ]][[틀:국기|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35년~현재 | ||
개발 | 파울 마우저 | ||
개발년도 | 1935년 | ||
생산 | 마우저 DWM 자워 & 존 폭스바겐 등 | ||
생산년도 | 1935년~1947년 1961년~2009년 | ||
생산수 | 14,600,000정 이상(~1945) | ||
단가 | 55 라이히스 마르크(1941) | ||
사용국 | [[나치 독일| ]][[틀:국기| ]][[틀:국기| ]] [[동독| ]][[틀:국기| ]][[틀:국기|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스페인| ]][[틀:국기| ]][[틀:국기| ]] [[이스라엘| ]][[틀:국기| ]][[틀:국기| ]] 등 | ||
사용된 전쟁 | 스페인 내전 제2차 세계 대전 국공내전 6.25 전쟁 베트남 전쟁 중동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등 | ||
기종 | |||
원형 | Gew98 및 Kar98b | ||
파생형 | NM149 자스타바 M98/48 M43 FR8 | ||
제원 | |||
탄약 | 7.92×57mm 마우저 | ||
급탄 | 5발 들이 탄 클립 | ||
작동방식 | 볼트액션 | ||
총열길이 | 610mm | ||
전장 | 1,110mm | ||
조준 반경 | 500mm | ||
중량 | 3.7~4.1kg | ||
탄속 | 760m/s | ||
유효사거리 | 500m (기계식 조준기 사용) 1,000m (망원조준경 사용) | ||
최대사거리 | 4,700m | }}}}}}}}} |
[clearfix]
1. 개요
Karabiner 98 kurz (Kar98k)[1][2]제2차 세계 대전에 사용된 나치 독일의 볼트액션 방식의 제식 소총이다. Karabiner 98 kurz(1898년형 단기병총.) 줄여서 Kar98k는 Kar98b에 총열을 조금 더 줄인 개량형으로서 전작인 Gew98 계열과의 차이는 총신의 핸드가드 부분에 움푹 파여있던 그립이 사라진 것 등이 있다.
2. 구조와 작동원리
내부 구조 |
작동 방식 영상 | 야전 분해 영상 |
3. 탄생 배경과 역사
이름의 뿌리를 찾자면 상당히 길다. 일단 Gewehr 98로부터 Kar 98b라는 파생형이 생겨났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개량된 부분은 탄젠트 방식으로 변경된 기계식 조준기, 넓은 총기 멜대를 달 수 있는 고리의 추가, 그리고 마지막으로 장전의 편의를 위해 아래쪽으로 구부려진 노리쇠 손잡이 등 몇몇 부분만의 향상이었을 뿐, 총열의 단축은 없었다는 것이다. 즉 Kar 98b는 Karabiner라는 이름과 달리 Gewehr 98의 단축형이 아니며, 베르사유 조약에서 "독일은 기병총만이 생산 가능하다"는 항목을 위반하지 않으면서 소총을 계속 생산하기 위한 꼼수로 그런 이름을 갖게 된 것이다.그리고 이 가짜 기병총인 Kar 98b을 개량한 것이 진짜로 짧아진 Kar 98k이다. 결과적으로, 이름의 k(kurz)만이 실질적인 단축의 의미를 지니게 된다. 아돌프 히틀러가 집권하고 독일 재무장이 가속화 되면서 이 총의 카빈형을 기반으로 한 신형 소총인 Kar98k가 독일군의 제식소총으로 채용되었다.
사실, Kar98k는 여러 면에서 Gew98과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이 총이 채택된 것은 여러가지 요인들이 있었다.
우선 독일은 베르사유 조약의 제한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비밀리에 무기 생산을 진행하고 있었고, 새로운 신형 소총 연구도 진행되었다. 그러나 소총은 그 중요성이 낮게 인식되었고 이로 인해 새로운 소총 개발은 후순위로 밀려났다. 거기에 20~30년대에 대공황이 각국을 강타하면서 군축이 이루어지는 분위기도 소총 개발에 큰 타격을 주었다.[3] 또한 독일군의 교리상 미군과는 달리 우수한 기관총이 보병의 화력을 담당하였으며 MG34와 MG42 같은 훌륭한 기관총들이 있었기에 소총의 비중은 그리 높지 않았다.
하지만, Kar98k는 과거 Kar98az의 교훈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을 뿐만 아니라 모터사이클 부대 등 기존에 비해 길이가 짧은 총을 필요로 하는 분야별 부대의 증가에 따라 개발되었다. 무엇보다도 독일이 재군비를 시작하면서 당장 보병의 무기 보급이 문제로 대두되었고 이에 따라 Gew98과 거의 차이가 없어 독일 내에 많이 남아있는 탄약 재고들과 호환이 되고 1차 대전 참전자 등 Gew98 사용자들을 바탕으로 빠른 시간 내에 정규군을 만들어낼 수 있는 Kar98k는 보급과 훈련면에서 유리하였다.
Forgotten Weapons의 Kar98k의 2차대전 이전부터 전시형 모델까지의 변화 비교 영상 |
아무튼, Kar98k는 1935년부터 대량 생산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때까지 독일군의 제식소총으로 사용되었다. 총 생산수는 1460만 정. Gew98과 Kar98k를 합치면 약 2000만 정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이 생산된 볼트액션 소총이다.[4]
하지만 이렇게 많은 생산량이지만, 황당하게도 이 생산량 때문에 성능이 더 뛰어난 돌격소총 StG44의 생산이 중지되기도 했다.[5] Kar98k과 가격 차이가 별로 없던 무기였지만 보급은 달라서 이미 대량으로 사용 중인 탄환과 StG44의 탄환은 호환이 되지 않았다. 안 그래도 벌인 판에 비해서 공업력이 떨어지는 독일이 총탄을 두 종류로 나눠서 대량 생산하기는 어려웠기에 히틀러도 이 점을 염려하여 StG44의 생산 중지 명령을 내린 것.
4. 저격형
원본인 Gewehr 98와 마찬가지로 역시 7.92×57mm 마우저 탄환을 사용하였으며, 볼트액션의 특성과 접목되어 정밀한 사격 정확도를 자랑한다. 때문에 제한적인 개수를 가해 저격총으로도 사용했다. 개수 방식은 아래와 같다.ZF-41 스코프를 장착한 모습 |
- 1.5배율 스코프인 ZF41을 다는 경우. 일반적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스코프"는 대부분 뒤쪽에 마운트되는데, ZF41의 경우는 배율은 작은 대신 마운트를 탄젠트식 가늠자의 옆쪽으로 부착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흔히 "스카웃"이라고 불리는 거의 초기의 전방형 스코프 마운트로서의 오리지널리티가 있다고 볼수 있을 듯. 이 방식의 장점은 구형 소총의 경우 재장전 문제가 해결된다는 점이다. 당시의 총기들은 대부분 총기 상부로 스트리퍼 클립을 집어 넣어서 직접 장전하는 방식이었는데, 다른 방식과 비교해서 전방형 스코프를 사용할 경우 재장전시 한발 한발 집어 넣을 필요가 없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 스코프는 본래 저격수가 아닌 일반 보병 분대 내에서 가장 높은 사격실력을 가진 인원에게 지급해 지정사수로 운용하려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Forgotten Weapons의 ZF41 리뷰 | 9-Hole Reviews (+ InRangeTV)의 ZF41을 장착한 Kar98k 사격 및 리뷰 |
1. ZF41을 장착한 Kar98k를 거치대에 거치한다. 거치대는 총이 고정이 잘 될수록 좋다.
1. ZF41의 대물렌즈의 선셰이드를 벗긴다.
1. (영상 13:46) 전용 도구를 대물 렌즈 앞부분에 걸고 반시계 방향(총구쪽에서 바라볼 때, 사수 시점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돌려 고정 링을 풀어주고 대물렌즈 쪽 경통의 커버를 돌리면 두 개의 슬롯이 드러난다.
1. Kar98k의 기계식 조준기로 100 m 거리의 표적지를 조준[6]하고 3발을 쏜다.
1. 3번에서 언급한 두개의 슬롯에 자그마한 쇠막대를 꽂고 움직여 3발 사격 탄착군의 중앙에 오도록 조절한다. 메뉴얼에 따르면 막대를 움직이면 조준점은 특정한 패턴을 따라 움직인다고 하는데 사수의 입장에서 볼 때 이건 그냥 랜덤하게 움직인다.
1. 조절이 끝났다면 커버를 다시 돌려놓고 3발을 다시 사격해 영점이 잘 잡혔는지 확인한다.
