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5 11:38:57

ZH-29

ZH-29
Zbrojovka Holek-29
파일:ZH_29.jpg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반자동소총
원산지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체코슬로바키아|
체코슬로바키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30년~1945년
개발 에마누엘 홀레크
개발년도 1929년
생산 브르노 조병창
생산년도 1929년~1938년
사용국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체코슬로바키아|
체코슬로바키아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중화민국|]]

[[나치 독일|]][[틀:국기|]][[틀:국기|]]

[[에티오피아 제국|]][[틀:국기|]][[틀:국기|]]

[[태국|]][[틀:국기|]][[틀:국기|]]

[[리투아니아|]][[틀:국기|]][[틀:국기|]]
사용된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기종
파생형 시제 자동소총 을형
제원
탄약 7.92×57mm 마우저
급탄 5/10/20발 박스탄창
작동방식 가스 작동식, 틸팅 볼트
총열길이 545mm
전장 1,150mm
중량 4.5kg
탄속 823m/s
유효사거리 402m
최대사거리 1,400m }}}}}}}}}
1. 개요2. 역사3. 상세4. 시제 을형 자동소총5. 매체에서의 등장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Forgotten Weapons의 리뷰 및 사격 영상
체코슬로바키아반자동소총.

2. 역사

공업이 발달하고 공장들이 밀집되어 있었던 브르노에서 반자동소총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는데, 이곳에서는 브르노 조병창이 있어 주로 화기나 차량, 이외에 타자기같은 도구들을 생산하고 있었다. 여기서 나온 것이 ZH-29다.

그러나 환경조건이 민감해 의심스러운 신뢰성과 명중률, 비싼 가격면에서 군 상층부를 만족시키지는 못했다. 더구나 군의 요청이 아닌 독자적이었기에 개발과 연구에 든 비용은 전부 브르노 조병창이 부담했다.

결국 소량만 채용되었고 적자를 메꾸기 위해 타 국가 및 차기 제식소총 경쟁[1] 등 다른 쪽으로 눈을 돌려보지만 자국의 체코슬로바키아군과 비슷한 이유로 망했어요. 자국군을 비롯해 다른 국가의 군대들도 반자동소총에 대해 회의적이었던데다 기존의 볼트액션 소총으로도 충분하다고 여겨 채용 및 판매가 부진했다. 그나마 군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었던 중화민국과 계약이 성립되어 1930년부터 2년간 10,000정을 생산하였다. 이외에 에티오피아, 태국, 리투아니아가 사용했다.

독일과 강제로 합병당하기 전까지 제한적으로 생산되었으므로 독일에 합병되자마자 생산이 중단되어버린지라 나치 독일군에서도 그리 많이 활용되지는 않았다. 나중에 유사한 단순 잠금장치는 StG44가 사용한다.

3. 상세

파일:zh29_sheet 0.jpg
Vz.26의 탄창을 장착한 ZH-29
가스 작동식을 채용하고 탈착식 탄창으로 경기관총 ZB vz.26/30의 탄창과 공유할 수 있다. 아니면 스트리퍼 클립을 이용해서 장전할 수도 있다. 또 당시 다른 반자동소총에 비해서 전체적으로 섬세하고 가벼운 편이었다. 물론 이후에 나온 개런드토카레프 반자동소총에 비해서는 무겁다.

특이한 점이 있다면 방아쇠가 일종의 노리쇠 멈치 역할을 해서 노리쇠가 후퇴했을 때 탄약을 장전하고 방아쇠를 당기면 노리쇠가 전진해 장전이 된다.

4. 시제 을형 자동소총

Type Otsu Rifle
試製自動小銃乙
시제 자동소총 을
파일:Type_Otsu.png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반자동소총
원산지
[[일본 제국|]][[틀:국기|]][[틀:국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31년~1935년
개발 다구치 사다미츠
난부 키지로(보조)
개발년도 1931년
생산 도쿄 가스전기
생산년도 1931년~1935년
생산수 10~25정(추정)
기종
원형 ZH-29
세부사항
탄약 6.5×50mm SR 아리사카
작동방식 가스 작동식, 틸팅 볼트
총열길이 520mm
전장 1,160mm
중량 4.1kg }}}}}}}}}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중일전쟁 당시 국민혁명군이 사용하여 일본군을 상대로 우수한 화력을 내세웠고, 이에 일본은 노획한 ZH-29를 가지고 기존의 아리사카 소총탄인 6.5×50mmSR과 호환이 되도록 재설계한 프로토타입 '시제 자동소총 을형(試製自動小銃乙型)'을 개발해 육군에 제시하였으나 1935년에 실시된 시험 결과 명중률이 좋지 않았으며 이를 끝까지 해결하지 못해 채용 경합을 포기한다.[2]
[clearfix]

