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1914 Fiat–Revelli Modello 1914 피아트-레벨리 M1914 | |||
M1935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중기관총 | ||
원산지 | [[이탈리아 왕국| ]][[틀:국기| ]][[틀:국기| ]] | ||
{{{#!folding 【펼치기 · 접기】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15년~1945년 | ||
개발 | 아비엘 베텔 레벨리 디 베아우몬트 | ||
개발년도 | 1910년 1934년 (M35) | ||
생산 | 브레시아나 사회 광공업 피아트 | ||
생산년도 | 1914년~1920년 1935년~1940년 (M35) | ||
생산수 | 47,500정 | ||
사용국 | [[이탈리아 왕국| ]][[틀:국기| ]][[틀:국기| ]] | ||
사용된 전쟁 | 제1차 세계 대전 블로러 전쟁 국공내전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스페인 내전 제2차 세계 대전 | ||
기종 | |||
파생형 | 피아트 M14 항공형 피아트-레벨리 M1935 | ||
세부사항 | |||
탄약 | 6.5x52mm 카르카노 8x59mm RB 브레다 (M35) | ||
급탄 | 5×10발들이 탄창(50발) 5×20발들이 탄창(100발) 탄띠 급탄 (M35) | ||
작동방식 | 단주퇴 반동 이용식 지연 블로우백 | ||
총열길이 | 645mm | ||
전장 | 1,410mm 1,250mm (M35) | ||
중량 | 17.08kg (물 포함시 21.5kg) 17kg + 23kg 삼각대 (M35) | ||
발사속도 | 400~500RPM 600RPM (M35) | ||
탄속 | 800m/s 750~760m/s (M35) | ||
유효사거리 | 700m, 1,000m (M35) | ||
최대사거리 | 3,000m 5,200m (M35) | }}} |
[clearfix]
1. 개요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
작동 방식 영상 |
2. 상세
리센티 M1910을 개발한 아비엘 베텔 레벨리 디 베아우몬트 대위가 개발한 중기관총으로 당시 육군 참모총장이었던 루이지 카르도나에 따라 채용이 결정되었다.이 기관총이 채용된 시기는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있었고, 당시 이탈리아 왕국군은 보유하고 있는 기관총 페리노 M1908밖에 없었는 데다, 그마저도 극비 취급되어 수량이 적은 등 전선에 나갈 상황이 아니었다. 그로 인해 기존의 M1908을 대신해 1선급 기관총이 되어 대전에서 활약했다.
특유의 5발들이 탄창 10개를 옆으로 붙인 형태의 탄창을 사용하여 탄띠 급탄을 사용했던 영국의 맥심 기관총이나 빅커스 기관총과는 구조면에서 전혀 다른 차이를 보이고 있다.
다만 복잡한 탄창 구조 탓에 급탄 불량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름공급장치를 써서 탄에 기름칠을 하도록 했지만 이탈리아군은 사막에서 전투가 많았기 때문에 역으로 모래와 먼지가 달라붙어 그다지 좋은 해결책은 되지 못했다.
일부 M1914들은 항공기 기총으로 사용되기도 했는데, 예광탄이 영 좋지 않아 위력이 부족했고 위에서 상술한 작동 불량이 있었기에 1917년부터는 그냥 빅커스 기관총이나 루이스 경기관총을 사용하게 된다. 또한 L3나 L5의 초기형 등 전차의 동축 기관총으로도 사용되었다.
2.1. M1935
소구경탄을 사용했던 M1914의 위력부족을 느끼면서 1930년대 즈음부터 연구가 시작되었다.[1][2] 새로운 중기관총으로 8x59mm RB를 사용하는 공랭식 기관총이 요구되었고, 피아트사와 브레다사가 시작하였다. 그렇게 피아트사에서 나온 것이 M1935. 브레다는 M37과 M38을 내놓았다.
공랭식으로 변경된 데다 단주퇴 반동 이용식 구조 특성상 쿡 오프 문제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총열 교체를 위한 손잡이를 따로 만들어두었다. 또한 로크 핀을 추가해서 2단식의 지연기구를 마련하는 것으로 안정성을 확보했다. M1914에서 보여왔던 기름공급장치를 대신하기 위해 몇 가지 대책을 세웠지만 그리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오지 않아 나중에 다시 기름공급장치가 추가되었다. 기름공급장치는 당대 기관총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이었다.
탄창을 사용하는 M1914와는 달리 탄띠로 급탄하는 방식으로 기본적으로 50발이 연결된 금속제 탄띠를 사용하지만 계속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어 100발 이상 연결할 수 있고, 300발을 수납할 수 있는 탄통을 구비하고 있다.[3]
3. 기타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공랭식에 탄띠 급탄을 사용하는 M1935가 등장했으나, 생산량이 받쳐주지 못한 탓에 전군에 지급되지는 못하고 M1914는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사용되었다. 이런 이유로 비슷한 성능인 브레다 M37과 같이 사용되는 희한한 상황이 벌어졌다.[4] 황당하게도 이탈리아는 12.7mm 탄을 사용하는 브레다-SAFAT기관총을 동시기에 생산하고 있었는데, 이 중기관총은 오직 항공용으로만 사용되었다. 브레다-사파트는 M1919를 기반으로한 기관총으로 M2의 .50구경에 비하면 절반 가까이 약한 탄을 사용하긴 하지만 그래도 명색이 중기관총이라고 1만J은 나온다고 한다. 여러므로 이탈리아의 문제점을 제대로 보여줬다면 보여준 이야기이다.[5]중화민국의 군벌 우페이푸가 M1914 모델을 수입해 내전에 활용하기도 했다.
