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l 1907 Savage Model 1907 새비지 모델 1907 | |||
<nopad>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자동권총 | ||
원산지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05년~1928년 | ||
개발 | 엘버트 설 | ||
개발년도 | 1905년 | ||
생산 | 새비지 암즈 | ||
생산년도 | 1907년~1920년 (M1907) 1915년~1917년 (M1915) 1920년~1928년 (M1917) | ||
사용국 |
| ||
사용된 전쟁 | 제1차 세계 대전 | ||
기종 | |||
파생형 | .45 ACP 파생형 M1915 M1917 | ||
세부사항 | |||
탄약 | .32 ACP (10발) .380 ACP (9발) .45 ACP (8발) | ||
급탄 | 8, 9, 10발들이 박스탄창 | ||
작동방식 | 지연 블로우백 공이 직동식 | ||
총열길이 | 95.25mm (3.75인치) | ||
전장 | 165.1mm (6.5인치) | ||
중량 | 538.64g (19온스) | ||
탄속 | 244m/s (.32 ACP 기준) | }}}}}}}}} |
1. 개요
리뷰 영상 | .45 ACP 버전 리뷰 영상 |
2. 상세
본래는 민수용으로 판매할 계획이었으나, 프랑스 육군에서 약 40,000정을 주문했고 프랑스군의 제식 권총 중 하나가 된다. 민수용이 큰 판매고를 올리자 미군의 차기 제식권총 경쟁에 뛰어들었으나, M1911에 패배했다.어쨌든 콜트제보다 작고 가벼운 사이즈에 .32 ACP 탄이라는 소구경 탄환을 써서 보다 쉽게 다룰 수 있었기 때문에 적어도 민수용으로써는 아주 쓸모 있는 권총이었다.
여담으로 상당히 이른 시기에 복열탄창을 호환하는 자동권총이기도 하다. 무려 복열탄창의 대표주자인 브라우닝 하이파워 보다 30년 일찍 나왔다.
3. 매체
4. 둘러보기
제2차 세계대전기의 미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미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M1903, M1917, M70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M1941, M3 카빈, | |||||
자동소총 | M1918A2, | |||||
기관단총 | 톰슨 M1928A1, M1, M1A1, | |||||
산탄총 | M97, M12, M520. M620, M37, M10, M31, M11, M720 | |||||
권총 | 자동권총 | M1903, | ||||
리볼버 | S&W M&P, M1909, M1917, M1927 | |||||
단발식 권총 | FP45, SAC-46 | |||||
조명탄 권총 | M2, M8, Mk.III, M5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7/18, M1917A1, M1919A4, M1919A6, M1941, M2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Mk I, M1, M9, M18, M20 | |||||
화염방사기 | M1, M1A1, M2 | |||||
박격포 | M1, M2 | |||||
폭발물 | 수류탄 | Mk.2, Mk.3, No.75 | ||||
총류탄 | M1, M2, M7, M8 | |||||
화학탄 | M18, M7A3, M8, M14, M25 | |||||
지뢰 | 대인지뢰 | M2, M3 | ||||
대전차지뢰 | M1, M5 | |||||
폭약 | M1, M1, M1A1, M2A3, M37, M039 | |||||
도검 | 단검 및 총검 | M1905, M1, M1917, M1918, M3 | ||||
예도 | M1902* | |||||
※ ※ * : 몇몇 자료에서는 M1907이라고 표기함.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프랑스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le 1874, Mle 1886, Mle 1916, Mle M1907/15 M34, MAS-36 | ||
반자동소총 | Mle 1917, RSC Mle 1918, MAS-40, MAS-44 | ||||
기관단총 | MAS-38, EMP35, M1928 | ||||
권총 | MAS 1873, Mle 1892, 92 Espagnol, M1907, 루비 권총, Mle 1914, MAB Mle D, Mle 1935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09, CSRG 1915, Mle 1918 B.A.R., Mle 1922, Mle 1926, FM 24/29 | ||
중기관총 | Mle 1907, Mle 1914, Mle 1930, Mle 1922, Mle 1933, MAC 31, MAC 34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대전차 소총 | ||||
박격포 | Mle 27/31, Mle 35, Mle 37 | ||||
유탄 | F1, OF-37, DF-37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포르투갈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포르투갈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006600> 개인화기 | <colbgcolor=#006600> 볼트액션 소총 | m/1886/89, M1896, 마우저-베르게이루, m/937, m/917, M1917 | ||
기관단총 | MP18, m/942, m/943 | |||
권총 | m/878, m/886, M10, M1892, C96, M1907, m/943, 발터 PP, m/961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m/930, m/940, m930-41, m/938, 루이스 경기관총 | ||
중기관총 | MG34, 브레다 m/938, 빅커스 기관총, M1919A4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