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18 Solothurn S-18 졸로투른 S-18 | |||
사진은 S-18/100이다.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대전차 소총 | ||
원산지 | [[스위스| ]][[틀:국기| ]][[틀:국기| ]] | ||
{{{#!folding 【펼치기 · 접기】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34년~불명 | ||
생산 | 졸로투른 군수공장 | ||
생산년도 | 1934년~1943년[A] 1936년~불명[C] | ||
사용국 | [[스위스| ]][[틀:국기| ]][[틀:국기| ]] [[나치 독일| ]][[틀:국기| ]][[틀:국기| ]] [[이탈리아 왕국| ]][[틀:국기| ]][[틀:국기| ]] 헝가리 왕국 [[핀란드| ]][[틀:국기| ]][[틀:국기| ]] | ||
사용된 전쟁 | 슬로바키아-헝가리 전쟁[A] 제2차 세계 대전[A][B][C] | ||
기종 | |||
파생형 | S-18/100 S-18/1000 S-18/1100 Solothurn-Arsenal | ||
세부사항 | |||
탄약 | 20×105mmB[A] 20×138mmB[B] | ||
급탄 | 10발들이 박스탄창[A] 5, 10발들이 박스탄창[B][C] | ||
작동방식 | 쇼트 리코일로 추정 | ||
총열길이 | 925mm[A] 1,400mm[B] 1300mm[C] | ||
전장 | 1,760mm[A] 2,160mm[B] 2100mm[C] | ||
중량 | 45kg[A] 54kg[B] 54.7kg[C] | ||
발사속도 | 15~20RPM[C] | ||
탄속 | 735m/s[A] 850m/s[B] 750m/s[C] | ||
유효사거리 | 400m[25] | }}} |
[clearfix]
1. 개요
Forgotten Weapons의 리뷰 및 사격 영상
스위스의 불펍 대전차 소총. 스위스군을 비롯해 네덜란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추축군이었던 독일군과 이탈리아군, 헝가리군이 사용했다.
Solothurn은 발음상 졸로툰으로 들릴 수도 있으나 졸로투른이 올바른 표기이다.
2. 상세
왜 독일이 스위스제 무기를 사용하는 지에 대해 의아해할 수 있는데, 사실 졸로투른 군수공장은 스위스 졸로투른[26]에 위치하고 있었지만 독일의 라인메탈이 소유하고 있었다. 즉, 베르사유 조약을 피해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즈음부터 우회해서 제조하는 수법을 써왔던 것.Forgotten Weapons의 S-18용 이륜차 리뷰 영상
20mm를 안정적으로 쏠 기술력이 모자라 어쩔 수 없이 중량을 키웠기 때문에 라티 L-39와 비슷하게 무거운 무게를 자랑했다. 따라서 운반시 이륜차가 개발되기도 했으나, 거의 쓰이지 않았다.
20×105mmB를 사용하는 S-18/100가 표준이었지만, 아예 20×138mmB, 대공포탄[27]을 사용하는 S-18/1000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자동발사가 가능하고 발사 옵션을 설정할 수 있는 S-10/1100도 존재한다.
사용 탄이 사용 탄이다 보니까 본래의 대전차 소총 외에도 대공포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3. 기타
- 1940~1941년 사이에 미군이 S-18/1000 구입을 고려했다고 한다. 제한적으로 조달 받은 뒤 테스트를 받고는 50정을 구입할 계획이 있었다고. 하지만 협상이 길어지는 바람에 취소되었다.
- 1940년에 이탈리아군이 스위스에서 구입했다. 처음에는 기병총 "S"로 알려져 있었고, 1942년에 대전차용 총 "S"로 재설계해서 주로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차량에 탑재되어 사용되었다.
- 겨울전쟁 당시 핀란드가 졸로투른으로부터 12정을 구입했는데,[28] 전쟁이 끝난 뒤에나 도착했고, 계속전쟁에서 사용하기는 했지만, 이 시점부터 전차의 장갑이 강화되어서 곧 쓸모가 없어졌다...
이처럼 졸로투른은 대체 어디다가 쓰라고 만들었는지 모를 정도로 등장한 시기도 매우 늦었으며[29], 더군다나 기갑 차량들의 장갑 수치가 빠르게 강화되며 성능도 좋지 못했기에 사장되어버린 비운의 총으로도 알려져 있다.