이론상으로는 ZF41 영점 조절에는 6발이면 끝이 나지만 야전에서 이 물건의 영점을 잡는 것은 보통 힘든 일이 아니다. 우선 총을 단단히 고정시킬 거치대를 구하는 것부터가 문제였고, 설령 구했다고 해도 사격하는 도중 총이 거치대에서 이탈하면 처음부터 다시 영점 조절을 해야 했다. 탄약의 정밀도 역시 걸림돌이 되었다. 당시 일반 보병에게 지급되는 7.92×57mm Mauser탄의 정밀도는 무려 5 MOA 수준이었는데, 대충 100 m에서 탄착군 지름이 15 cm나 된다는 말이다. 상기한 "조절시 랜덤하게 움직이는 조준점" 문제, 그리고 "총이 거치대에서 이탈 시 처음부터 다시"라는 문제들이 겹치고 겹치면 쬐깐한 스코프 하나 영점 조절하는데 수백 발이 든다는 말이다.[7]1. ZF41의 대물렌즈의 선셰이드를 벗긴다.
1. (영상 13:46) 전용 도구를 대물 렌즈 앞부분에 걸고 반시계 방향(총구쪽에서 바라볼 때, 사수 시점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돌려 고정 링을 풀어주고 대물렌즈 쪽 경통의 커버를 돌리면 두 개의 슬롯이 드러난다.
1. Kar98k의 기계식 조준기로 100 m 거리의 표적지를 조준[6]하고 3발을 쏜다.
1. 3번에서 언급한 두개의 슬롯에 자그마한 쇠막대를 꽂고 움직여 3발 사격 탄착군의 중앙에 오도록 조절한다. 메뉴얼에 따르면 막대를 움직이면 조준점은 특정한 패턴을 따라 움직인다고 하는데 사수의 입장에서 볼 때 이건 그냥 랜덤하게 움직인다.
1. 조절이 끝났다면 커버를 다시 돌려놓고 3발을 다시 사격해 영점이 잘 잡혔는지 확인한다.
이 스코프를 보급하기 시작할 때 독일군은 러시아 저격수들에게 상당한 피해를 입었고 이에 대항해 독일군 역시 저격수를 양성해야만 했다. 문제는 저격수들을 위한 ZF39 등의 제대로된 저격용 스코프는 그 물량이 많지 않았고 대신 아직 일반 분대에 지급하지 않은 ZF41이 대량으로 남아있었다. 그렇게 지정사수용으로 지급되어야 할 스코프는 방향을 바꾸어 저격수들에게 지급되었다. 저격수들에게는 더 정밀한 고성능 탄약을 지급하니 탄약 정밀도가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대신 분대 지정사수에게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았던 1.5배율이 400 m 이상의 장거리를 사격해야 하는 저격수들의 발목을 잡았다. 당연히 독일군 저격수들은 이 조준경을 혐오했다.
- 터렛 마운트, 주로 4배율 스코프를 사용할 때 사용한 방식으로 ZF39 스코프 장착이 가장 흔한 형태이다. 이 당시의 저격용 스코프의 트랜드라고 볼 수 있는 특징은 터렛 중간 부분에 구멍을 뚫어서 아이언사이트를 사용할수 있도록 한 점으로 탄피 배출구 부분의 앞뒤로 볼트 가공을 통해 장착하는 방식이다. 터렛 높이에 따라서 로우/하이로 나누기도 한다.
9-Hole Reviews의 ZF39를 사이드 스코프 방식으로 장착한 Kar98k 사격 및 리뷰 |
- 사이드 스코프. 터렛 마운트와 함께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독일군 저격병" 사진의 방식으로 ZF39 스코프를 위주로 하여 장착했으며 아이디어 자체는 터렛마운트와 동일하게 "응급상황시에 아이언사이트를 사용할 수 있는"[8] 형태로 고안된 방식이다. 레어한 경우는 J.P 자우어사의 마운트 방식이며, 지지대가 수직이 아닌 사선형으로 배치된 경우. 참고로, 이 사이드마운트는 핀란드군의 모신나강에도 사용되었다.
5. 공수부대용
독일어 : Abnehmbarerlauf
한국어 : 탈부착식 총열
공수부대를 위해 제작되었으며 나사 모양의 총열을 통해 부착 및 분해가 가능하다. 아이디어는 좋았으나 군부 측에서 딱히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 데다가 설상가상으로 크레타 전투 이후 공수부대의 입지마저 줄어들면서 프로토타입만 제작되고 채용에 실패했다.
6. 타국의 사용
Kar98k는 중동이나 남미 쪽에 뿌려진 양이 꽤 되고 볼트액션이라 고장 날 구석이 없어, 수명도 길어서 전간기부터 현대까지 세계 곳곳에서 쓰이고 있다. Kar98k과 SMLE는 모신나강과 함께 AK-47 소총 이전에 가장 많이 뿌려진 소총들이다. 전후에도 워낙 많은 총기 재고와 탄약 재고가 남았던 탓에 수많은 나라가 이 총을 가져다가 썼다. 주로 소련이 대량 노획 후 위성국에 탄약과 함께 공여한 사례가 많으며, 심지어 공장을 통째로 뜯어다가 플랜트 단위로 수출한 경우도 많다. 심지어 6.25 전쟁 당시 북한군과 중국군이 상당량 사용한 것에 이어 베트남 전쟁까지 베트콩 및 북베트남 후방부대에서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을 정도였다.6.1. 일본 제국
일본군도 수천 정을 공여받았는데, 이는 전쟁의 확장으로 인해 소총 부족 현상을 겪은 상황에서 독-일 동맹 성립에 대한 일종의 서비스였다. Kar98k 수천 정 외에도 체코제 Vz.24 등 마우저 계열 소총을 총 5만정을 수입했다. 그러나 외국제 무기의 도입은 탄약 호환 등의 문제를 발생시켰고, 결국 독일에서 수입한 총들은 본토내 부대의 훈련용으로만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일부는 관동군을 비롯한 중국 내 주둔군과 만주군에 보급되어 노획한 중국제 마우저 소총과 함께 중일전쟁에서 사용되었다. 이 덕분에 만주국의 도시 중 하나인 봉천에는 조병창이 세워져 중국제 마우저 4만정이 생산되어 납품됐다. 다만 봉천 조병창은 만주사변 한참 전에 봉천군벌의 수장 장쭤린이 1차 대전에서 패망한 독일의 소총 생산 라인을 사들여 세운 것이기에 만주국 한참 이전부터 극동 최대 군수공장으로 유명했다.6.2. 이스라엘
아이러니하게도 이 총을 가장 증오할 것 같은 유대인들이 세운 이스라엘의 건국 초기 제식 소총이었다.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Kar98k을 대량으로 수입해서 1956년까지는 주력 소총으로 사용했고 1973년 4차 중동전 때까지도 2선급 장비로 대량 운용했으며, 이 시기 이스라엘군은 Kar98k을 7.62 NATO로 컨버전 했다. 여담으로 나치의 상징인 하켄크로이츠가 각인되어 있어 이스라엘군은 이를 지우고 사용했다.6.3. 프랑스
Forgotten Weapons의 프랑스제 Kar98k 리뷰 영상 |
6.4. 중화인민공화국
일본군, 만주군, 국민혁명군 등에서 대량 노획했으며[10] 소련이 2차대전중 노획한 것들을 공여받기도 하여 모신나강과 함께 주력 소총으로 사용했다. 6.25 전쟁에도 가지고 왔으며, 이 중 일부가 국군과 미군에게 다시 노획되어 사용되기도 했다.[11]6.5. 베트남 민주 공화국
북베트남도 소련으로부터 많은 양을 공여받아 정규군과 민병대 등 여러 부대에 보급하여 유용하게 썼다. 덕분에 월남 파병 당시 한국군이 노획하여 가져온 총들이 여의도 안보전시관이나 전쟁기념관 등에 전시되고 있다.7. 현대
현재도 서플러스 마켓에서 잘만 굴러다니는 총이기도 하다. 단지 요즘은 독일 정품보다는 유고제가 대세인 편이고, 주로 M24/47과 M48(자스타바)가 풀려 있으며 가격도 다른 총기들에 비해서는 싼 편에 속한다. 독일 정품과의 차이점은 탄젠트 가늠자 부분으로 정품의 경우는 가늠자 뒤쪽의 총열이 노출되어있는 것에 비해서, 유고제의 경우는 이 부분을 목재로 덮은 것이 특징. 단지 가격은 그 계통 총기들보다는 상당히 비싼 편이어서 300~400달러 선에 해당하기 때문에, 정품과 복제품을 가리지 않고 아직도 엄청난 수가 남아 비교적 값싼 모신나강이라든가, 다른 총기들에 비교해서는 비싼 총기에 해당한다.[12]북미의 민간시장에서 7.92mm 마우저 탄약이 아주 단종된 탄약은 아니지만 유고 같은 곳에 수입해오는 서플러스 탄약이 동난다면 비싼 수렵용 탄약을 사서 써야 하고 흔치 않은 탄약이다 보니 북미 쪽에 입수하기 쉬운 .308 윈체스터나 .30-06 스프링필드로 총열을 교체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7.1. 독일연방공화국
현재는 독일연방군 의장대가 쓰고 있으며, 이들 덕분에 독일 국내에 소규모의 생산 설비가 아직도 남아 있다. 손망실 보충 및 노후 교체용으로 연 몇 정 정도는 구매한다고 한다.