5. 매체에서의 등장

6.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체코슬로바키아군 보병장비
파일:체코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전간기 ~ 제2차 세계 대전
체코슬로바키아군(ČSA)의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ff,#393b42>M1895, Vz.98/22, Vz.24, Vz.33
반자동소총 ZH-29
기관단총 KP Vz.38, ZK-383
권총 Vz.22, Vz.24, Vz.27, Vz.38
지원화기 기관총 TK vz.7/24, M1922, M1923, LK vz.24, LK vz.26, LK vz.30, Vz. L/28, TK vz.37, ZB-60
박격포 8cm 박격포 Vz.36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제2차 세계 대전의 중화민국 보병장비
파일:대만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중일전쟁 제2차 세계 대전
국민혁명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마우저 M1871, 88식 소총, 24식 소총, Vz.24, Wz.29, Kar98k, 스프링필드 M1903L, M1917 엔필드L, 리-엔필드L, 모신나강, 카르카노 M1891, 만리허 M1886, 만리허 M1888, 81식 카빈C
반자동소총 ZH-29, M1 개런드L, M1941 존슨L, M1 카빈L
기관단총 MP18, SIG M1920, 마우저 M712, MP34, 스텐 기관단총L, 톰슨 기관단총, M42L, PPD-40C, PPSh-41C, PPS-43C
권총 C96, P08, M1914, 발터 PP, M1900, 루비, 콜트 M1903, FN M1922, 브라우닝 하이파워, TT-30, TT-33, M1911A1L, M1917L, FP45L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Vz.26/30, 마드센 M1902, MG13, DP-28C, 루이스 경기관총, 맥심-토카레프C, 호치키스 M1922, 라티-살로란타 M/26, SIG KE7, Wz.28, FN M1930, 브렌 경기관총L
중기관총 PM M1910, 24식 중기관총, ZB-53, 호치키스 M1914, 30식 중기관총, M1919 브라우닝L
대전차화기 PTRD-41C, 바주카L, 보이스 대전차 소총L
화염방사기 M1A1 화염방사기L, M2 화염방사기L
박격포 20식 82mm 박격포, 27년식 척탄통, 31식 60mm 박격포
유탄 23식 수류탄
냉병기 도검 대도
※ 윗첨자C : 홍군이 사용
※ 윗첨자L : 무기대여법에 의한 지원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독일군 및 친위대의 보병장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국방군 / 친위대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Gew71V, Gew88/05V, Gew98, Kar98b, Kar98k, VG1V, VG2V, VG3V, VG4V, VG5V
반자동소총 Gew41, Gew43, MP507V
자동소총 FG42, MKb42, MP43, StG44
컴비네이션 건 M30
기관단총 MP18, MP28, M712, MP35, EMP35, MP38, MP40, MP41, EMP44V, MP3008V
권총 자동권총 C96, M1907V, P08, M1915, PPK, M1934, 38H, P38, HSc, VPV, Astra 400, Astra 600/43
리볼버 M1883
조명탄 권총 M1894, LP34, LP42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G08/15, MG15nAV, MG13, VMG27, MG30, MG35/36
중기관총 MG08, MG15, MG34, MG42, MG81
대전차화기 대전차 소총 M1918V, PzB 38/39, PzB M.SS.41, S-18
대전차 로켓 FPatr 30, PzF 30/60/100/150, RPzB 43, 54, 54/1
기타 Gebalte Ladung, StP, H3, H3.5
화염방사기 FmW 35, FmW 41/42
박격포 8cm GrW 34/42, 5cm GrW 36, 12cm GrW 42, 10cm NbW 35/40
맨패즈 Fliegerfaust
유탄 M24, N39, M43, M39, GrB 39, Schießbecher
지뢰 TMi, SMi
노획무기 오스트리아 P12(ö), G29/40(ö), Gew95(ö), MP34(ö), MG07/12(ö), 8.14cm GrW33(ö)
헝가리 Gew98/40(u), P37(u)
