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7 15:02:13

89식 척탄통

Type 89 Grenade Discharger
八九式重擲弾筒
89식 척탄통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Japanese_Type_89_grenade_discharger.gif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유탄발사기
원산지
[[일본 제국|]][[틀:국기|]][[틀:국기|]]
{{{#!folding 【펼치기 · 접기】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29년~1945년
개발년도 1929년[1]
생산 ??
생산년도 1932년~1945년
사용국
[[일본 제국|]][[틀:국기|]][[틀:국기|]]

[[중국|]][[틀:국기|]][[틀:국기|]]

[[인도네시아|]][[틀:국기|]][[틀:국기|]]

[[북한|]][[틀:국기|]][[틀:국기|]]

[[베트남|]][[틀:국기|]][[틀:국기|]]
사용된 전쟁 소련-일본 국경분쟁
중일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말라야 비상사태
6.25 전쟁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베트남 전쟁
세부사항
탄약 91식 파쇄 수류탄
89식 50mm 소이탄
급탄 단발
작동방식 전장식
총열길이 248mm[2]
전장 608mm[3]
중량 4.7kg
발사속도 25RPM
유효사거리 65m (일반 유탄을 쓸 경우)
190m (89식 유탄을 쓸 경우)[4]
최대사거리 670m (89식 유탄을 쓸 경우) }}}
1. 개요2. 상세3. 타국에서의 운용4. 등장 매체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ruby(八九式,ruby=はちきゅうしき)][ruby(重擲弾筒,ruby=じゅうてきだんとう)] (Type 89 grenade discharger)

제2차 세계 대전당시에 일본군이 사용했던 경 박격포유탄발사기. 경박격포와 현대의 유탄발사기의 중간 형태를 띄는 무기이다보니 영문에선 Grenade Launcher나 Light Mortar가 아닌 'Grenade discharger'로 표기하고 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Japanese_Type_91_50_mm_grenade.gi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Japanese_Type_89_grenade_discharger_Incendiary_shell.gif
91식 세열탄 89식 50mm 소이탄[5]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발사 영상.
영상에서는 작약이 들어있지 않은 연습용 탄을 썼다.
89식 척탄통의 분해 및 조립 세부 작동원리

2. 상세

척탄통은 한손으로 휴대할 수 있는 화통(火筒)[6] 같은 무기이며, 만주사변이후 사용되고있는 극히 원시적인 초등 박격포이다. 통의 지름은 8cm, 길이는 20cm, 최대 사거리 650m에 유탄은 하나가 1kg 미만이며, 통의 하부에 20cm의 부분 조준기가 붙어있고 그 아래로 반원의 받침대가 있다. 사격때는 반드시 왼손으로 통을 받쳐 45도기울이고 오른손으로 조준하며, 보통 사수옆의 또다른 사람이 통에 탄환을 넣는 역할을 했다. 한발의 살상력이 15㎡에 달하는, 소형이지만 보병부대라면 빼놓을 수 없는 귀중한 화기였다.
후나사카 히로시, 《영령의 절규, 옥쇄의 섬 앙가우르》

10식 척탄통의 개량형. 10식 척탄통과는 달리 강선이 파져 있었다. 10식 척탄통처럼 수류탄을 박격포탄처럼 발사하는 것이 가능하며 작약량 2배에 일반 수류탄의 3배 사거리를 가지는 전용 89식 유탄도 있어 좋은 평가를 받았다.[7] 이렇게 성능이 올라간 대신 10식 척탄통에 비해 무거웠지만 세 부분으로 나눠 사수, 부사수, 탄약수가 운반하는 것으로 해결했다.