7.2. 노르웨이
Forgotten Weapons의 기본형(좌)/ZF41 장착형(우) 리뷰 영상 |
8. 기타
볼트액션 소총으로써의 완성도는 흠잡을 데 없으며, 현대까지 생산되는 모든 볼트액션 소총의 아버지라 불릴 정도로 안정적인 성능과 지속 사격능력을 가지고 있다.[13] 그러나 자원이 부족해 물자를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던 독일은 볼트액션이란 한계는 명확하여 시대가 변하며 M1 개런드, SVT-40 등의 반자동 소총이 적국에서 등장하자 독일은 화력의 열세를 느끼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G41/43, FG42, StG44 등을 개발하였다.kar98k가 다른 볼트액션 소총과 구분되는 특징중 하나가 개머리판을 관통하는 구멍과 그것을 보강해주는 디스크가 있다. 이것은 마우저소총의 공이를 빼는 과정에서 볼트를 여기에 넣어 쉽게 공이를 뺄 수 있게 해주는 도구로 게베어 1898에도 있던 오래된 장치다. 자세한 내용 및 사용법은 해당 문서 참조. 그러나 나무에 따로 구멍을 뚫고 금속디스크로 보강하는 것이 생산 비용을 낭비한다고 생각했는지 전쟁중에 개량형에서는 금속디스크가 간소화되었고 말기형에는 아예 디스크도 아니고 개머리판 뒤쪽 금속보강부에 구멍하나 뚫는 것으로 간소화 시켜버린다. 총기정보가 잘 없던 과거에는 이 구멍을 두고 총기 보관용이라고 주장하는 오류도 많았다.
대한민국 국군도 가지고 있는데, 육군종합정비창에 출처 불명의 Kar98k가 있다는 목격담이 있다. 6.25 전쟁 당시 노획된 것이거나 한국광복군이 가져온 것일 가능성도 있다. 참고로 한국군은 카빈 뿐만 아니라 아리사카도 치장물자로 한가득 가지고 있다는 카더라가 있다.
연합군의 노르망디 상륙 작전의 오마하 해변에서, 2정의 MG42로 12,000발을 쏜 후 탄약이 떨어지자 2정의 Kar98k로 400여 발을 쏘아 다수의 미군을 사살했다고 주장하는 하인리히 제페를로라는 사람이 있다. 잡혀서 포로가 된 후에는 오마하 해변의 괴물이라는 별명까지 얻었다고 전해진다.
이라크의 주장에 따르면, AH-64도 격추한 적이 있다. 2003년 이라크전 당시 아파치 한 대를 민간인 농부가 격추했다는 이라크 측 홍보 보도가 있었는데, 이때 이라크 방송이 취재한 농부의 소총이 Kar98k였다. 하지만 사실은 대공포에 맞고 불시착한 아파치 앞에 농부를 세워놓고 찍은 홍보용 보도다. 애초에 아파치의 콕핏은 물론이요 장갑은 소총탄 따위로는 뚫을 수도 없다.
Forgotten Weapons의 FR8 리뷰 영상 |
9. 대중매체
Karabiner 98k가 등장하는 작품 목록.물론 유명한 총이지만 한국사와는 별 인연이 없는 총이다보니 밀덕이 아닌 일반인들에게까지 알려진 총은 아니었는데, 이 총이 등장한 PUBG: 배틀그라운드가 대박을 치면서 밀리터리에 관심이 없는 일반인 게이머들에게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그 부작용으로 비슷하게 생긴 모신나강 등 다른 볼트액션 소총이나 심지어 조총같은 총기도 대충 목재로 만들어졌고 오래된 것 같으면 죄다 카구팔이라고 싸잡아 부르는 현상도 생겼다.
9.1. 영화ㆍ애니메이션
제2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한 영화에서는 독일 국방군의 주력소총인 만큼 당연하게 등장한다. 다만 생산성에선 밀리지만 상징성과 화력, 특유의 중후한 분위기 때문인지 그 시대를 철저히 고증한 작품이 아니라면 대부분 엑스트라들이 많이 들고, 사격장면은 볼트 액션으로 인한 느린 발사속도로 인해 긴장감이 안들고 간지가 나지 않아 그냥 따다다다 갈길 수 있는 MP40이 많은 편이다.그래도 워낙 그 수가 많아 대표적으로 뽑는다면...
- 기동전사 건담 0080: 주머니 속의 전쟁 - 짐 스나이퍼 II가 이 총의 디자인을 모티브로 한 75mm 구경의 스나이퍼 라이플을 장비한다고 설정되어 있다. 제식번호까지 Franz EF-KAR98K. 다만 애니메이션 상에서는 장비하지 않았다.
}}} || ||
뉴시즌에서 제2차 세계 대전과 관련해서 독일군의 무기로 등장.
}}} || ||왼쪽은 일반적인 모델, 오른쪽은 저격용.
- 마스터 키튼에서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의 비자금을 추적하던 키튼과 그 일행이 마을의 성직자가 숨겨두었던 Kar98k로 그들을 추격하던 구 루마니아 비밀경찰과 맞서 싸웠다.
초반에 낙하한 리처드 윈터스가 총을 잃어버려 습격한 독일군 시체에서 한정을 노획하여 가지고 있다가 후에 공수부대원들의 시체에서 새 M1 개런드 소총을 찾으면서 버려진다.
}}} || ||왼쪽은 일반적인 모델, 오른쪽은 저격용.
}}} ||<width=33%> ||<width=33%> ||}}} || ||}}} || ||
- 인디아나 존스의 젊은 시절을 다룬 드라마에서는 Gew98이 아닌 Kar98k가 등장한다.
}}} || ||
왼쪽은 일반적인 모델, 오른쪽은 저격용.
}}} ||<width=33%> ||<width=33%> ||- The Cuckoo
9.2. 게임
- 가나다, ABC 순으로 정렬
- 데이 오브 디피트, 데이 오브 디피트: 소스
독일군 소총수와 저격수의 주 무기로 나온다. 소총수는 4번 키를 누르면 총구에 총류탄을 넣어 발사할 수 있으며 저격수는 총류탄이 없는 대신 스코프 달린 카구팔을 사용한다.
- 레드 오케스트라 2
독일군의 볼트액션 소총으로 나오는데 모신나강보다 소리도 무난하고 타격감도 무난하고 무난하다. 레벨 상승에 따라 총검과 개방형 가늠쇠를 지급해준다.
- 메달 오브 아너 시리즈
- 메달 오브 아너: 얼라이드 어썰트
StG44에 버금갈 정도의 위용을 보여준다. 볼트액션 특유의 투박한 이미지를 잘 묘사했다. 특히 독일군 저격수들이 사용하는 스코프 달린 Kar98k는 미군의 저격용 스프링필드보다 더 간지나게 묘사되었다. - 메달 오브 아너: 에어본
- 배틀필드 시리즈
- 배틀필드 1942
추축군 공병/정찰병의 주무기로 등장한다. - 배틀필드 1943
일본군 저격수의 무기로 등장한다. - 배틀필드 V
정찰병의 최종 해금무기로 등장한다. 기본 데미지와 탄속이 볼트액션 저격소총 중에서 가장 높으나 전작의 스윗-스팟 삭제와 좋지않은 조작성때문에 선호되는 총기는 아니다. - 배틀필드 2042/포털
1942의 K98이 재등장.
- 울펜슈타인 시리즈
- 리턴 투 캐슬 울펜슈타인
마우저 소총이란 이름으로 등장. 초반에는 아무런 부착물 없이 써야 하지만, 게임을 진행하다 보면 저격 스코프를 얻고 장착할 수 있다. 적들이 모두 근접전에서 강세를 보이는 탓에 자주 꺼내 들게 된다. - 울펜슈타인
전작에서 기본기였던 것을[14] 업그레이드를 해야 쓸 수 있게 바뀌었다. 덕분에 쓰기 어려워졌지만, 장거리에서의 높은 효율은 여전하다. - 울펜슈타인: 디 올드 블러드
FG42의 급탄 방식을 채용한 개량형이 붐벤슈스란 이름으로 등장. 아킴보는 불가능하지만, 높은 데미지와 중독성 있는 타격감을 가지고 있다.
- 인리스티드
추축군 기본 장비로 등장한다.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 콜 오브 듀티 이후 2차대전을 배경으로 한 타이틀마다 독일군의 주력무기로 개근했으며 1,2,3,월드 앳 워에서 모두 등장했다.