체코슬로바키아 Gew95(t) Gew24(t), Gew33(t), Gew33/40(t),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ZH-29, ZK-383, P24(t), P27(t), P39(t), MG26(t) ,MG30(t), MG37(t), 8cm GrW36(t), 8.14cm GrW278(t)
폴란드 Gew29(p), Gew298(p), Gew98(p), Gew299(p), Kar493(p), Kar497(p), Wz.38M, R612(p), P35(p), P645(p), MG28(p), MG154/1(p), MG154/2(p), MG30(p), MG249(p), MG238(p), MG257(p), MG248(p), PzB770(p), 4.6cm GrW36(p), 8.14cm GrW31(p)
노르웨이 Gew211(n), Gew213(n), Kar411(n), Kar412(n), Kar413(n), Kar414(n), R610(n), P657(n), MG102(n), MG103(n), MG201(n), MG240(n), MG245/1(n), MG245/2(n)
덴마크 Gew311(d), Kar506(d),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P626(d), P644(d), MP741(d), MP746(d), MG158(d), MG159(d), MG258(d), 8.14cm GrW275(d)
벨기에 Gew220(b), Kar420(b),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P620(b), P621(b), P622(b), P626(b), P641(b), P640(b), MP740(b), MG125(b), MG126(b), MG127(b), MG220(b), MG221(b), MG222(b), 5cm GrW201(b)
네덜란드 Gew211(h), Gew212(h), Kar411(h), Kar412(h), Kar413(h), Kar414(h), P626(h), P641(h), MG100(h), MG241(h), MG242(h), MG243(h), MG244(h), MG231(h), PzB785(h), 8.14cm GrW278(h), 8.14cm GrW279(h), 8.14cm GrW286(h)
프랑스 Gew361(f), Kar561(f), Gew301(f), Gew303(f), Gew241(f), Gew302(f), Gew304(f), Gew305(f), Kar551(f), Kar552(f), Kar553(f), Gew242(f), Gew310(f), P623(f), P624(f), P625(f), MAB D, P647(f), P642(f), R654(f), R637(f), R634(f), R635(f), MP722(f), MP740(f), MP761(f), MG105(f), MG106(f), MG115(f), MG116(f), MG331(f), MG331(f), MG156(f), MG157(f), MG256(f), MG257(f), MG271(f), 5cm GrW203(f), 6cm GrW225(f), 8.14cm GrW278(f)
영국 Gew248(e), Gew280(e), Gew281(e), Gew281/2(e), Gew283(e), Gew283/2(e), Gew282(e), Gew282/3(e), R646(e), R655(e), MP748(e), MP749(e), MP750(e), MP751(e), MP752(e), MP760(e), MP760/2(e), MP761(e), MG135(e), MG136(e), MG137(e), MG138(e), MG230(e), MG341(e), PzB782(e), PzB789(e), 5cm GrW202(e)
유고슬라비아 Gew223(j), Gew361(j), Gew293(j), Gew291/3(j), Kar492(j), Gew214(j), Kar416(j), Gew252(j), Gew309(j), Gew288(j), Gew295(j), Gew307(j), Gew298(j), Gew290(j), Gew291(j), Gew291/2(j), Kar491(j), Kar491/2(j), Kar491/3(j), Kar491/4(j), Gew308(j), Kar561(j), Gew301(j), Gew292(j), Gew294(j), Gew306(j), Kar505(j), Gew302(j), Gew304(j), Kar502(j), Kar503(j), Gew301(j), P641(j), MP760(j), MG145(j), MG147(j) MG156(j), MG146/1(j), MG148(j), MG246(j), MG200(j), MG247(j), MG248(j), MG256(j), MG257(j), 7.58cm GrW229(j), 8.14cm GrW270(j)