4.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스위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제2차 세계 대전 스위스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M1893, K11, M1911, K31 | ||
반자동 소총 | AK44 | |||
기관단총 | MP18.1, M1920, MP 41/44, MP 43/44, MKMO, MKPS, MP41 | |||
권총 | M1882/29, P06/29 | |||
지원화기 | 기관총 | MG11, Lmg 25, S2-200, M1935 | ||
대전차화기 | Tb 40, Tb 41 | |||
수류탄 | HG 43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스위스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스위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냉전기 스위스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K31 | |||
자동소총 | ||||||
기관단총 | MKMO, MKPS, MP41, MP 41/44, MP 43/44 | |||||
권총 | P06/29, P49, P75 | |||||
지원화기 | 기관총 | Mg 11, Lmg 25, S2-200, Mg 51, Mg 51/71, | ||||
대전차화기 | Tb 40, Tb 41, Rr 58, Rr 80, PAL Bb 77 | |||||
박격포 | 6cm Werfer 87, 12cm Minenwerfer 74 | |||||
유탄 | HG 43, HG 85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스위스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이탈리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이탈리아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1870/87, M1870/87/15, M91, M38 | ||
반자동소총 | MAB 18/30, Mod. X, M1935, M1937, M39 | ||||
기관단총 | OVP 1918, MAB 18, MAB 38, MAB 38/42, FNAB-43 | ||||
권총 | 이탈리아제 | M1889, M1910, M15, M17, M23, M31, M32, M34, M35 | |||
오스트리아제 | M1898, M1907, M1912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4, M1935, M30, M37, M38, 브레다-SAFAT | |||
대전차화기 | 기병총/대전차용 총 "S", 판처파우스트, 라케텐판처뷕세(판처슈렉) | ||||
화염방사기 | M35, M40, M41 | ||||
박격포 | 브릭시아 M35, 81mm 박격포 M35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핀란드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겨울전쟁 및 제2차 세계 대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ff,#393b42>M/91, M/27, M/39, M/94, M/96, Kar98k, M/38 | ||
반자동소총 | M/38, M/40 | ||||
자동소총 | 표도로프 자동소총, AVT-40, AVS-36 | ||||
기관단총 | KP/-31, M/20, MP28, M/41, M/42, M/43, M/44 | ||||
권총 | M/03, M/1910, M/19, M/35, M/15, M/34, L-35, M/23, 아스트라 400, M/39, M/96, P08, M/1895, TT-33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M/26, M/21, M/15, M/20, DP-28 | |||
중기관총 | M/09-21, M/32-33, MG08, M/14, 빅커스 Mk.I, ShKAS, DS-39 | ||||
대전차화기 | kiv M/37, L-39, kiv M/38, kiv M/18-S, 판처파우스트, 라케텐판처뷕세 | ||||
화염방사기 | M/40, M/41-R | ||||
유탄 | M24, 몰로토프 칵테일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핀란드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헝가리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헝가리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95M, 31M, 35M, 43M | ||
자동소총 | StG44 | ||||
기관단총 | 39M, 43M, MP35, MP40 | ||||
권총 | 12M, 19M, 29M, 37M, 발터 P38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02, 7/31M, 31M, MG34, MG42 | |||
대전차화기 | 36M, 43M, 44M, 판처파우스트 | ||||
수류탄 | M24, M43 | ||||
박격포 | 39M 5cm 척탄통, 36/39M 8cm 박격포, 40M 10.5cm 박격포, 43M 12cm 박격포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헝가리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네덜란드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e86722> 2차 세계대전 네덜란드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e86722> 소총 | <colbgcolor=#e86722> 볼트액션 소총 | M.95, 리-엔필드, Vz.24 | |||
반자동소총 | M1941 존슨 소총K, M1 카빈 | |||||
기관단총 | 톰슨 기관단총K, MP28K, 스텐 기관단총K, 오웬 기관단총K | |||||
권총 | M1903, M1910/22, 하이파워, C96K, M.73, M.91K, P08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마드센 경기관총, M.20, 브렌 경기관총, M1918 브라우닝K | |||
중기관총 | M.8, M.18, M.25 | |||||
대전차화기 | PIAT, M1, S-18/1100 | |||||
박격포 | 3인치 스토크스 박격포 | |||||
유탄 | Mk.2 수류탄K | |||||
※ 윗첨자K : 네덜란드령 동인도군에서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네덜란드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불가리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불가리아 왕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1895, Kar98k, M91/30A | |
기관단총 | ZK-383, MP34, MP40, PPSh-41A, PPS-43A | ||
권총 | P08, 발터 PP, Vz.38, TT 권총A | ||
지원화기 | 기관총 | 마드센 경기관총, MG 07/12, MG08, Vz.26, MG30, MG15, MG34, MG42, Vz.53, PM M1910A, DP-28A, DShKA | |
대전차화기 | 졸로투른 S-18, 라케텐판처뷕세, 판처파우스트 | ||
박격포 | 8 cm 그라나트베르퍼 34, 브랑 Mle 27/31 | ||
유탄 | M1917, M34, N39, 시스베허, F1 수류탄A, RG-42A | ||
※ 윗첨자A : 1944년 이후부터 사용 |
||<tablebordercolor=#fff,#333><tablewidth=100%><bgcolor=#fff,#333> ※둘러보기 : 불가리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에스토니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에스토니아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0072ce> 개인화기 | <colbgcolor=#0072ce> 볼트액션 소총 | Vz.24, M1891/30 | ||
기관단총 | M23, KP/-31 | |||
권총 | 나강 M1895, 브라우닝 하이파워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마드센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 ||
중기관총 | PM M1910 | |||
대전차화기 | 졸로투른 S-18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발트3국의 운용무기체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A] S-18/100[C] S-18/1100[A] S-18/100[A] S-18/100[B] S-18/1000[C] S-18/1100[A] S-18/100[B] S-18/1000[A] S-18/100[B] S-18/1000[C] S-18/1100[A] S-18/100[B] S-18/1000[C] S-18/1100[A] S-18/100[B] S-18/1000[C] S-18/1100[A] S-18/100[B] S-18/1000[C] S-18/1100[C] S-18/1100[A] S-18/100[B] S-18/1000[C] S-18/1100[25] 50mm 장갑 관통 여부 기준.[26] 스위스 북서부에 위치한 주.[27] 이 포탄을 사용하는 대공포로 FlaK 30과 FlaK 38이 되겠다.[28] 명목상 발주자는 스위스군으로 되어있었다.[29] 이는 대전차소총에서 대전차포로 대전차화기의 교체 과도기에 등장한 무기였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졸로투른보다 후에 나온 라티 대전차소총의 경우, 겨울전쟁 중 적재적소에서 잘 사용하여 명총으로 각인되었다. 이것은 당시 투입된 소련군 기갑차량이 T-26, BT-5, BT-7 등의 경장갑 차량이었던 데다가, 환경 자체가 이러한 대전차 소총을 사용하기 매우 적합했다는 이유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