- 콜 오브 듀티: WWII
여전히 독일군의 주요 무기로 쓰이지만, 본작 독일군의 무장이 워낙 다채로워진 탓에[15] 비중이 줄었다. 또한 총기 사운드 면에선 비판이 많은 슬레지해머 게임스의 작품답게, 격발음이 상당히 김빠지는 건 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현대전 타이틀에서의 첫 등장. 볼트액션 DMR로 분류된다. 본작의 모든 볼트액션 라이플중 가장 뛰어난 조작성이 장점이다. 캠페인에선 우르지크스탄 해방 전선과 알카탈라의 병사들이 주둔지에 몇 정 놔둔 것을 주워서 쓸 수 있다. - 콜 오브 듀티: 모바일
Kilo Bolt-Action이라는 이름과 함께 지정 사수 소총(Marksman)군으로 분류되어 등장. 볼트액션 SR들 중 가장 연사속도가 빠르며, 기본 스코프가 아이언스코프라는 특징이 있다.[16] 그래서 타 SR들보다 줌 속도도 빠르기에 대부분 근접 교전용으로 사용하며, 간혹 고배율 스코프를 달고 중장거리 교전용으로 쓰는 사람들도 보인다. - 콜 오브 듀티: 뱅가드
딱히 단점이라 할 게 없는, 무난한 저격 소총으로 등장한다. 다만 저격총 특유의 느린 조준 속도 탓에, 개머리판을 떼고 쓰는 유저가 많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I 2023
시즌 4 시작과 함께 DMR 카테고리로 추가되었다. 목제 총몸이었던 이전작들과 다르게 검은색 폴리머 개머리판이 적용된 현대 재생산형 컨셉으로 등장했다.
- 히어로즈 앤 제너럴스
독일군의 볼트액션 소총으로 등장. 개조를 몇가지 진행하다 보면 적군 보병을 한 방에 보낼 수 있다. 주로 수색대와 보병이 사용한다. 수색대는 보병보다 우월한 부품으로 하여금 헤비셋 뱃지를 착용한 유저도 한 방에 보내줄 수 있는 특혜를 가지며, 장거리 조준에 특화된 가늠쇠를 가진다.
- AVA
스코프를 단 버전으로 스나이퍼의 캡슐무기로 등장한다. 반샷률이 꽤 높아서 잘 안보였고, 신 캡슐 버젼으로 반샷률이 꽤 낮아진 Rajin이 등장해서 부활하나 싶었으나 바로 하향을 먹어버렸다. 불행히도 반샷률도 높은 주제에 스코프 때문인지 클립 탄창도 안 준다.
- Hell Let Loose
독일군 보병 무기로 많은 로드아웃에서 등장한다.
- Post Scriptum
장전속도가 좋지 않다는 소리를 많이 듣는다.
- PUBG: BATTLEGROUNDS
저격소총으로 등장한다. 원래는 당시 맵 분위기에 맞는 모신나강이나 SV-98을 넣을 계획이였는데 에셋[17] 중에 없어서 비슷한 Kar98k가 들어갔다. 배그의 인기가 가장 높았던 서비스 초창기에 프라이팬과 함께 이 게임의 상징같은 무기였으며, 배그가 대박을 치면서 일부 밀덕들이나 알던 Kar98k의 인지도가 크게 올라갔다. 자세한 내용은 Kar98k(PUBG: BATTLEGROUNDS) 참고.
- SYNTHETIK
저격수 클래스에게 15레벨 때부터 기본무기로 지급하는 저격소총이다. 보스에게 추가 데미지를 주기 때문에 첫 보스를 만날 때까지 제대로 된 무기를 얻지 못해도 이길 수 있다. 다만 저격소총 치고는 탄퍼짐이 조금 있는 편이다.
9.3. 에어소프트건
독일군 소총 중 구하기 쉬운 소총으로, 폼나는 외양과 각종 게임에 단골로 등장한 덕분에 디보이에서 나온 에어소프트건은 입고될 때마다 금방 매진되는 인기 총기. 다만 한국에서는 2024년, 준수한 퀄리티와 구성에 가격이 훨씬 저렴한 아카데미과학제 Kar98k라는 경쟁자가 생겨나 디보이제는 인기가 살짝 하향세다.- 탄피형 카트리지식
일본의 마루신에서 Kar98k가 에어소프트건으로 발매된 적이 있다. 탄피에 BB탄을 끼워 사용하는 방식. 첫 출시 당시 국내 기준 가격이 1,250,000원 선이었다. 마루신에서 만든 가스&탄피식을 카피해서 G&G에서 G980라는 이름으로 내기도 했다.
현재는 단종되었기에 가격은 그나마 중국의 디보이(D-boy)제 에어코킹 라이플을 토이스타가 OEM 형식으로 판매하고 있어 250,000원에 구할 수 있다. 2017년에 재고 소진으로 단종되었으나 2018년 11월 말 재수입. 몇주 안되어 품절되었으나 2019년 3월에 재입고. 재입고 버전에서는 페이크우드, 리얼우드 두가지로 선택가능하며 전용 스코프가 포함되었다.
- 아카데미과학에서 생산을 발표했다. 2023년 카탈로그에 처음 등장, 이후 24년 4월에 작동 영상이 공개되었다. 링크. 아카데미 치곤 드물게 장전&배출이 구현되었다. 아카데미의 일본 협력사 인터 얼라이드에서 공개한 트윗에 따르면 볼트 어셈블리와 시어는 다이캐스트 재질이라고 한다.
2024년 8월말 기준 출시되었다. 98000원이라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훌륭한 재현율과 실물과 같은 크기를 갖추었다. 게다가 볼트 분리도 가능하고, 아카데미 아니랄까봐 튼튼해서 꽤나 호평받고 있다. 구성품도 1941년형 ZF41 스코프와 가죽 스트랩을 증정해주며, 탄피와 탄클립의 퀄리티도 좋은 편이라서 혜자스러운 구성이라며 호평이다.
또한 이거 하나로 에어소프트건 마니아들 사이에서 초딩해방군 전용 총기라는 악평만 듣던 아카데미의 민심을 떡상시킨 덕분에 스페셜 컬러 버전도 출시되는 등 아주 훌륭한 효자상품 노릇을 하는 중. 주황색 핸드가드가 컬러파트로 붙어있는 토이스타제와 달리 아카데미답지 않게 총구에 파란색 금속 컬러파트가 붙어 있고 볼트와 시어 등은 사전에 공개된 대로 다이캐스트가 맞다. 전용 메탈 탄피나 강화스프링을 이용하여 튜닝도 가능하다.
- 에어코킹&가스 하이브리드
PPS에서도 고가형 에어코킹/가스식 볼트액션으로 KAR98K를 재현했다.
- CO2
탄피식도 있지만 CO2 탄창 삽입식 버전을 G&G에서 내기도 하였다.
- 크리스탈 건
Hanke라는 중국의 수정탄 회사에서 디보이의 카피를 제작했다.