89식 척탄통은 굳이 일본군내로 한정하지 않더라도 당시 쓸만한 것으로 일단 운반이 쉽고 휴대할 수 있는 탄수가 많으며 (1포반당 54발) 빠른 발사 속도와 유사시에는 수평발사도 가능하여 일선에서 호평을 받았고 연합군도 성공적인 경박격포로 칭찬하였다. 다만 나중에는 일본 군부가 계속되는 전쟁에 자원이 부족해지자 물자절약 한다는 이유로 이것만 양산해댄 바람에 기관총이 부족해져 대부분의 화기소대가 기관총 대신 이것만을 장비하는 경우가 많아져 일본군의 화력 감소가 발생할 정도였다. 유탄발사기에 가깝다고 하지만 일본군은 이를 경박격포처럼 운용했으며 당연히 훨씬 큰 통상 경박격포보단 성능이 떨어졌지만 기동성과 범용성으로 일부분 커버했다. 전장에서는 강한 한방이 필요할 때도 많지만 1선 보병 입장에선 불러도 불러도 안 오는 거창한 지원보단 그냥 내가 쏠 수 있는 화력도 중요한데, 기관총보다도 가벼운 지원화기는 반가운 존재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즉 분대지원화기나 소대지원화기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

사실 영국군은 거의 비슷한 구조와 용도의 2인치(50mm) 경박격포인 SBML 2를 장비하고 있었다. 미군도 M19 60mm 박격포가 이것과 흡사한 운용을 할 수 있었으나 명중율이 떨어지고 사정거리가 너무 짧다고 병사들이 싫어하여 그냥 포다리를 달아 썼다. 그러나 아무래도 이런 저런 이점이 있는지라 지금도 미군은 M224 LWCMS 60mm 박격포를 이런 식으로 수형 박격포처럼 운용하며 전용 간이 포판과 조준경이 따로 사용되기도 한다. 영국군 또한 2007년까지 L9A1 51mm 박격포를 운용했으며 프랑스군은 현재도 51mm 박격포 LGI Mle F1을 운용한다. 중국 인민해방군에서도 60mm 박격포를 이런 식으로 운용하기도 하며 이 일본군의 후신인 자위대 또한 경박격포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군 또한 교본에 60미리 박격포를 여차하면 이런 식의 수형박격포와 비슷한 식으로 운용하는 방법이 나와 있으며 이런 식의 경박격포나 수형박격포는 현재도 생각보다 여러 나라나 세계 곳곳의 방위산업체 카탈로그에서 많이 보이는 편이다.

그리고 좀 요상한 장점이자 단점도 있었는데, 발사시 소리가 커서 처음 접하는 사람은 마치 대포를 쏘는 것처럼 들린다는 것이다. 이를 이용해서 미군의 포격이 쏟아지면 일부러 일본군이 미군에 근접해서 척탄통을 발사했다. 이러면 미군은 자신들의 포병이 오사하는 것으로 착각하고 포격중지를 요청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하지만 곧 경험을 쌓은 미군들은 전쟁 후반에는 더 이상 이런 얕은 수작에 걸리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이 무기에 문제가 있었다면 설계 같은 것이 아니라 공업력 약화로 인한 신뢰성이다. 초중반에 생산된 물건에는 신뢰성에 문제가 없어 유용하게 쓰였지만 대전 말기로 갈수록 미군의 전략폭격과 물자 부족으로 인한 조악한 제조로 인해 후반에 생산된 물건들 중에는 간혹 발사시 통째로 터지는 사례도 발생했다.덕분에 나중에 가면 척탄통은 따로 고정시켜놓고 끈을 연결해서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발사하는 경우도 있었다.

사거리를 조절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었는데 하나는 각도를 이용하여 착탄각을 조정하는 방법이고 하나는 공이의 위치를 조절하여 포신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길고 짧게 하여 이에 따른 사거리 변화를 꾀한 것이었다.

10식 89식 척탄통이 훗날 유탄발사기 개발에 영향을 끼쳤다고 서술하는 경우도 있으나(대표적으로 세계의 군용 총기 백과), 정확한 근거는 없다. 일본 위키피디아에서도 89식이 유탄발사기에 영향을 끼쳤다는 정확한 근거가 없는지라 인용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서술하고 있다.