4.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이탈리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이탈리아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1870/87, M1870/87/15, M91, M38 | ||
반자동소총 | MAB 18/30, Mod. X, M1935, M1937, M39 | ||||
기관단총 | OVP 1918, MAB 18, MAB 38, MAB 38/42, FNAB-43 | ||||
권총 | 이탈리아제 | M1889, M1910, M15, M17, M23, M31, M32, M34, M35 | |||
오스트리아제 | M1898, M1907, M1912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4, M1935, M30, M37, M38, 브레다-SAFAT | |||
대전차화기 | 기병총/대전차용 총 "S", 판처파우스트, 라케텐판처뷕세(판처슈렉) | ||||
화염방사기 | M35, M40, M41 | ||||
박격포 | 브릭시아 M35, 81mm 박격포 M35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크로아티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5b2c6f> 제2차 세계 대전 크로아티아 독립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5b2c6f> 소총 | <colbgcolor=#5b2c6f>볼트액션 소총 | Kar98k, Vz.24, 카르카노 | ||
자동소총 | StG44 | ||||
기관단총 | KP/-31, EMP35, MP40, PPSh-41, 톰슨 기관단총 | ||||
권총 | P08, M1922, P38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4, Vz.26, MG34, MG42 | |||
대전차화기 | 판처파우스트, 판처슈렉 | ||||
박격포 | 브랑 Mle 27/31, 8cm GrW 34, 스토크스 박격포, 12cm Grw 42 | ||||
유탄 | M24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크로아티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 유고슬라비아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제2차 세계 대전 유고슬라비아 왕국군 및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71, M78/80, M24, Gew98, Wz.29, Vz.24, Kar98kC, M1895, 카르카노C | ||||
자동소총 | StG44C | |||||
기관단총 | PPSh-41L, PPS-43L, EMP35, MP40C, KP/-31C, MAB 38C, 39M 기관단총C, 톰슨 기관단총L, 스텐 기관단총L | |||||
권총 | 나강 M1895, 라스트&가서 M1898, TT-33L, 마우저 C96, 루거 P08C, 발터 P38C, 루비 권총, M1910/22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CSRG M1915, 브레다 M30C, Vz.26, 브렌 경기관총L, 마드센 경기관총 | |||
중기관총 | 피아트-레벨리 M1914, 브레다 M37C, MG34C, MG42C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대전차 소총L, PIATL, M1 바주카L | |||||
화염방사기 | 플라멘베르퍼 42C | |||||
유탄 | M24C, M39C | |||||
※윗첨자L: 연합군으로부터 공여받음 ※ 윗첨자C: 추축군으로부터 노획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유고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몬테네그로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몬테네그로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1D5E91> 개인화기 | <colbgcolor=#1D5E91> 볼트액션 소총 | M1886, 베르티에 소총, 카르카노, M24 | ||
기관단총 | MAB 38 | |||
권총 | M1889, M1891, M1910/22, M1915, M1934 | |||
지원화기 | 기관총 | <colbgcolor=#1D5E91> 경기관총 | 루이스 경기관총, 브레다 M30, M26, M37 | |
중기관총 | 피아트-레벨리 M1914, 호치키스 M1914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몬테네그로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1] 당시 일본도 비슷한 문제를 겪었기 때문에 기존의 소총탄보다 강력한 탄을 사용하는 소총과 기관총을 개발한다.[2] 제식 소총탄과 다른 기관총용 탄을 또 개발해서 쓰는게 이상할 수도 있지만 6.5mm같은 소구경탄을 쓰는 나라들은 8mm대의 거점 방어나 장거리 화력 지원용으로 사용할 중(Heavy)기관총용 탄을 따로 개발하는 경우가 있었다. 똑같이 소구경탄을 쓰던 스웨덴 역시도 중기관총용 탄을 따로 개발해서 사용했다.[3] 그런데 탄띠를 물려도 이탈리아 공업력의 문제였는지 총에서 잔고장이 잦아 지속사격능력이 그다지 좋지 않았다고 한다. 경쟁작인 브레다 M37이 20발 보탄판을 쓰는데도 이탈리아 병사들의 회고에 의하면 장전을 좀더 자주 안해줘도 되는 걸 빼면 M37이 M1935보다 관리하긴 쉬웠다고 한다.[4] 둘 다 정확한 생산량을 집계하긴 어렵지만, 브레다 사쪽이 생산을 더 많이 한 모양이다.[5] 당연하지만 비슷한 성능의 무기를 병행생산한다는 것 자체가 운용하기도 불편하고 생산성에도 나쁘다. 심지어 8mm 탄은 새롭게 채택된 탄환이기 때문에 기존의 어떤 무기와도 호환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