10. 둘러보기
냉전기의 동독 국가인민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5px -0px -11px;" | 국가인민군 (1956~1990) National Volksarmee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Kar98k, Kar38, Kar44 | ||
반자동소총 | G43, SWT-40, Karabiner S, SWD | ||||
자동소총 | MPi-44, MPi-K/KM/KMS-72, MPi-AK-74N, MPi-AKS-74(N/NK) | ||||
기관단총 | MPi 41, Vz.61 | ||||
권총 | M1895, TT-33, PM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DPM, RP-46, RPD, RPK, RPK-74, PK | ||
중기관총 | MG34, DTM, SG-43, DSchKM, NSW, KPW | ||||
유탄발사기 | AGS-17 | ||||
대전차화기 | RPG-2, RPG-7, RPG-18, SPG-9, B-10, B-11, 9K11, 9M111, 9M113 | ||||
박격포 | 82-PM-41, 2B11 | ||||
맨패즈 | 9K32, 9K34, 9K310, 9K38 | ||||
수류탄 | F-1, RGD-5 | ||||
특수전 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Vz.24, SSG 82 | ||
자동소총 | StG-943, HK33 | ||||
기관단총 | PM-63, MP5SD3, MP5KA1 | ||||
권총 | P08, P1001, P38, PSM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독일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현대의 독일 연방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808080,#7f7f7f> 현대의 독일 연방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808080,#7f7f7f> 소총 | <colbgcolor=#808080,#7f7f7f> 돌격소총 | G3, G8, G36, G37, G38, G95, MCX, G39 | |||
지정사수소총 | MSG3, G28 | |||||
저격소총 | G22, G24, G25, G82, G29 | |||||
기관단총 | MP2, MP3, MP4, MP5, UMP, MP7A1 | |||||
산탄총 | M870, FP6 | |||||
권총 | P52, P1, P4, P5, P6, P7, P8, P9, P10, P11, P12, P14, P21, P30 | |||||
조명총 | P2 | |||||
지원화기 | 기관총 | MG3, MG4, MG5, MG6, HK23, MG50 | ||||
유탄발사기 | AG40-1, AG40-2, HK79, GMW 40mm | |||||
대전차화기 | PzF-3, Leuchtbüchse 84 mm, RGW90, MILAN, EUROSPIKE | |||||
박격포 | RSG60, Soltam K6 | |||||
맨패즈 | Fliegerfaust 2 | |||||
유탄 | DM41, DM51 | |||||
지뢰 | PARM 2 | |||||
냉병기 | 총검 | Arbeitsmesser, KCB-77 | ||||
의장용 화기 | Kar98k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독일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핀란드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겨울전쟁 및 제2차 세계 대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ff,#393b42>M/91, M/27, M/39, M/94, M/96, Kar98k, M/38 | ||
반자동소총 | M/38, M/40 | ||||
자동소총 | 표도로프 자동소총, AVT-40, AVS-36 | ||||
기관단총 | KP/-31, M/20, MP28, M/41, M/42, M/43, M/44 | ||||
권총 | M/03, M/1910, M/19, M/35, M/15, M/34, L-35, M/23, 아스트라 400, M/39, M/96, P08, M/1895, TT-33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M/26, M/21, M/15, M/20, DP-28 | |||
중기관총 | M/09-21, M/32-33, MG08, M/14, 빅커스 Mk.I, ShKAS, DS-39 | ||||
대전차화기 | kiv M/37, L-39, kiv M/38, kiv M/18-S, 판처파우스트, 라케텐판처뷕세 | ||||
화염방사기 | M/40, M/41-R | ||||
유탄 | M24, 몰로토프 칵테일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핀란드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러시아 해방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제2차 세계 대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ff,#393b42>모신나강, Gew98, Kar98k | ||
반자동소총 | SVT-40, Gew43 | ||||
자동소총 | StG44 | ||||
기관단총 | PPSh-41, MP28, MP38, MP40 | ||||
권총 | M1895, TT-33, C96, P08, P38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0/30, DP-28, Vz.26, MG34, MG42 | |||
대전차화기 | 판처파우스트 | ||||
박격포 | 8cm GrW 34/42, 12cm GrW 42 | ||||
유탄 | RGD-33, M24, 시스베허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러시아 해방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포르투갈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포르투갈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006600> 개인화기 | <colbgcolor=#006600> 볼트액션 소총 | m/1886/89, M1896, 마우저-베르게이루, m/937, m/917, M1917 | ||
기관단총 | MP18, m/942, m/943 | |||
권총 | m/878, m/886, M10, M1892, C96, M1907, m/943, 발터 PP, m/961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m/930, m/940, m930-41, m/938, 루이스 경기관총 | ||
중기관총 | MG34, 브레다 m/938, 빅커스 기관총, M1919A4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포르투갈의 운용무기체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 유고슬라비아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제2차 세계 대전 유고슬라비아 왕국군 및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71, M78/80, M24, Gew98, Wz.29, Vz.24, Kar98kC, M1895, 카르카노C | ||||
자동소총 | StG44C | |||||
기관단총 | PPSh-41L, PPS-43L, EMP35, MP40C, KP/-31C, MAB 38C, 39M 기관단총C, 톰슨 기관단총L, 스텐 기관단총L | |||||
권총 | 나강 M1895, 라스트&가서 M1898, TT-33L, 마우저 C96, 루거 P08C, 발터 P38C, 루비 권총, M1910/22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CSRG M1915, 브레다 M30C, Vz.26, 브렌 경기관총L, 마드센 경기관총 | |||
중기관총 | 피아트-레벨리 M1914, 브레다 M37C, MG34C, MG42C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대전차 소총L, PIATL, M1 바주카L | |||||
화염방사기 | 플라멘베르퍼 42C | |||||
유탄 | M24C, M39C | |||||
※윗첨자L: 연합군으로부터 공여받음 ※ 윗첨자C: 추축군으로부터 노획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유고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불가리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불가리아 왕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1895, Kar98k, M91/30A | |
기관단총 | ZK-383, MP34, MP40, PPSh-41A, PPS-43A | ||
권총 | P08, 발터 PP, Vz.38, TT 권총A | ||
지원화기 | 기관총 | 마드센 경기관총, MG 07/12, MG08, Vz.26, MG30, MG15, MG34, MG42, Vz.53, PM M1910A, DP-28A, DShKA | |
대전차화기 | 졸로투른 S-18, 라케텐판처뷕세, 판처파우스트 | ||
박격포 | 8 cm 그라나트베르퍼 34, 브랑 Mle 27/31 | ||
유탄 | M1917, M34, N39, 시스베허, F1 수류탄A, RG-42A | ||
※ 윗첨자A : 1944년 이후부터 사용 |
||<tablebordercolor=#fff,#333><tablewidth=100%><bgcolor=#fff,#333> ※둘러보기 : 불가리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알바니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d30404> 제2차 세계 대전 알바니아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d30404> 볼트액션 소총 | M1891, M1903, Kar98k, SMLE, P14, M91/30 | ||
기관단총 | MAB 18, MAB 38, MP18, MP35, MP38, MP40, Lanchester Mk.I, Sten Mk.II, M1928A1, PPSh-41, PPS-43 | |||
권총 | M1889, M1910, M1934, C96, P38, M1910, P-35, M1895, Mk.IV, M1911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DP-28, M30, Bren Mk.I | ||
중기관총 | MG M.07/12, M37, MG34, SG-43, Vickers Mk.I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알바니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크로아티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5b2c6f> 제2차 세계 대전 크로아티아 독립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5b2c6f> 소총 | <colbgcolor=#5b2c6f>볼트액션 소총 | Kar98k, Vz.24, 카르카노 | ||
자동소총 | StG44 | ||||
기관단총 | KP/-31, EMP35, MP40, PPSh-41, 톰슨 기관단총 | ||||
권총 | P08, M1922, P38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4, Vz.26, MG34, MG42 | |||
대전차화기 | 판처파우스트, 판처슈렉 | ||||
박격포 | 브랑 Mle 27/31, 8cm GrW 34, 스토크스 박격포, 12cm Grw 42 | ||||
유탄 | M24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크로아티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비시 프랑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프랑스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le 1886, Mle 1916, Mle M1907/15 M34, MAS-36, Kar98k, 리-엔필드M | ||||
기관단총 | MAS-38, EMP35, M1928, MP38, MP40, 스텐 기관단총M | |||||
권총 | Mle 1892, 92 Espagnol, 루비 권총, MAB Mle D, Mle 1935, 웨블리 리볼버M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CSRG 1915, FM 24/29, 브렌 경기관총M | |||
중기관총 | Mle 1914, Mle 1930, MAC 31, MAC 34 | |||||
유탄 | F1, M24 | |||||
※ 윗첨자M: 민병대가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노르웨이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차 세계대전 노르웨이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1894, m/96, Kar98k, vz. 24, SMLE | ||