3. 타국에서의 운용

많은 수가 사용되었기에 미군에 다수가 노획되었는데, 이때 뜻하지 않은 소소한 전과를 올리기도 했다. 받침대의 모양이 오목한 것을 본 미군 병사들은 '이거 무릎 위에 놓고 쏘는 무기로구나.'라고 착각해서 그렇게 발사해봤다가 부상당해 병원에 실려간 것이다. 그래서 10식 척탄통과 함께 무릎 박격포(knee mortar)라고 불렸으며, 당장 미군의 노획무기도감에 해당 무기를 절대 무릎이나 다리에 대고 쏘지 말 것!이라는 문구가 붙었다.
파일:external/api.ning.com/Kneemortar.jpg
파일:external/memberfiles.freewebs.com/KneeMortSmall.jpg
이렇게 쏘면 무릎은 물론 다리가 부러지고 대충 이렇게(혹은 엎드린 자세로) 쏴야 한다.
중일전쟁에서 일본군과 맞상대한 중국 국민당군은 이 무기가 별로 기술이나 자원을 들이지 않고도 양산가능한 것에 주목, 민국 27년식 척탄통(民國二七年式擲彈筒)으로 카피 생산하기도 했다. 훗날 이것을 노획한 중공군6.25 전쟁에서 사용했으며 특히 전쟁 후반 고지 쟁탈전에서 자주 사용되어 그 기민성으로 UN군귀찮게 했다. 다만 신관 구조상 경사지에서 불발되기 쉽고 수평발사시에도 불발이 잘 되어 기관총에 비해 위협적이진 않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중공군은 한국전쟁 이전인 중일전쟁 기간중에도 옌안등의 근거지에서 복제 생산을 했는데, 장약과 재질 등의 문제로 중공군이 복제한 척탄통은 일본에서 만들어진 것보다 포신이 길다. 덤으로 복제 생산에 참가한 중공군 기술자의 회고에는 포신의 재료로 가장 좋았던 것은 강탈한 철도 궤도를 토로법(土爐法)으로 녹여서 만든 것[8]이었다고. 그리고 베트남 전쟁 초기 베트민군이 사용하기도 했다.