그리스 Gew307(g), Kar561(g), Gew215(g), Kar417(g), Kar417/2(g), Gew301(g), Gew305(g), Gew502(g), Gew306(g), Kar505(g), Gew302(g), Gew285(g), R612(g), R613(g), MG136(g), MG104(g), MG152(g), MG202(g), MG156(g), MG256(g)
소련 Gew252(r), Gew253(r), Gew254(r), Gew256(r), Kar453(r), Kar454(r), Gew255(r), Gew257(r), Gew258(r), Gew259(r), Gew259/2(r), Gew260(r), R612(r), P615(r), MP715(r), MP716(r), MP717(r), MP41(r), MP718(r), MP719(r), MG120(r), MG121(r), MG320(r), MG216(r), MG218(r), MG268(r), PzB783(r), PzB784(r), HG336(r), 3,7cm SpGrW161(r), 5cm GrW200(r), 5cm GrW205(r), 8.2cm GrW274(r), 12cm GrW378(r), 12cm GrW379(r)
미국 Gew249(a), Gew250(a), Gew251(a), Gew455(a), P660(a), R661(a), R662(a), MP760(a), MP760/2(a), MP761(a), MP762(a), MP763(a), MG123(a), MG124(a), MG219(a), MG321(a), MG269(a), PzB788(a), 6cm MW219(a) NbW263(a)
이탈리아 Gew208(i), Gew209(i), Gew210(i), Gew214(i), Gew231(i), Gew240(i), Kar408(i), Kar409(i), Kar410(i), Kar416(i), Kar430(i), Gew306(i), Kar505(i), P670(i), P671(i), R680(i), MP738(i), MP739(i), MG099(i), MG200(i), MG255(i), MG259(i), MG261(i), MG350(i), PzB785(i), PzB770(i), 4.5cm GrW176(i), 8.1cm GrW276(i)
※ 윗첨자V : 국민돌격대가 사용
당시 독일은 고질적인 무기부족, 점령국가의 치안을 이유로 기존의 노획 무기에 새로운 제식명을 붙여 사용했다.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독일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일본군 보병장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736942> 중일전쟁제2차 세계 대전
일본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736942> 소총 <colbgcolor=#736942> 볼트액션 소총 13년식 소총, 30년식 소총, 35년식 해군총,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7식 저격총, 99식 소총, 99식 저격총, 100식 소총, 1식 소총, 2식 소총, 간이 소총, 모식 소총, 이식 소총
반자동소총 갑형 자동소총, 을형 자동소총, 병형 자동소총, 4식 자동소총
기관단총 M1927 기관단총, 1형 기관단총, 2형 기관단총, 100식 기관단총, 베식 기관단총, MAB 38
권총 자동권총 남부 권총, 15년식 권총, 스기우라식 권총, 하마다식 권총, 94식 권총
리볼버 26년식 권총
조명탄 권총 90식 신호권총, 97식 신호권총, 해군 4식 더블배럴 산탄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92식 7.7mm 기총, 시제 1식/3식 경기관총
중기관총 3년식 기관총, 92/1식 중기관총, 93식 중기관총, 89/97식 고정 기관총, 98식 중기관총, 97식 중기관총, 98/1식 선회 기관총, 99식 기총
대전차화기 97식 자동포, 4식 7cm 분진포, 5식 8cm 분진포, 99식 파갑폭뢰, 갈고리 폭탄, 자돌폭뢰
화염방사기 93식 소화염발사기, 100식 화염발사기
척탄통 및 박격포 10식 척탄통, 89식 척탄통, 97식 곡사보병포, 94식 90mm 박격포, 96/97식 150mm 박격포
유탄 91식 파쇄 수류탄, 10식 파쇄 수류탄, 수류탄/일본군, 100식 총류탄발사기, 2식 총류탄발사기
냉병기 군도 일본 군도(구군도/신군도), 30년식 총검, 35년식 총검
취소선 : 실전에 투입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1] 1930년대 미국의 반자동소총 개발에 .276 페더슨 탄을 사용하도록 개조하여 참여하기도 했으나 실패했다. 여기서 승자는 개런드였다.[2] 을형을 포함해 3종류의 반자동 소총이 출품되었지만 저마다의 결함이나 생산비용의 문제로 모두 채용에 실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