반자동소총 | Ag m/42 | |||
권총 | M1911, M1914, M/1893, P07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M/14, M/22, Louis Mk.I, M1918 | ||
중기관총 | M1914, M1917, M/29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노르웨이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덴마크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b90000> 제2차 세계 대전 덴마크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b90000> 소총 | <colbgcolor=#b90000> 볼트액션 소총 | M/89, M/96, Kar98k, 리-엔필드 | ||
반자동소총 | Ag m/42 | ||||
기관단총 | M/41, 스텐 기관단총 | ||||
권총 | M/1910, M/1910/21, M10 | ||||
지원화기 | 기관총 | 마드센 경기관총, M1919 브라우닝 | |||
수류탄 | M.1923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덴마크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스웨덴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스웨덴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Gevär m/96, Gevär m/38, Gevär m/41, Karbin m/94, Gevär m/39, m/40 | ||
반자동소총 | Ag m/42 | ||||
기관단총 | MP18, Kpist m/37-39, Kpist m/39, Kpist m/40 | ||||
권총 | m/87, m/07, m/40 | ||||
지원화기 | 기관총 | Kg m/1914, Kg m/21, Kg m/37, Kg m/40, Ksp m/14, Ksp m/36, Ksp m/42 | |||
대전차화기 | Pvg m/21, 14mm pst kiv/37, Pvg m/42, Pskott m/45 | ||||
화염방사기 | Esp m/41 | ||||
박격포 | GrK m/4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스웨덴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룩셈부르크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룩셈부르크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00a1de> 개인화기 | <colbgcolor=#00a1de> 볼트액션 소총 | M/96, Gew98, Kar98k, 리-엔필드, P14, 로스 소총 | |||
기관단총 | 스텐 기관단총, M1A1 톰슨 | ||||
권총 | 웨블리 리볼버, 브라우닝 하이파워 | ||||
지원화기 | 기관총 | <colbgcolor=#00a1de> 경기관총 | 브렌 경기관총, M1918 브라우닝 | ||
중기관총 | MG08, 빅커스 기관총, M1919 브라우닝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대전차 소총, M1 바주카, PIAT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룩셈부르크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의 튀르키예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튀르키예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Gew71/87, Gew88/05, 마우저 M1890, 마우저 M1893, Gew98, Vz.98/22, 마우저 M1903, Vz.24, 모신나강 M1891/30, Kar98k, 베르티에 M1916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기관단총 | MP18, 스텐 기관단총 | |||
권총 | S&W M3, C96, P08, FN M1903, FN M1910/22, 베홀라 M1915, 프로머 슈토프, Vz.27, 발터 PP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G08/15, Vz.26, MG15nA, MG34 | |
중기관총 | MG08, M1907/12, 빅커스 기관총, PM M1910, 호치키스 M1914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튀르키예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이란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이란 제국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fff> 개인화기 | <colbgcolor=#fff> 볼트액션 소총 | M1900, Vz.24, Kar98k | ||
기관단총 | MP34 | |||
권총 | 모델 1892, 마우저 C96, FN M1910, 발터 P38 | |||
지원화기 | 기관총 | <colbgcolor=#fff> 경기관총 | 루이스 경기관총, Vz.26 | |
중기관총 | 맥심 기관총, 빅커스 기관총, MG34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란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이라크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이라크 왕국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ce1126> 개인화기 | <colbgcolor=#ce1126> 볼트액션 소총 | 리-엔필드, Kar98k | ||
기관단총 | MAB 38 | |||
권총 | 웨블리 리볼버, 마우저 C96, 루거 P08, 베레타 M1934 | |||
지원화기 | 기관총 | <colbgcolor=#007a3d> 경기관총 | 루이스 경기관총, 쇼샤 | |
중기관총 | 맥심 기관총, 빅커스 기관총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라크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폴란드 국내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제2차 세계 대전 폴란드 국내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le 1886/93, Mle 1907/15, Kb wz.98, Kb wz.98a, Kbk wz.29, Vz.24, Kar98k, Kbk wz.91, Kbk wz.98 | ||
자동소총 | StG44 | ||||
기관단총 | MP28, 스텐 기관단총, 브위스카비차, 베호비에츠, 톰슨 기관단총, M42, 호로즈마노프, PPSh-41, PPS-43, MP40 | ||||
권총 | Wz.30, Wz.32, Wz.35 Vis, M1911A1, TT-33, C96, P08, 마우저 HSc, P38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Rkm wz.28, 브렌 경기관총, DP-28 | |||
중기관총 | MG08/15, Ckm wz.30, MG34, MG42 | ||||
대전차화기 | PIAT, 판처파우스트 | ||||
화염방사기 | K형 화염방사기 | ||||
박격포 | 50mm RM-38/40 | ||||
유탄 | wz.33, 시도로프카, M24, N39, M43, M39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폴란드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만주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color=#373a3c> 제2차 세계 대전 만주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color=#373a3c>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88식 소총,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38식 기병총, 44식 기병총, 모식 소총, 13식 소총 | |||
기관단총 | MP18, EMP35 | ||||
권총 | C96, M900, M1900, M1910, P08, 26년식 권총, 94식 권총, 남부 권총,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1 | ||||
지원화기 | 기관총 | 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Vz.26, 3년식 기관총, 92식 중기관총 | |||
유탄 | 10식 척탄통 | ||||
냉병기 | 군도 | 일본 군도(구군도/신군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만주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스페인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eb234b> 제2차 세계 대전 스페인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eb234b> 볼트액션 소총 | M1893, M1888, M1895, Gew98, M43 | |||
기관단총 | MP28, MP41/44, MP40, Z-45 | ||||
권총 | 마우저 C78, 베르크만 M1903, 베르크만 M1908, FN M1903, 스타 M1914, 루비 M1915, 아스트라 400, 아스트라 900, 베레타 M1934 | ||||
지원화기 | 기관총 | MG08, 호치키스 M1914, 다르느 기관총, Vz.26, ALFA M44 | }}} {{{#!wiki style="margin-top: -25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스페인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2차 세계대전기의 한국독립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ff> 2차 세계대전 독립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fff> 볼트액션 소총 | Gew71, 그라 소총, 13년식 소총, 베르단, Kar98k, Gew88, 88식 소총, Gew98, Vz.24, 24식 보총,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M1903, 모신나강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기관단총 | 톰슨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PPSh-41 | |||
권총 | C78, M1879, Mle 1873, Mle 1892, 웨블리 리볼버, M1895, 26년식 권총, C96, 14년식 권총, 94식 권총, M1911, P08, TT-33, P38 | |||
지원화기 | 기관총 | 맥심 기관총, M1895/14, 루이스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 ||
유탄 | 91식 파쇄 수류탄, 10식 파쇄 수류탄, 97식 파쇄 수류탄, 밀즈 수류탄, F1, Mk.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한국광복군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오스트리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냉전기 오스트리아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Kar98k, SSG 69, M1903, Gewehr Lee-enfield, G44 | |||
반자동소총 | Gewehr M1, Karabiner M1 | |||||
자동소총 | StG58, StG77 | |||||
기관단총 | MP40, MPi-69, MPi-81, AUG Para, M3A1, PPSh-41 | |||||
산탄총 | M870 | |||||
권총 | P38, P80,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18A2 | |||
다목적 기관총 | MG42, MG74, MG-A4 | |||||
중기관총 | üsMG M2 | |||||
박격포 | M2 | |||||
대전차화기 | PAR 66/79, RBS 56, M40 | |||||
박격포 | M6C-210, mGrW82, sGrW86 | |||||
냉병기 | 총검 | KCB-77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오스트리아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냉전기 체코슬로바키아군(ČSA)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ff,#393b42>Vz.24, Vz.33, Kar98k, Vz.91/38, Vz.54 | |||