4. 등장 매체

5.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일본군 보병장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736942> 중일전쟁제2차 세계 대전
일본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736942> 소총 <colbgcolor=#736942> 볼트액션 소총 13년식 소총, 30년식 소총, 35년식 해군총,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7식 저격총, 99식 소총, 99식 저격총, 100식 소총, 1식 소총, 2식 소총, 간이 소총, 모식 소총, 이식 소총
반자동소총 갑형 자동소총, 을형 자동소총, 병형 자동소총, 4식 자동소총
기관단총 M1927 기관단총, 1형 기관단총, 2형 기관단총, 100식 기관단총, 베식 기관단총, MAB 38
권총 자동권총 남부 권총, 15년식 권총, 스기우라식 권총, 하마다식 권총, 94식 권총
리볼버 26년식 권총
조명탄 권총 90식 신호권총, 97식 신호권총, 해군 4식 더블배럴 산탄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92식 7.7mm 기총, 시제 1식/3식 경기관총
중기관총 3년식 기관총, 92/1식 중기관총, 93식 중기관총, 89/97식 고정 기관총, 98식 중기관총, 97식 중기관총, 98/1식 선회 기관총, 99식 기총
대전차화기 97식 자동포, 4식 7cm 분진포, 5식 8cm 분진포, 99식 파갑폭뢰, 갈고리 폭탄, 자돌폭뢰
화염방사기 93식 소화염발사기, 100식 화염발사기
척탄통 및 박격포 10식 척탄통, 89식 척탄통, 97식 곡사보병포, 94식 90mm 박격포, 96/97식 150mm 박격포
유탄 91식 파쇄 수류탄, 10식 파쇄 수류탄, 수류탄/일본군, 100식 총류탄발사기, 2식 총류탄발사기
냉병기 군도 일본 군도(구군도/신군도), 30년식 총검, 35년식 총검
취소선 : 실전에 투입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제2차 세계 대전의 중화민국 보병장비
파일:대만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중일전쟁 제2차 세계 대전
국민혁명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마우저 M1871, 88식 소총, 24식 소총, Vz.24, Wz.29, Kar98k, 스프링필드 M1903L, M1917 엔필드L, 리-엔필드L, 모신나강, 카르카노 M1891, 만리허 M1886, 만리허 M1888, 81식 카빈C
반자동소총 ZH-29, M1 개런드L, M1941 존슨L, M1 카빈L
기관단총 MP18, SIG M1920, 마우저 M712, MP34, 스텐 기관단총L, 톰슨 기관단총, M42L, PPD-40C, PPSh-41C, PPS-43C
권총 C96, P08, M1914, 발터 PP, M1900, 루비, 콜트 M1903, FN M1922, 브라우닝 하이파워, TT-30, TT-33, M1911A1L, M1917L, FP45L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Vz.26/30, 마드센 M1902, MG13, DP-28C, 루이스 경기관총, 맥심-토카레프C, 호치키스 M1922, 라티-살로란타 M/26, SIG KE7, Wz.28, FN M1930, 브렌 경기관총L
중기관총 PM M1910, 24식 중기관총, ZB-53, 호치키스 M1914, 30식 중기관총, M1919 브라우닝L
대전차화기 PTRD-41C, 바주카L, 보이스 대전차 소총L
화염방사기 M1A1 화염방사기L, M2 화염방사기L
박격포 20식 82mm 박격포, 27년식 척탄통, 31식 60mm 박격포
유탄 23식 수류탄
냉병기 도검 대도
※ 윗첨자C : 홍군이 사용
※ 윗첨자L : 무기대여법에 의한 지원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화평건국군 보병장비
파일:왕징웨이 정권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373a3c> 제2차 세계 대전
화평건국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color=#000096>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88식 소총, 24식 소총, Vz.24, Wz.29, Kar98k, 38식 소총, 만리허 M1895, 카르카노
기관단총 MP18, SIG M1920, 톰슨 기관단총
권총 C96, 남부 권총, 북지 19식 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Vz.26, 24식 중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3년식 기관총, 쇼샤
박격포 27년식 척탄통
유탄 23식 수류탄, 91식 수류탄, 97식 수류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의 운용장비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반영 민족해방전쟁기의 말라야 공산당 보병장비
파일:말라야 공산당기.pn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반영 민족해방전쟁
말레이시아 해방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f2023>리-엔필드, M.95,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모신나강, Gew88, Gew98, Kar98k, M1903A3
반자동소총 M1, M1A1
자동소총 AK-47
기관단총 100식 기관단총, 스텐 Mk.II, Mk.V, 스털링 기관단총, M50, M55, M1928A1, M1A1, PPSh-41
산탄총 Auto-5
권총 웨블리 리볼버,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1A1, TT-33, C96, P08, P38
지원화기 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2식 중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브렌 경기관총
척탄통 10식 척탄통, 89식 척탄통
유탄 밀즈 수류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6.25 전쟁의 북한군 및 인민지원군 보병장비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6.25 전쟁
