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1922 Hotchkiss M1922 호치키스 M1922 | |||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경기관총 | ||
원산지 |
| ||
{{{#!folding 【펼치기 · 접기】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22년~1950년대 | ||
개발년도 | 1922년 | ||
생산 | 호치키스 | ||
생산년도 | 1922년~1950년대로 추정 | ||
사용국 |
| ||
사용된 전쟁 | 리프 전쟁 브라질 내전 스페인 내전 중일전쟁 제2차 세계 대전 1차 인도차이나 전쟁 | ||
기종 | |||
파생형 | M1924 M1926 | ||
세부사항 | |||
탄약 | 6.5×54 mm 만리허-쇠나워 7×57mm 마우저 7.5×54mm .303 British 7.92×57mm 8×50mmR 르벨 | ||
급탄 | 20발들이 박스탄창 15, 24, 30발들이 보탄판 | ||
작동방식 | 가스 작동식 | ||
총열길이 | 600mm | ||
전장 | 1,216mm | ||
중량 | 8.5kg | ||
발사속도 | 450RPM | ||
탄속 | 724m/s 미만으로 추정[1] | ||
유효사거리 | 약 300m로 추정 | }}} |
1. 개요
호치키스 M1922는 호치키스사에서 만든 경기관총이다. 흔히 호치키스로 알려져 있는데, 프랑스어 표기법상 오치키스가 정확하다.2. 상세
기존에 생산하던 중기관총과는 달리 본격적인 보병용 경기관총으로 개발된 모델로 20발짜리 상부 급탄식 탄창과 24발, 30발짜리 보탄판을 사용할 수 있는 모델이 수출하는 국가에 따라 제각각으로 존재했다.[2] 본국인 프랑스에서 사용되기보다도 각국으로 수출되어 사용되는 양이 더욱 많았다. 주 수출국은 그리스 왕국과 스페인 왕국으로 스페인에선 라이센스를 얻어 생산하였고 그리스는 발사속도를 높이는 등 자체 개량형을 제작하기도 하였다. 그 밖에도 체코슬로바키아, 브라질, 튀르키예, 중화민국 등에 수출되었으며 스페인 내전, 그리스 침공과 중일전쟁 당시 사용되었다. 영국에서도 제식채용을 위해 시험용으로 몇 정을 수입했지만, 시험 결과에 만족하지 않았고 채용을 포기했다.3.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프랑스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le 1874, Mle 1886, Mle 1916, Mle M1907/15 M34, MAS-36 | ||
반자동소총 | Mle 1917, RSC Mle 1918, MAS-40, MAS-44 | ||||
기관단총 | MAS-38, EMP35, M1928 | ||||
권총 | MAS 1873, Mle 1892, 92 Espagnol, M1907, 루비 권총, Mle 1914, MAB Mle D, Mle 1935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09, CSRG 1915, Mle 1918 B.A.R., Mle 1922, Mle 1926, FM 24/29 | ||
중기관총 | Mle 1907, Mle 1914, Mle 1930, Mle 1922, Mle 1933, MAC 31, MAC 34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대전차 소총 | ||||
박격포 | Mle 27/31, Mle 35, Mle 37 | ||||
유탄 | F1, OF-37, DF-37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기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프랑스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f2023>Mle 1886, Mle 1934, MAS-36, 리-엔필드,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Kar98k | ||
반자동소총 | MAS-49, 게베어 43, M1 개런드, M1 카빈, M1A1 카빈 | ||||
자동소총 | StG44, M2 카빈 | ||||
기관단총 | MAS-38, MAT-49, 스텐 기관단총, MP40, 톰슨 M1A1, M/50 | ||||
권총 | Mle 1892, Mle D, Mle 1935, Mle 1950, 브라우닝 하이파워, HSc,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le 1922, Mle 1926, FM 24/29, M1918 브라우닝 | ||
중기관총 | Mle 1914, MAC 1934, AAT Mle 52, M1919A4, M1919A6, M2 | ||||
무반동포 | M18 | ||||
로켓발사기 | PIAT, M9, M20 | ||||
화염방사기 | M2, LFP 54 | ||||
박격포 | 브랑 Mle 37, 브랑 Mle 27/31, 브랑 Mle 35, M1, M2 | ||||
유탄 | F1, OF-37, DF-37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그리스 왕국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0d5eaf> 2차 세계대전 그리스 왕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0d5eaf> 볼트액션 소총 | FN M1930, M1903, Mle 1874, M1886, Mle 1907/15, Mle 1892/M16, 리-엔필드 | |||
기관단총 | 톰슨 기관단총, 스텐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 ||||
권총 | 루비 권총, 나강 M1912, 베르크만 M1903, 베르크만 M1910, FN M1910/22, 콜트 오피셜 폴리스 | ||||
지원화기 | 기관총 | <colbgcolor=#0d5eaf> 경기관총 | M1909, 쇼샤, M1922, M1926, M30, 브렌 경기관총 | ||
중기관총 | Mle 1907, M1914, MG M.07/12 | ||||
대전차화기 | PIAT | ||||
박격포 | 브랑 M27/3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스페인 내전기의 공화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스페인 내전 스페인 공화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마우저 M1893, 베테를리 M1870/87, 그라 M1874, 크로파첵 M1886, 르벨 M1886, 베르티에 M1907/15, 만리허 M1886, 만리허 M1888, Gew88, M1891/30, Vz.24, Wz.29, 로스 Mk.III, 리-엔필드, M1917 엔필드, 30년식 소총, 35년식 소총, 38식 소총 | ||
레버액션 소총 | M92 "엘 티그레", 윈체스터 M1895 | ||||
기관단총 | MP28, EMP35, 라보라 M1938, KP/-31, PPD-38 | ||||
권총 | 베르크만 M1903, 베르크만 M1908, 아스트라 400, 아스트라 900, C96, M1895, 캄포 히로 | ||||
기관총 | M1895, PM M1910/30, 호치키스 M1914, 호치키스 M1922, 쇼샤, 루이스 경기관총, KE7, Wz.30, M1918 브라우닝, 맥심-토카레프, DP-28, DT-29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체코슬로바키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전간기 ~ 제2차 세계 대전 체코슬로바키아군(ČSA)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ff,#393b42>M1895, Vz.98/22, Vz.24, Vz.33 | ||
반자동소총 | ZH-29 | ||||
기관단총 | KP Vz.38, ZK-383 | ||||
권총 | Vz.22, Vz.24, Vz.27, Vz.38 | ||||
지원화기 | 기관총 | TK vz.7/24, M1922, M1923, LK vz.24, LK vz.26, LK vz.30, Vz. L/28, TK vz.37, TK vz.38 | |||
박격포 | 8cm 박격포 Vz.36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