반자동소총 | Vz.52, Vz.52/57, SVD | |||||
자동소총 | ||||||
기관단총 | ZK-383, | |||||
권총 | Vz.27, Vz.38, Vz.52, Vz.82 | |||||
지원화기 | 기관총 | Vz.26, Vz.30, Vz.37, Vz.52, Vz.59, PKM, DShK, KPV | ||||
유탄발사기 | AGS-17 | |||||
로켓발사기 | T21, RPG-2, RPG-7, RPG-7V | |||||
미사일발사기 | 9K14, 9K111, 9M113, 9K32, 9K310 | |||||
무반동총 | RPG-75 | |||||
박격포 | Vz.36, PM-43 | |||||
유탄 | F1 | |||||
지뢰 | PP Mi-SK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체코·슬로바키아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냉전기의 루마니아 인민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002b7f> | 냉전기 루마니아 인민군 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002b7f> 소총 | <colbgcolor=#002b7f> 볼트액션 소총 | Vz.24, Kar98k, M93, M38, M44 | |||
반자동소총 | Md.56, PSL | |||||
자동소총 | AK-47, PM Md.63, PM Md.65, PA Md.86 | |||||
기관단총 | MP28, M1941, PM Md.52 | |||||
권총 | Md.33, Md.74 | |||||
지원화기 | 기관총 | Vz.26, DP-28, M1910/30, MG34, Vz.37, DȘK, RPD, KPV, PM Md.64, PM Md.66, PM Md.86 | ||||
유탄발사기 | GP-25, Md.85 | |||||
대전차화기 | RPG-40, RPG-43, AG-2, AG-7, SPG-9, 9K11 말륫카, 9K111 파곳, 9M113 콘쿠르스 | |||||
맨패즈 | CA-94 | |||||
박격포 | M1988, M1977, M1982 | |||||
화염방사기 | LPO-50 | |||||
수류탄 | F-1, RG-42, RKG-3, GMM | |||||
냉병기 | 6Kh3, 6Kh4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루마니아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스페인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냉전기 스페인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1893, M1916, FR7, M43, FR8 | ||
자동소총 | CETME 모델 B/모델 C/모델 L | ||||
기관단총 | MP28, EMP35, Z-45, CETME C2, Z-62, Z-70B, Z-84, MP5A3 | ||||
권총 | 아스트라 300/400, 발레스테르-몰리나, 스타 모델 A/B | ||||
지원화기 | 기관총 | 호치키스 M1914, Vz.26, ALFA M44, MG42/59, CETME Ameli | |||
대전차화기 | M65, TOW LWL | ||||
박격포 | 발레로 M33, 발레로 M41/4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스페인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스웨덴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냉전기 스웨덴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colbgcolor=#004b87> 볼트액션 소총 | Gevär m/96, Karbin m/94, Gevär m/38, Gevär m/41, Gevär m/41B, Karbin m/40 | ||
반자동소총 | AG m/42, AG m/42B | ||||
자동소총 | AK4, AK4B, AK5, AK5B, AK5C, | ||||
기관단총 | MP18, Kpist m/37, Kpist m/39, Kpist m/40, Kpist m/45, m/45B, m/45C | ||||
권총 | m/39, m/40, Pist 88 | ||||
지원화기 | <colbgcolor=#ffcd00> 기관총 | 경기관총 | Kg m/37, Kg m/40, Ksp 90 | ||
중기관총 | Ksp m/39, Ksp m/41, Ksp 58, Ksp 58B, Tksp 12,7 mm | ||||
유탄발사기 | M203, Grsp 40 mm | ||||
대전차화기 | Raketgevär 46, Grg m/48, Pskott m/68, Pskott m/86, Pvpj 1110, RBS 56 | ||||
박격포 | m/84 | ||||
맨패즈 | RBS 69, RBS 70 | ||||
화염방사기 | Esp m/4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스웨덴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로디지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냉전기 로디지아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0F4B32>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SMLE No.4 Mk.I, Kar98k | ||
반자동소총 | L1A1, M21, Mini-14 | ||||
자동소총 | FN FAL, R1A1, G3A3, M16A1 | ||||
기관단총 | Lanchester Mk.I, Sten Mk II, Austen Mk I, GM15, Sanna 77, LDP, Cobra, CH9/25, R-76, Rhogun, Owen Mk.I, L2A1, American-180, UZI | ||||
산탄총 | Greener GP, Auto-5, M37, M870 | ||||
권총 | Enfield No.2 Mk I, S&W M49, Browning Hi-Power, Mamba, P1, Star M1920, BM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Bren Mk.III, L4A4, FN FAL HBAR | ||
다목적기관총 | M1919, MAG-58 | ||||
중기관총 | M2HB | ||||
대전차화기 | M20, M72, M40, ENERGA, MILAN | ||||
박격포 | M-4 Patmor, L16 | ||||
유탄 | No.36, Mk.2, M962, M26, M963 | ||||
지뢰 | M18A1 | ||||
노획무기 | 반자동소총 | SKS, SVD | |||
자동소총 | AK-47, AKM | ||||
권총 | PP | ||||
기관총 | DP-28, RPD, RPK, PKM. KPV | ||||
대전차화기 | RPG-2, RPG-7, B-11 | ||||
대공포 | ZPU-4, ZU-23-2 | ||||
대전차화기 | 9K3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로디지아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냉전기의 이라크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냉전기 이라크군 의 보병장비 | ||||
<colbgcolor=white,#191919> 개인화기 | <colbgcolor=white,#191919> 소총 | <colbgcolor=white,#191919> 볼트액션 소총 | 리-엔필드, Vz.24, Kar98k, 모신나강 | ||
반자동소총 | SKS, FN-49, Vz.52, 바그다드, 알 카데시, 타부크 저격소총 | ||||
자동소총 | AK-47, AKM, 56식 자동소총, Vz.58, MPi-KM-72, AK-63, PM md. 63, PM md. 65, M70, M70B, M80, AKS-74U | ||||
기관단총 | M56, Vz.61, PM-63 RAK | ||||
권총 | 브라우닝 하이파워, 타리크, PA-63, 마카로프 PM, CZ75, CZ82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RPD, RPK, 자스타바 M72 | ||
다목적기관총 | PK, 67식 기관총, 자스타바 M84 | ||||
중기관총 | SGM, DShK, 54식 중기관총, NSV, KPV | ||||
유탄발사기 | GP-25, AGS-17 | ||||
로켓발사기 | RPG-7, 69식 화전통, M-79 오사, M80 Zolja, RPG-18, RPG-22, RPG-29, APILAS | ||||
미사일발사기 | 9K11 말륫카, 9K111 파곳, HOT ATGM, 밀란 대전차 미사일, SS.11 | ||||
무반동총 | SPG-9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라크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반영 민족해방전쟁기의 말라야 공산당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반영 민족해방전쟁 말레이시아 해방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f2023>리-엔필드, M.95,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모신나강, Gew88, Gew98, Kar98k, M1903A3 | ||
반자동소총 | M1, M1A1 | ||||
자동소총 | AK-47 | ||||
기관단총 | 100식 기관단총, 스텐 Mk.II, Mk.V, 스털링 기관단총, M50, M55, M1928A1, M1A1, PPSh-41 | ||||
산탄총 | Auto-5 | ||||
권총 | 웨블리 리볼버,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1A1, TT-33, C96, P08, P38 | ||||
지원화기 | 기관총 | 11년식 경기관총, 92식 중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브렌 경기관총 | |||
척탄통 | 10식 척탄통, 89식 척탄통 | ||||
유탄 | 밀즈 수류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냉전기 보병장비 | }}} }}}}}} |
헝가리 혁명 당시의 헝가리 혁명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1956년 헝가리 혁명 헝가리 혁명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43M, Kar98k, 48M, 44/56M, M1891/30, M1944 | ||
반자동소총 | SzKSz | ||||
자동소총 | AK-55 | ||||
기관단총 | 43M, 48M, 53M | ||||
권총 | 37M, WALAM 48M, C96, 토카레프 48M, TT-33 | ||||
지원화기 | 기관총 | 슈바르츠로제 기관총, DP-28. DPM, RPD, M1910/30, SG-43 | |||
유탄 | 몰로토프 칵테일, F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헝가리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기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프랑스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f2023>Mle 1886, Mle 1934, MAS-36, 리-엔필드,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Kar98k | ||
반자동소총 | MAS-49, 게베어 43, M1 개런드, M1 카빈, M1A1 카빈 | ||||
자동소총 | StG44, M2 카빈 | ||||
기관단총 | MAS-38, MAT-49, 스텐 기관단총, MP40, 톰슨 M1A1, M/50 | ||||
권총 | Mle 1892, Mle D, Mle 1935, Mle 1950, 브라우닝 하이파워, HSc,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le 1922, Mle 1926, FM 24/29, M1918 브라우닝 | ||
중기관총 | Mle 1914, MAC 1934, AAT Mle 52, M1919A4, M1919A6, M2 | ||||
무반동포 | M18 | ||||
로켓발사기 | PIAT, M9, M20 | ||||
화염방사기 | M2, LFP 54 | ||||
박격포 | 브랑 M27/31, 브랑 M1935, M1, M2 | ||||
유탄 | F1 수류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당시의 포르투갈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해외전쟁 포르투갈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m/1886/89, 마우저-베르게이루, m/937, m/1917, m/931, m/942, m/946, P14, M1917 | ||
자동소총 | AR-10 m/961, G3 m/961, G3 m/963, m/962 | ||||
기관단총 | m/942, m/943, Z-45, m/948, 비뉴롱 m/961, 스털링 m/961, 우지 m/961, MPL | ||||