조선인민군, 인민지원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30년식 소총,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7식 저격총, 99식 소총, 모신나강, 50식 보총, 한양 88식C, 24식 보총C, 81식 마병총C, Kar98kC, Vz.24C. 스프링필드 M1903C. M1917 엔필드C
반자동소총 SVT-40, SKS
자동소총 AVS-36C
권총 남부 권총, 나강 M1895, C96, TT-33, 발터 P38, 루거 P08C
기관단총 PPSh-41, 49식 기관단총, 50식 기관단총, PPS-43, 봉천 2형 기관단총C, 36식 기관단총C, M1921C, M1928A1C, M1A1C, MP34C, 스텐 기관단총C, 100식 기관단총C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1식 경기관총, 89식 기관총, 96식 경기관총, 99식 경기관총, DP-28, DPM, Vz.26, Vz.30
중기관총 92식 중기관총, 97식 중기관총, 24식 중기관총, PM M1910, DT, DTM, DShK, SG-43, KPV, MG34C
대전차화기 PTRD-41, PTRS-41, RPG-43, 52식 무반동포C
화염방사기 ROKS-3
박격포 27년식 척탄통C, 82-PM-37, 120-PM-43
유탄 F1 수류탄, RGD-33, RG-42
지뢰 목함지뢰, POMZ-1
※ 윗첨자C: 중공군이 사용
취소선 : 사용 여부에 논란이 있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군의 운용장비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베트남전기의 베트남 인민군(월맹군) 보병장비
파일:베트남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6e8b3d> 베트남 전쟁
베트남 인민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6e8b3d> 소총 <colbgcolor=#6e8b3d> 볼트액션 소총 M1886F, M1902F, MAS-36F, K-44, 38식 소총J, 99식 소총J, Kar98kF, 88식 소총
반자동소총 SKS, SVT-40, SVD, Vz.52, MAS-49F
자동소총 AK-47, 58식 보총, K-56, K-63L, AKM, Vz.58, StG44L, FG42L
기관단총 K-50M, PPSh-41, 50식 기관단총, PPS-43, Vz.25, M1928A1, M1A1, 마드센 M/50, M56, PM-63, Vz.61, 100식 기관단총J, MAS-38F, MAT-49F, MP40F
권총 K-54, K-59, CZ52, C96, APSL, 나강 M1895, 남부 권총J, MAB 모델 DF, MAC M1950F, P-64, 67식 권총L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호치키스 M1922F, 11년식 경기관총J, 96/99식 경기관총J, DP-28, RP-46, Vz.26/30, FM 24/29F, 브렌 경기관총, RPD, Vz.59, 67식 기관총, RPKL, PK, PKML
중기관총 호치키스 M1914F, 24식 중기관총, DTM, M1910/30, MG34, MG42, SG-43, 92식 중기관총J, DShK, KPV
대전차화기 PIATF, B-40/50, B-41, B-10, B-11, SPG-9, 54식 무반동포, 자돌폭뢰J
화염방사기 LPO-50
박격포 10식 척탄통J, 89식 척탄통J. 50-PM-40, 82-PM-41, 53식 박격포, 120-PM-43, 55식 박격포
유탄 10식 수류탄J, 91식 수류탄J, 97식 수류탄J, 1식 수류탄, RGD-33, RG-42, RPG-43, RGD-5
지뢰 POMZ-1, POMZ-2
※ 윗첨자J/F: 일본/프랑스군으로부터 노획
※ 윗첨자L: 제한적 사용
※ ''기울임체'': 소련으로부터 지원받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1] 도입년도[2] 위키피디아에선 254mm (10인치)라고 적혀져 있다.[3] 위키피디아에선 610mm (24인치)라고 적혀져 있다.[4] 위키피디아에선 120m라고 적혀져 있다.[5] 八九式榴弾, はちきゅうしきりゅうだん[6] 원문은 火の筒[7] 쏠 수 있는 수류탄 종류는 10식 척탄통보단 줄었지만 어찌되었든 가능했다. 상세한 내용은 수류탄/일본군을 참조.[8] 이후 중일전쟁과 국공내전에서 승리하여 권력을 잡은 마오쩌둥은 여기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토로법을 이용해 강철을 생산하는 정책을 펼친다. 하지만 그 결과는 파멸적이었다. 이는 중일전쟁 당시 홍군이 노획한 89식 척탄통을 비롯한 일본군의 여러 무기들과 자신들이 수행한 교통로 파괴 공작으로 부서진 철도의 레일에 쓰였던 철들은 전근대적 제철 방식보다 훨씬 좋은 근현대식 철강소에서 거쳐서 만든 강철이 재료였던 데다 이것들을 다른 형태로 재창조한 토로의 경우, 제철소보다 훨씬 구식이이긴 해도 향토 대장장이처럼 나름대로 숙련된 전문가들이 나섰기 때문에 그나마 쓸만한 결과물이라도 뽑을 수 있었던 것이었다. 반면, 마오쩌둥이 대약진 운동을 추진했을 당시의 토법고로의 운영은 제철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이나 경험은 커넝 기초적인 교육조차 받지 않은 일반 농민들이 하던 경우가 다수였던데다 제철에 쓰이던 재료도 원석이나 고철처럼 품질이 영 좋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어디에도 쓸 수 없는 폐품만 대량으로 만들어지고 말았다. 이는 마오쩌둥이 철광석이나 고철을 녹여서 굳히면 강철이 나오는 정도의 지식만 알았을 뿐, 그러기 위해서 거쳐야 하는 세부적인 과정이나 방법에 대해서는 무지했기 때문이다. 즉, 마오쩌둥은 강철 제조 정도는 숫자가 매우 많은 중국 인민들을 동원해서 전통 방식으로 제철 작업에 몰두하도록 만든다면 타국에 있는 근현대식 제철소에서 나오는 강철보다 더 질 좋은 강철을 서구보다 더 많이 생산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토법고로를 실시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토법고로 정책은 여러 문제점만 일으키면서 실패했다. 결국 토법고로의 실패는 대약진 운동의 실패, 더 나아가서는 중국 경제의 심각한 후퇴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