권총 | m/878, m/886, M10, S&W 보디가드, m/943, m/96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930, m/940, m930-41, m/938, m/943, m/963, m/968 | ||
다목적기관총 | m/944 보르지히, m/944, m/952, m/962, FN MAG | ||||
중기관총 | 브레다 m/938, m/955 | ||||
로켓발사기 | m/952, m/955, M53 | ||||
무반동총 | m/952, M20, M40 | ||||
박격포 | m/937, m/951, 브랑 m/952, , M2 m/952, FBP m/68, L65/60 | ||||
폭발물 | 수류탄 | m/963 | |||
지뢰 | M14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포르투갈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당시의 해방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해방전쟁 아프리카 해방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M1874, M12, FN M24/30, Kar98k, 리-엔필드, P14, MAS-36, M/52, 53식 기병총 | ||
반자동소총 | SKS, 56식 반자동소총, Vz.52 | ||||
자동소총 | AK-47, AKM, 56식 자동소총, Vz.58, PM.md.63, MPi-KM, MPi-KMS-72 | ||||
기관단총 | M1928A1, MP34, MP39, MAB 38, MP40, PPSh-41, PPS-43, 스텐 기관단총, Z-45, 스털링 기관단총, Vz.25, MAT-49, 비뉴롱 기관단총 | ||||
권총 | TT-33, 54식 권총, PM, APS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마드센 경기관총, FM 24/29, 브레다 M30, 브렌 경기관총, DPM, RP-46, 53식 경기관총, RPD, 56식 경기관총, Vz.52 | ||
다목적기관총 | MG34, MG42, Vz.59, PK | ||||
중기관총 | SG-43, 53식 중기관총, ZB-53, DShK, 54식 중기관총 | ||||
대전차화기 | RPG-2, P-27, 56식 화전통, RPG-7, 69식 화전통 | ||||
무반동총 | 52식 무반동총, B-10 | ||||
맨패즈 | 9K32 | ||||
박격포 | 31식 박격포, 63식 박격포, 82-PM-41, 53식 박격포, 120-PM-43 | ||||
폭발물 | 수류탄 | F-1, 1식 수류탄, RGD-5 | |||
지뢰 | POMZ-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욤 키푸르 전쟁 당시의 이스라엘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욤 키푸르 전쟁 이스라엘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리-엔필드, Kar98k | ||
자동소총 | ROMAT, M14, M16A1, CAR-15, AKM | ||||
기관단총 | UZI, m/45 | ||||
권총 | 브라우닝 하이파워, 베레타 M1951 | ||||
지원화기 | 기관총 | FN MAG, M2HB | |||
대전차화기 | M20 슈퍼 바주카, RL-83, M40 무반동포, M72 LAW, SS.11, BGM-71 TOW | ||||
유탄 | M26A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스라엘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의 이란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이란-이라크 전쟁 이란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Vz.98/29, M1310, M1317, Kar98k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SVD | ||||
자동소총 | G3, AK-47, AKM, 56식 자동소총, CQ 5.56 | ||||
기관단총 | MP40, 스털링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PPSh-41, MP5, M12, Z-84 | ||||
권총 | M1911A1, M1314, M10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9A4, M1919A6, Vz.26, MG3, MAG, DP-28, SGM, RPK, PK, M2HB, DShK | |||
대전차화기 | M18, M40, BGM-71, M47, RPG-7, 69식 화전통, RKG-3, 9M14 | ||||
맨패즈 | FIM-92, 9K32, 9K34, 9K38 | ||||
대공포 | KS-19, ZU-23, ZPU-4 | ||||
박격포 | M1 | ||||
유탄 | F1 수류탄, RGD-5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란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의 이라크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이란-이라크 전쟁 이라크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Vz.24, Vz.33, Kar98k, 모신나강 | ||
반자동소총 | SKS, FN-49, Vz.52, 바그다드, 알 카데시, 타부크 저격소총 | ||||
자동소총 | G3, AK-47, AKM, PM md. 63, M70, 56식 자동소총 | ||||
기관단총 | MP40, PPSh-41, M56, Vz.61, PM-63 | ||||
권총 | 브라우닝 하이파워, TT-33, PM, 타리크 | ||||
지원화기 | 기관총 | MG3, DP-28, SGM, RPD, RPK, PK, 67식 기관총, M72, DShK, 54식 중기관총, NSV | |||
대전차화기 | M20, BGM-71, B-10, B-11, RPG-7, 69식 화전통, RPG-16, RKG-3, SPG-9, 9K111, 9M14, 밀란 | ||||
맨패즈 | FIM-92, 9K32, 9K38 | ||||
화염방사기 | LPO-50 | ||||
대공포 | KS-19, ZU-23, ZPU-4 | ||||
유탄 | F1 수류탄, RGD-5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라크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현대 후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후티 (1994~현재) حوثيون | |||||
<colbgcolor=#fff> 개인화기 | <colbgcolor=#fff> 권총 | TT-33, PM, 카라칼 권총C, PPK, 웨블리 리볼버 | ||||
기관단총 | PPSh-41, Vz.23 | |||||
소총 | <colbgcolor=#fff> 볼트액션 소총 | Kar98k, 모신나강, 리-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SKS | |||||
자동소총 | AR-10C, M4A1, MPi-KM, F2000C, SG556C, SCARC, G3, G36C, AK-47, AKM, AK-74, 56식 자동소총, AKS-74U, AK-74M, AK-103C | |||||
저격소총 | M107C, LRT-3C, SVD, SVU, HS.50, M76 | |||||
지원화기 | 기관총 | PKM, MG3C, 73식 대대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DP-28, FN 미니미C, DShK, M1919 브라우닝, FN MAGC | ||||
유탄 발사기 | GL-1C | |||||
대전차화기 | 대전차 로켓 | RPG-7, M20 | ||||
대전차 미사일 | Metis-M, 현궁C, 9M133 | |||||
무반동포 | SPG-9 | |||||
대공포 | ZU-23, ZPU-4, KS-19 | |||||
※ 윗첨자C: 노획 장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후티 반군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마우저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 <colbgcolor=#231f20> 마우저의 제품 라인업 | ||
권총 | C78 · C96 · C06/08 · M1910 · HSc · 국민권총 | ||
기관단총 | M1932 · MP3008 | ||
소총 | <colbgcolor=#231f20> 볼트액션 | 게베어 1871 · M1889 · M1893 · M1895 · M1896 · 게베어 1898 (M1903 · M1918 · Kar98k) · VG-4 · SR-93 | |
반자동 | M1916 · 게베어 41(M) | ||
자동 | StG45(M) · G11 | ||
기관총 | MG14 · MV31 · MG 151 | ||
탄환 | 7.63×25mm |
[1] 영어식 발음으로 "카라비너 98 쿠르츠"이지만 독일어 발음으로 발음하면 "카라비너 아흐트 운트 노인치히 쿠르츠"가 된다. 뜻은 말 그대로 "단축형 98식 카빈(기병총)"이 된다. 그 빼고도 제조사의 이름인 마우저를 본떠 "Mauser 98 Kurz"가 되기도 한다. 여기서 Kurz는 독일어로 "짧다"라는 뜻으로, 단축형이라는 의미이다.[2] 한국에선 흔히 카구팔이라고 불린다(Kar98k)[3] 특이하게 똑같이 대공황을 겪은 미국은 대공황에도 불구하고 소총 개발 예산은 삭감되지 않아서 M1 개런드를 제식화할 수 있었다. 같은 연합군인 영국이 리엔필드를 그냥 조금 개량해서 우려먹은 것과 대조되는 부분.[4] 참고로 1위는 모신나강으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3,700만 정 생산. 3위는 영연방에서 널리 쓰인 리-엔필드.[5] StG44는 MKb.42란 이름으로 1942년부터 생산되었다.[6] ZF41이 기계식 조준기 위로 약간의 간격을 둔채 장착되어 있어 기존 기계식 조준기 사용에 문제는 없다.[7] 즉 ZF41은 공장에서 미리 잡아준 영점을 변경하려면 사수 개인이 야전에서는 무리고 최소 총포 정비병들 수준에서 잡아주어야 한다는 거다.[8] 이 시대는 저격전이라는 개념이 초기였던 상황이라서 줌인 방식이 아닌 고정 배율 스코프를 주로 사용했었다. 게다가 레드닷 같은 게 있을 리도 없었기 때문에 원거리는 4배율로 쏘고 적이 비교적 근접하면 아이언사이트를 이용하는 방향으로 사용하는 예가 많았으며, 98k뿐만 아니고 모신나강도 똑같다. 유일하게 스코프만 가지고 저격총의 형태를 가진 것은 M1903이었고 나머지 총기들은 유사시 아이언사이트 사용을 고려해서 탄피 배출과 같이 조준성을 생각한 것이 특징. 일례로 모신나강의 스코프 마운트 형태 중 측면 장착이 아닌 상부 장착하는 형식의 경우는 스코프 지지대에 구멍이 있는 터렛 형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9] 전간기 프랑스군도 1차 세계대전 중/전쟁 후 전후 처리 과정에서 노획한 Gew 98 계열 소총과 마우저 탄약을 식민지군 등지에서 적잖게 사용하였다. 2차 대전 전부터 이런 상태였는데 2차 대전 직후엔 본국이 아예 독일군에 한번 점령 당했다가 해방된 상황이었으니, 굳이 독일제 무기를 기피할 처지가 아니었을 것이다.[10] 단 이렇게 노획한 총기들은 Kar98k보다는 아닌 중국 국내에서 생산되거나 과거 수입된 Gew98 계열 총기가 더 많았을 가능성이 더 높다. 애초에 거의 같은 총이고 엄연히 중국 내애서 둘다 사용되고 있던 것도 맞으니 엄밀하게 구분짓는 것도 의미는 없다.[11] 열악했던 국군은 몰라도 미군이 M1 개런드를 놔두고 이런 것을 사용했다는 것이 의아할 수 있는데, 장진호 전투 당시 강추위로 M1 카빈이 작동불량을 일으키자 어쩔 수 없이 사용한 것이다. 날씨가 추워 총탄의 가스압이 약해지는 바람에 반자동소총이었던 M1 개런드와 M1 카빈의 반자동 장전능력이 약화된 것. 그나마 개런드는 대구경탄을 써서 작동이 좀 불안해도 일단 기본 가스압이 세다보니 어찌어찌 기능하긴 했는데 카빈은 훨씬 약한 30구경 카빈탄을 쓰다보니 아예 자동 재장전 기능을 상실하여 쏠때마다 다시 노리쇠를 움직여줘야 하는, 볼트액션 소총과 다를 바 없는 상태가 되고만 것. 그리고 미군들이 자기네 총을 아예 버리고 중공군의 마우저를 쓴 것도 아니고, 인해전술로 중공군이 몰려오는데 총을 재장전할 틈이 없으니 미리 장전한 소총을 대여섯 자루씩 늘어놓고 쏘아대는 보조화기로 사용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12] 참고로 현재, 이 가격대의 경쟁 총기는 슈미트 루빈 K11이나 K31 정도가 있으며 핀란드제 모신나강 M39 역시 비슷한 가격에 거래된다.[13] 특히 볼트 조작부에 2중으로 잡아주는 부분을 만들어 조작이 미숙한 사람이 써도 총기에 무리가 가지 않게 설계하였으며, 총검 부착장치와 개머리에 있는 홈으로 간편한 수리, 청소가 가능하는 등 그 당시 소총 치고 사용자를 배려한 편의성이 높다.[14] 클립 장전, 관통, 적을 한 방에 보낼 수 있는 데미지 등.[15] 기존의 잘 알려진 독일제 총기들 뿐만 아니라, 프로토타입 총기에 노획한 소련, 폴란드제 총기까지 들고 나온다.[16] 이 게임 내의 다른 SR들은 전부 기본으로 8배율 스코프를 달고 있다.[17] 당시 총기 모델링들은 따로 제작한게 아니라 에셋 스토어에서 구매한것을 사용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